KR20000010636U - 치약이 내장된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이 내장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636U
KR20000010636U KR2019980023006U KR19980023006U KR20000010636U KR 20000010636 U KR20000010636 U KR 20000010636U KR 2019980023006 U KR2019980023006 U KR 2019980023006U KR 19980023006 U KR19980023006 U KR 19980023006U KR 20000010636 U KR20000010636 U KR 200000106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embedded
handle portion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주
Original Assignee
문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주 filed Critical 문정주
Priority to KR2019980023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636U/ko
Publication of KR20000010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636U/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의 손잡이부에 치약이 내장되고 내장된 치약의 배출은 밀음구의 밀음정도에 따라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칫솔의 치약내장부에 치약을 내장시키되 치약내장부에 밀음구를 내삽하여 치약이 치약배출구 이외로 배출됨을 방지하고 밀음구의 밀음정도에 따라 치약배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써
손잡이부에 내장된 치약이 헤드부의 치약배출로를 통해 칫솔모로 배출되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있어서, 치약내장부의 일측에 치약배출구가 형성된 결합부를 형성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결합부가 끼워지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내부 중심에는 칫솔모로 통하는 치약배출로를 형성한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치약내장부에 내삽되고 외주에 패킹이 끼워진 밀음구와, 상기 손잡이부의 결합부측에 결합되어 헤드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치약이 내장된 칫솔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의 손잡이부에 치약이 내장되고 내장된 치약의 배출은 밀음구의 밀음정도에 따라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칫솔과 치약이 분리되어 각기 판매되므로써 칫솔과 치약이 동시에 구비되어야만 양치질이 가능한 것이었다.
그리고 양치질시에는 치약의 뚜껑을 개방시킨 후 치약을 짜서 칫솔에 묻혀 사용하고 있으므로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또한 가정에서는 일정한 장소에 칫솔과 치약을 항상 배치시킬 수 있어 보관상의 별문제가 없지만 출장시나 여행시에는 칫솔과 치약의 두가지물품을 함께 휴대하거나 보관하기는 매우 귀찮은 것은 물론 칫솔이나 치약 중 어느 하나의 분실 또한 잦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본 고안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1)가 돌설된 헤드부(2)의 내부에 치약배출로(3)가 형성되고 헤드부(2)의 일단에는 손잡이부(4)가 결합되되 손잡이부(4)의 내부에는 튜브형 치약(5)이 내장되고 튜브형 치약(5)의 배출구(6)는 상기 치약배출로(3)의 삽입부(7)에 삽입되어진 칫솔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칫솔은 치약의 배출시 커버를 헤드부로터 분리시킨 후 치약을 짜서 사용해야 하므로 종래에 비해 단지 치약과 칫솔이 한몸체로 구성되었을 뿐 사용시의 번거로움에는 별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손잡이부(4)의 내부공간에 내장될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치약을 구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칫솔의 손잡이부에 치약을 내장시키고 치약배출시 치약내장부에 내삽된 밀음구를 치약배출구 쪽으로 밀음으로써 간편하게 치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칫솔의 치약내장부에 치약을 내장시키되 치약내장부에 밀음구를 내삽하여 치약이 치약배출구 이외로 배출됨을 방지하고 밀음구의 밀음정도에 따라 치약배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써
손잡이부에 내장된 치약이 헤드부의 치약배출로를 통해 칫솔모로 배출되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있어서,
치약내장부의 일측에 치약배출구가 형성된 결합부를 형성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결합부가 끼워지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내부 중심에는 칫솔모로 통하는 치약배출로를 형성한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치약내중부에 내삽되고 외주에 패킹이 끼워진 밀음구와,
상기 손잡이부의 결합부측에 결합되어 헤드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치약이 내장된 칫솔의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치약배출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다른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 다른실시예의 밀음구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 다른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칫솔모 2,20 : 헤드부 3,22 : 치약배출로
4,10 : 손잡이부 6,12 : 배출구 7,23 : 삽입부
11: 치약내장부 30,60 : 밀음구 40,50 : 커버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에 내장된 치약이 헤드부(20)의 치약배출로(22)를 통해 칫솔모(21)로 배출되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있어서,
치약내장부(11)가 형성되고 치약내장부(11)의 일측에는 결합부(13)가 형성된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와 결합되는 헤드부(2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치약내장부(11)에 내삽되는 밀음구(30)와, 상기 손잡이부(10)와 결합되어 헤드부(20)를 보호하는 커버(40)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10) 내부에 치약이 내장되는 치약내장부(11)를 형성하고 치약내장부(11)의 일측에는 치약배출구(12)가 형성된 결합부(13)를 형성하되 치약배출구(12)의 내측은 치약내장부(11)의 내경보다 작도록 경사면(14)을 형성하여 치약배출시 배출력이 상승되게 하고 결합부(13)의 외주에 결합돌기(15)를 형성하여 헤드부(20)와의 결합시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헤드부(20)는 상부면에 칫솔모(21)를 돌설하고 내부 중심에는 칫솔모(21)로 통하는 치약배출로(22)를 형성하되 치약배출로(22)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부(10)의 결합부(13)가 끼워지는 삽입부(23)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부(10)의 치약내장부(11)에 내삽되는 밀음구(30)는 원뿔형의 몸체(31)에 지지부(32)를 형성하고 지지부(32)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패킹(33)을 끼운다.
이러한 밀음구(30)는 치약이 임의적으로 치약배출로(22) 이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므로써 치약이 딱딱하게 굳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치약배출로(22)쪽으로의 밀음정도에 따라 치약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0)와 결합되는 커버(40)는 분리 가능하며 분리된 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내장부(11)에 삽입되어 밀음구(30)를 밀어 치약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치약내장부(11)의 내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손잡이부(10)의 치약내장부(11)에는 일반치약 또는 액상치약이 내장된다.
양치질을 하기 위해 치약을 배출시킬때에는 손잡이부(10)로부터 커버(40)를 분리시킨 후 커버(40)의 막힌 부분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음구(30)에 맞대고 도면상 왼쪽으로 밀면 밀림구(30)가 실선의 위치로 밀리면서 치약이 치약배출로(22)를 통해 칫솔모(21)로 배출된다.
치약의 배출량은 밀음구(30)의 밀림정도에 따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치약이 배출되면 커버(40)는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컵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칫솔모(21)가 마모되어 칫솔을 교체할 시기가 되면 헤드부(20)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치약내장부(11)에 내장된 치약을 다 사용한 후 치약을 보충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치약의 양이 감소될수록 밀림구(30)는 치약배출구(12)쪽으로 밀리고 결국에는 치약배출구(12)와 맞닿게 된다.
이런상태에서 치약내장부(11)에 치약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치약내장부(11)로부터 밀림구(30)를 이탈시킨후 보충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의 일측선단에는 걸림편(51)을 형성하고 걸림편(51)은 보조커버(52)를 씌어 보호하며 밀림구(10)의 배면에는 상기 걸림편(51)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61)를 형성한다.
치약을 보충하기 위해 밀림구(60)를 치약내장부(11)로부터 이탈시킬때에는 커버(50)로부터 보조커버(52)를 분리시키고 걸림편(51)을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림구(60)의 걸림부(61)에 삽입하여 걸리게 한 후 커버(50)를 우측으로 당기므로써 밀림구(60)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별도의 장비 없이 걸림구(60)를 치약내장부(11)로부터 이탈시킨 후 치약을 보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손잡이부로부터 커버를 분리한 후 커버의 일측을 밀음구에 맞대고 미는 간단한 동작으로 손잡이부에 내장된 치약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칫솔과 치약을 동시에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 없이 양치질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손잡이부에 내장된 치약이 헤드부의 치약배출로를 통해 칫솔모로 배출되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있어서,
    치약내장부(11)의 일측에 치약배출구(12)가 형성된 결합부(13)를 형성한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결합부(13)가 끼워지는 삽입부(23)를 형성하고 내부 중심에는 칫솔모(21)로 통하는 치약배출로(22)를 형성한 헤드부(2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치약내중부(11)에 내삽되고 외주에 패킹(33)이 끼워진 밀음구(3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결합부(13)측에 결합되어 헤드부(20)를 보호하는 커버(4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손잡이부(10)로부터 커버(40)를 분리한 후, 커버(40)의 일측을 밀음구(30)에 맞대고 치약배출구(12)방향으로 밀어 치약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커버(50)의 일측선단에 걸림편(51)을 형성하고 밀음구(60)에는 걸림부(61)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51)을 밀음구(60)의 걸림부(61)에 걸어 치약내장부(11)로부터 밀음구(60)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19980023006U 1998-11-25 1998-11-25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000106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06U KR20000010636U (ko) 1998-11-25 1998-11-25 치약이 내장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06U KR20000010636U (ko) 1998-11-25 1998-11-25 치약이 내장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36U true KR20000010636U (ko) 2000-06-15

Family

ID=6950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006U KR20000010636U (ko) 1998-11-25 1998-11-25 치약이 내장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63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4645A (en) Dental hygiene kit
US6085761A (en) Toothpick brush
US4408920A (en) Pocket toothbrush
US6213663B1 (en) Dentifrice dispensing toothbrush device
US4521128A (en) Disposable toothbrush with cap
US4527574A (en) Portable dental kit
US6220773B1 (en) Container for receiving a fluid, gel-like or pasty medium
US1340043A (en) Fountain-brush
KR100699521B1 (ko)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EP3153130A1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US6244777B1 (en) One-use toothbrush assembly with external plug for releasing toothpaste from the interi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472529Y1 (ko) 휴대용 칫솔
KR20000010636U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EP0051047A1 (en) A kit for cleaning the teeth with a toothbrush storable in the toothpaste holder
KR200281492Y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JPH11155637A (ja) 口腔衛生装置
KR20035456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
US20050071939A1 (en) Dual head toothbrush
JPH02152405A (ja) 歯磨剤内蔵歯ブラシ
KR200275826Y1 (ko) 칫솔
KR101804161B1 (ko)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KR200222198Y1 (ko)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KR200247899Y1 (ko) 액상치약이내장된칫솔
KR100439382B1 (ko) 분체가 배출되는 볼 터치용 브러시
WO2001013816A1 (en) Dental floss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