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988B1 -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 Google Patents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988B1
KR100800988B1 KR1020070005384A KR20070005384A KR100800988B1 KR 100800988 B1 KR100800988 B1 KR 100800988B1 KR 1020070005384 A KR1020070005384 A KR 1020070005384A KR 20070005384 A KR20070005384 A KR 20070005384A KR 100800988 B1 KR100800988 B1 KR 10080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ucket
tube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789A (ko
Inventor
홍성인
Original Assignee
홍성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인 filed Critical 홍성인
Priority to KR102007000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9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55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reciprocating piston or plunger acting as the pressur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2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fill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6Means for closing or sealing, e.g. toothpaste outlet when brush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r dry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 자체 내에 물을 저장 및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양치를 한 후 샤워까지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샤워만으로도 개운한 양치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휴대성과 편리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내부에 물통을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중공(中空) 상의 병목부; 상기 병목부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칫솔모와 분사구를 구비한 헤드부; 상기 병목부와 물통 사이에 형성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몸체 저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물통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압축캡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이 개시된다.
샤워, 칫솔

Description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TOOTHBRUSH HAVING ABILITY OF SHOW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가압(압축)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스위치 OFF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칫솔 110 : 몸체
111 : 물통 112 : 물통입구
113 : 물통출구 114 : 튜브관
120 : 병목부 121 : 조립부
122 : 돌기 130 : 헤드부
131 : 칫솔모 132 : 분사구
140 : 스위치 141 : 축
142 : 평탄부 144 : 가압부
200, 30 : 압축캡 201 : 실린더
202, 32 : 주입구 203, 33 : 패킹
210 : 레버 211 : 힌지
220 : 링크 230 : 피스톤
340, 31 : 체결부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의 헤드부 칫솔모 주변에 복수의 분사구를 형성하고, 칫솔의 몸체 내부에 소정의 물통을 구비하며, 칫솔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압축수단을 구비하여 물통 내부에 저장된 물이 압축공기에 의해서 분사구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구강을 세척하기 위한 칫솔은 우리의 생활에 없어서는 아니 되는 필수 물품으로서, 여행이나 출장 등 장기간 집을 떠날 때에도 치약과 함께 반드시 휴대하게 되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치약과 칫솔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칫솔 내부에 치약이 저장된 구성의 치약 겸용 칫솔이 제안되었던 바, 몇 가지 예로써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06710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0015411호 및 제2006-0000510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치약내장칫솔의 경우 피스톤에 의한 압출식에 대한 면면을 살펴보면 손으로 피스톤을 밀어주어 그 힘이 직접 치약을 밀어내는 방식으로써, 이는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스위치 동작에 의하여 내장된 물 또는 구강청정수 등을 분사시키는 샤워칫솔과는 그 구성이 다르다 하겠다.
또한, 칫솔에 관한 선행기술에는 샤워기나 수도꼭지를 칫솔에 연결하고, 칫솔모가 있는 부분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사구가 형성되어서 칫솔을 통해 샤워기 또는 수도꼭지 등으로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도록 한 기술이 다수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한 칫솔 역기 샤워기나 수도꼭지가 있는 곳에서만 유용하게 사용할 뿐, 실제 산악이나 야외 등에서와 같이 상수도의 공급이 쉽지 않은 곳에서는 일반적인 칫솔과 다를 바 없음은 물론이고, 샤워기 호스를 연결하는 과정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외출시 칫솔을 휴대할 경우 1 미터 이상에 이르는 호수와 연결부위를 함께 휴대해야 하는 불편 또한 크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칫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물통을 구비하고, 칫솔 하부에는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칫솔모 측으로 분사할 수 있는 압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압축수단으로 압축을 가한후 칫솔 헤드부로 물이 분사되게 하여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특히 여행 중, 물을 구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자체적으로 양치 후 구강 세척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이고 샤워칫솔이 추구하고자 하는 미세하고 강한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물통을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중공(中空) 상의 병목부와; 상기 병목부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칫솔모와 분사구를 구비한 헤드부와; 상기 몸체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물통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압축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통의 하부 및 상부에는 각각 물통입구 및 물통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병목부 내측에는 상기 물통출구와 연결된 유연성 튜브관이 중공(中空)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병목부에는 상기 튜브관의 일 측면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면 일부에 평탄부 및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관과 어느 하나가 접하도록 되며, 다른 외면 일부는 몸체 외부로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통 내부에는 상기 물통입구 근처까지 상기 튜브관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개의 관통관이 상기 물통출구에 더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함이 바 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캡은, 상기 물통입구와 접하면서 상기 몸체 하단과 소정의 체결부로 결합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공기주입부 내부에 상기 물통입구와 연통되면서 하단과 관통되어 형성된 소정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내장되어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타단과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주입부 하단의 외면에 형성된 힌지에 결합된 레버로 구성된 것으로 하던가, 아니면, 상기 물통입구와 접하면서 상기 몸체 하단과 소정의 체결부로 결합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공기주입부의 하단과 연결된 유연성 및 탄성이 있는 연질의 압축부로 구성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병목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하면, 상기 압축캡은 몸체 하단과 나사 방식의 체결부로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비되고, 압축캡에 형성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물통 내부로 주입되게 하며, 더욱 상세히는 상기 실린더 상단에 상기 물통입구와 접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입구와 주입구 사이에 패킹이 개재되며, 상기 피스톤은 압축캡의 외면에서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레버의 일측 선단과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되, 링크의 일단은 레버와 제1회절부로 연결되고 타단은 피스톤과 제2회절부로 연결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의하면, 상기 압축캡은 몸체 하단과 나사 방식의 체결부로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비되고, 압축캡에 형성된 유연성 및 탄성이 있는 연질의 압축부가 가압되어 압축된 공기가 물통 내부로 주입되게 하되, 상기 압축캡의 중앙 상부에 상기 물통입구와 접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입구와 주입구 사이에 패킹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압축부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하기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로 선택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예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기술내용을 참조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칫솔(100)은, 크게 몸체(110), 병목부(120), 헤드부(30) 및 압축캡(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 내부에는 물을 수용한 물통(111)이 내장되고 병목부(120)는 몸체(110)와 헤드부(130)를 잇는 부분이며, 헤드부(130)에는 통상의 칫솔모(131)와 함께 상기 물통(111) 내의 물이 분출되는 분사구(132)가 복수 개 구비된다.
또한, 병목부(120) 하부에는 스위치(140)가 구비되어 물통(111) 내부의 물이 분사구(132)로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압축캡(200)에는 공기주입부 외면에 형성된 힌지(211)를 통해 회동 가능한 레버(210)가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칫솔의 관한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것으로 보다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가압(압축)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물통(111)으로의 공기 주입 수단의 제1측면의 구성 및 그 작용을 보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압축캡(200)은, 상기 물통입구(112)와 접하면서 상기 몸체(110) 하단과 소정의 체결부(240)로 결합되는 공기주입부(200a)와, 상기 공기주입부(200a) 내부에 상기 물통입구(112)와 연통되면서 하단과 관통되어 형성된 소정의 실린더(201)와, 상기 실린더(201)에 내장되어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230)과, 상기 피스톤(230)의 하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220)와, 상기 링크(220)의 타단과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주입부(200a) 하단의 외면에 형성된 힌지(211)에 결합된 레버(21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주입부(200a)는 몸체(110) 하단과 나사 방식의 체결부(240)로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비되고, 공기주입부의 내부에는 실린더(201)가 구비되어서 피스톤(230)이 상기 실린더(201)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몸체(110) 내부에 위치한 물통(111)의 하단에는 물통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201) 상단에는 상기 물통입구(112)와 접한 주입구(202)가 구비되는데, 상기 물통입구(112)와 주입구(202)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된 패킹(203)이 개재되어 있어서 물통(111) 내부의 물이 물통입구(112)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피스톤(230)의 하부에는 상기 레버(210)와 연결된 링크(220)의 타측 단부가 연결된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압축캡(200)의 외면에서 힌지(211)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레버(210)의 일측 선단은 링크(220)로 매개로 하여 피스톤(230)과 연결되는데, 이때 링크(220)의 일단은 레버(210)와 제1회절부(221)로 연결되고 타단은 피스톤(230)과 제2회절부(222)로 연결되어 각 연결부위가 상호 회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레버(210)의 상단을 몸체(110) 외측으로 당기면, 레버(210)가 힌지(211)를 기점으로 회동하면서 레버(210)의 하단과 연결된 링크(220) 하단이 상승 선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230)은 실린더(201) 내부에서 상승하여 주입구(202)를 통해 압축 공기가 배출되므로, 물통(111) 내로의 압축공기 주입이 가능하다.
물통(111) 내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물통 내에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물통출구(113) 측으로 물이 배출되는데, 이때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물통(111) 내부에는 물통출구(113)로부터 물통입구(112) 근처까지 연장된 관통관(115)이 형성되어서 물통(111)의 물이 관통관(115)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관통관(115)은 병목부(120) 내에 위치한 튜브관(114)이 연장된 것일 수 있고, 또는 튜브관(114)돠 별개의 요소로서 상기 물통출구(113)에 연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관(115)(또는 튜브관(114))의 연장부 하단으로 유입된 물은 튜브(114)를 통해서 헤드부(130)의 분사구(132)로 분사되며, 여기서 상기 관통관(115)은 물통(111)에 저장된 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하며, 그 형태는 물통(111)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의 조정할 수 있다.
물통(111) 내부의 물을 다 소진하여 물을 보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압축캡(200)을 회전시켜서 캡체결부(240)를 통해 압축캡(200)을 몸체(110)로부터 분리하면, 물통입구(112)가 노출되므로, 몰통입구(112)를 통해서 물을 보충한 후, 다시 압축캡(2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캡체결부(240)의 나사부를 체결하면, 레버(210)에 의해 가압, 압축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물 분사 제어수단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B부를 확대한 단면도로서 스위치가 ON 상태이고, 도 6은 도 5의 스위치 OFF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물통(111) 상단에는 물통출구(113)가 형성되고, 물통출구(113)에는 탄성과 유연성 있는 튜브관(114)이 끼워져서 튜브관(113)과 물통출구(113) 간의 상호 누수가 방지되며, 튜브관(114)의 상단은 상기 중공(中空) 상의 병목부(120) 내부에 끼워져 있다. 또한 물통 출구에서부터 물통바닥까지 튜브관을 연결하여 물통의 내용물이 완전히 사용되어지게 한다. 이때 튜브관(114)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병목부(120) 내부에 꼭 끼게 하면 튜브관(114) 선단과 병목부(120) 내면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140)는 원형을 기본 형상으로 하되, 축(141)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위치(140)의 외면 일부에는 평탄부(142) 및 가압부(144)가 형성되고, 동시에 소정 위치에 제1스토퍼(143) 및 제2스토퍼(145)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평탄부(142) 및 가압부(144)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튜브관(114)의 측면과 접하도록 하고, 그 외 평탄부(142) 및 가압부(144)가 형성되지 않은 스위치(140) 외면 일부는 몸체(110)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5와 같이 평탄부(142)가 튜브관(140)과 접한 상태는 튜브관(114) 내부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캡의 피스톤(230) 상승에 의해 압축공기가 물통(111) 내부로 유입되면, 물통출구(113)로 물이 배출되어 튜브(114)를 통해서 헤드부(130)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제1스토퍼(143)가 몸체(110) 내벽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140)의 회전 각은 제한되어 있다.
반대로, 도 6에서와 같이 스위치(140)를 회전시켜서 제2스토퍼(145)가 몸체(110) 내벽에 닿을 때까지 회동시키면, 돌출된 가압부(144)가 튜브관(140)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고, 이때 튜브관(140)은 가압부(144)에 의해 내부가 서로 맞닿게 되므로, 물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143) 및 제2스토퍼(145)는 스위치(14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고, 이때 평탄부(142) 및 가압부(144)는 선택적으로 튜브관(140)을 압 축 또는 해제하게 되는 간이한 구조를 통해 물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가압 압축수단의 제2측면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 단면도로서, 전술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압축캡(200)과 달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압축캡(30)은, 상기 물통입구(112)와 접하면서 상기 몸체(110) 하단과 소정의 체결부(31)로 결합되는 공기주입부(30a)와, 상기 공기주입부(30a)의 하단과 연결된 유연성 및 탄성이 있는 연질의 압축부(34)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주입부(30a)는 몸체(110) 하단과 나사 방식의 캡체결부(31)로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압축캡(30)의 중앙 상부에 상기 물통입구(112)와 접한 주입구(32)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입구(112)와 주입구(32)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조된 패킹(33)이 개재되어서 물통입구(112)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압축부(34)는 연질의 고무, 실리콘, 우레탄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도 7의 화살표시와 같이 압축부(34)를 손으로 가압하면, 유연성을 가진 압축부(34)의 내부 공간이 작아지면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주입구(32)를 통해 물통(111) 내부로 주입되며, 압축부(34)는 그 재질의 특성상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다시 가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역시 물통(111) 내부에 물을 다 소진하여 물을 보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압축캡(30)을 회전시켜서 캡체결부(31)를 통해 압축캡(30)을 몸 체(110)로부터 분리하면, 물통입구(112)가 노출되므로, 몰통입구(112)를 통해서 물을 보충한 후, 다시 압축캡(3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캡체결부(31)의 나사부를 체결하면 되는바,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칫솔(100)에 대해 레버에 의한 압축캡(200) 또는 압축부(34)에 의한 압축캡(30)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부(120)가 헤드부(130)와 몸체(110)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된, 즉 헤드부(130)를 몸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조립부(121)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하면, 물통(111) 내부의 물이 조립부(121)에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직접 물이 분사되어 한줄기의 강한 수압으로 구강 세척이 가능하며, 이 경우 물통 내부에 가글 액을 저장한 상태에서 양치질 없이 사용하는 것으로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부(121)는 상호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 측 및 헤드부 측 각 조립부(121)의 단부에 돌기(122) 및 상기 돌기(122)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홈(135)이 형성되어 이들 돌기(122)와 홈(135)의 결합에 의해 착탈 및 고정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 의한 본 발명의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에 의하면, 칫솔 내부에 물 또는 가글 액을 저장할 수 있는 물통을 구비하고, 칫솔 저부에는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칫솔모 측으로 분사할 수 있는 압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압축수단을 가하면 물 또는 가글 액이 분사되어 편리하게 샤워양치를 할 수 있어서 미세한 물줄기에 의해 구강 내의 노폐물이나 이물질을 구석구석 말끔히 씻어내어 개운함을 배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여행 중 물을 구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물통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게 되므로 자체적으로 양치 후 구강 세척이 가능하게 하여 실질적으로 휴대성과 편리성을 극대화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소정의 물통(111)을 구비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상부에 형성된 중공(中空) 상의 병목부(120)와;
    상기 병목부(120)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칫솔모(131)와 분사구(132)를 구비한 헤드부(130)와;
    상기 몸체(110)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물통(111)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압축캡(200)(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111)의 하부 및 상부에는 각각 물통입구(112) 및 물통출구(113)가 구비되고,
    상기 병목부(120) 내측에는 상기 물통출구(113)와 연결된 유연성 튜브관(114)이 중공(中空)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부(120)에는 상기 튜브관(114)의 일 측면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스 위치(1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140)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면 일부에 평탄부(142) 및 가압부(144)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관(114)과 어느 하나가 접하도록 되며, 다른 외면 일부는 몸체(110)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111) 내부에는 상기 물통입구(112) 근처까지 상기 튜브관(114)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개의 관통관(115)이 상기 물통출구(113)에 더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캡(200)은,
    상기 물통입구(112)와 접하면서 상기 몸체(110) 하단과 소정의 체결부(240)로 결합되는 공기주입부(200a)와;
    상기 공기주입부(200a) 내부에 상기 물통입구(112)와 연통되면서 하단과 관통되어 형성된 소정의 실린더(201)와;
    상기 실린더(201)에 내장되어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230)과;
    상기 피스톤(230)의 하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220)와;
    상기 링크(220)의 타단과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주입부(200a) 하단의 외면에 형성된 힌지(211)에 결합된 레버(2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캡(30)은,
    상기 물통입구(112)와 접하면서 상기 몸체(110) 하단과 소정의 체결부(31)로 결합되는 공기주입부(30a)와;
    상기 공기주입부(30a)의 하단과 연결된 유연성 및 탄성이 있는 연질의 압축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병목부(1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KR1020070005384A 2007-01-17 2007-01-17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KR100800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84A KR100800988B1 (ko) 2007-01-17 2007-01-17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84A KR100800988B1 (ko) 2007-01-17 2007-01-17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789A KR20070051789A (ko) 2007-05-18
KR100800988B1 true KR100800988B1 (ko) 2008-02-04

Family

ID=3827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384A KR100800988B1 (ko) 2007-01-17 2007-01-17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95B1 (ko) * 2015-04-13 2015-11-23 최용채 물 분사 칫솔
KR101590983B1 (ko) * 2015-05-08 2016-02-18 김용석 3개의 모드를 구비한 칫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124A (en) 1993-06-17 1994-08-16 Spicer Zorroz W Water squirt toothbrush
JP2003052460A (ja) 2001-08-08 2003-02-25 Kazuko Tabei 携帯用歯ブラシ
KR200323839Y1 (ko) 2003-05-15 2003-08-21 이혜주 워터픽 전동 칫솔
KR20050022844A (ko) * 2003-09-18 2005-03-08 주식회사 그린산업 세정기능을 갖는 물 분사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124A (en) 1993-06-17 1994-08-16 Spicer Zorroz W Water squirt toothbrush
JP2003052460A (ja) 2001-08-08 2003-02-25 Kazuko Tabei 携帯用歯ブラシ
KR200323839Y1 (ko) 2003-05-15 2003-08-21 이혜주 워터픽 전동 칫솔
KR20050022844A (ko) * 2003-09-18 2005-03-08 주식회사 그린산업 세정기능을 갖는 물 분사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789A (ko)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583B2 (en) Manual and electrical pump toothbrushes for dispensing liquid and paste dentifrices
US6009886A (en) Dentifrice and floss dispensing toothbrush
KR20140119150A (ko) 구강관리유체 배출 시스템
EA000234B1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насосом
CA2293761A1 (en) Toothbrush with reservoir for dentifrice
KR100696069B1 (ko) 샤워헤드 겸용 워터픽
KR100800988B1 (ko)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JP2004073558A (ja) 口腔洗浄具
CN1262251C (zh) 自给式口腔清洁装置
WO2012050312A2 (ko) 치약 토출 칫솔
KR200246683Y1 (ko) 이 세정기
JP2019154855A (ja) 口腔洗浄器及び口腔洗浄用ノズル
KR200442442Y1 (ko) 치약을 내장한 칫솔
KR102036779B1 (ko) 구강세척이 가능한 샤워헤드
CN217885359U (zh) 一体式清洁刷
KR200237169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101067560B1 (ko) 분사식 구강 세정기
KR20022219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
KR200374538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0408887Y1 (ko)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KR200281492Y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KR200247899Y1 (ko) 액상치약이내장된칫솔
KR200388534Y1 (ko) 머리빗
KR200414228Y1 (ko) 고체치약 내장형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