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887Y1 -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 Google Patents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887Y1
KR200408887Y1 KR2020050033849U KR20050033849U KR200408887Y1 KR 200408887 Y1 KR200408887 Y1 KR 200408887Y1 KR 2020050033849 U KR2020050033849 U KR 2020050033849U KR 20050033849 U KR20050033849 U KR 20050033849U KR 200408887 Y1 KR200408887 Y1 KR 200408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othpaste
supplied
guide
dil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공석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3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887Y1/ko
Priority to CN200680044097XA priority patent/CN101316562B/zh
Priority to US12/094,402 priority patent/US20080287846A1/en
Priority to PCT/KR2006/003719 priority patent/WO200706407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3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using pressurised tap-water, e.g. rin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5Handles or details thereof
    • A61C17/227Handles or details thereof with reservoirs, e.g. for toothpas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rd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구강세정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도전에 일체로 장착되어 개폐시키는 개폐레버를 구성하고, 상기 개폐레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로 내장된 치약을 희석시키며, 치약이 희석되어 분사되는 물로 입안을 세정할 수 있도록 수도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강세정기를 구성함으로써, 입안을 가글하여 헹구기만 하여도 개운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쾌한 기분을 유지할 수 있는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oral cavity washer have to toothpast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치약저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치약을 내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치약을 희석하여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개폐레버 200: 구강세정기
210: 하우징 211: 물공급구
212: 안내부재 213: 손잡이부재
214: 물안내구 220: 치약저장부
221: 보관망 222: 지지대
230: 분사부재 240: 지지부재
본 고안은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세정기의 내부에 일정량의 치약을 보관하여 구강 세정시, 구강세정기 내부로 이동되는 세정수에 의해 치약성분과 같이 배출됨으로써, 구강내부의 세정 및 살균이 용이하여 구강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앓고 있는 중요한 구강병인 충치와 치주염은 잇솔질(tooth brushing)로 예방이 가능하나,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과 잇몸과 치아 사이에 치석의 원인 물질들이 잇솔질 만으로 제거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치간칫솔이나 치실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치아 사이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입안을 세정하는 전동식 구강세정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고, 본체의 물통에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작동버튼을 가압하면, 펌프의 작동으로 물통의 물이 분사팁을 통해 구강으로 분사되어 구강세정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구강세정기는, 본체에 저장된 물의 사용중, 물이 부족할 경우, 다시 보충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펌프로 분사되는 물의 수압이 약해 세정효과가 떨어지며, 사용 후,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이탈시켜 정리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전기의 사용으로 인해 감전의 위험이 있으면서 전동기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동식 구강세정기는, 펌프의 작동으로 분사되는 물로 입안을 가글하여 헹굴 때, 입안이 개운함을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도전의 일측에 구강세정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수압으로 냉.온수를 분사함과 아울러 감전의 위험이 없으므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강세정기의 내부에 일정량의 치약을 보관하여 잇솔질을 하지 않고, 입안을 가글하여 헹구기만 하여도 개운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쾌한 기분을 유지할 수 있는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구강세정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도전에 일체로 장착되어 개폐시키는 개폐레버와;
상기 개폐레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로 내장된 치약을 희석시키며, 치약이 희석되어 분사되는 물로 입안을 세정할 수 있도록 수도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강세정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수도전(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구강세정기(20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도전(10)에 일체로 장착되어 개폐시키는 개폐레버(100)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레버(100)의 개폐동작에 따라 수도전(10)으로 공급되는 물로 내장된 치약을 희석시키며, 치약이 희석되어 분사되는 물로 입안을 세정할 수 있도록 수도전(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강세정기(2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강세정기(200)는, 상기 수도전(10)으로 공급되는 물이 분사부재(230)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하우징(21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10)으로 공급되는 물로 치약(T)을 희석시킬 수 있도록 치약(T)을 저장하는 치약저장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치약저장부(220)에 저장된 치약(T)이 하우징(210)으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희석되고, 치약(T)이 희석된 물로 구강을 세정할 수 있도록 분사시키는 분사부재(230)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분사부재(230)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장착되어 분사부재(23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치약저장부(220)로 공급되는 물을 안내하는 지지부재(240)로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수도전(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도전(10)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물공급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구(211)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물공급구(211)로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물공급구(211)로부터 일정길이 늘어날 수 있도록 탄력있게 감겨진 안내부 재(212)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재(212)를 보호하도록 수용하면서 물공급부(21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손잡이부재(213)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213)에 수용된 안내부재(212)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손잡이부재(213)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안내구(214)로 형성된다.
상기 치약저장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약(T)을 저장하며, 치약(T)을 희석시킨 물이 분사부재(230)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미세하게 관통되는 보관망(221)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망(221)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대(222)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부재(230)는, 상기 치약저장부(220)를 수용하면서 분사공(231)과 연통되는 수용공간(23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232)에 수용된 치약저장부(220)에 안내부재(212)로 공급되는 물을 치약저장부(220)로 안내하도록 수용공간(232)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안내홈(233)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210)의 물안내구(214)에 안내부재(212)의 타측 단부를 결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재(212)의 일측 단부가 손잡이부재(21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안내부재(212)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물안내구(214)를 손잡이부재(213)의 상부에 안착시키는데, 상기 물안내구(214)의 외주면에 결합된 패킹(P)이 물안내구(214)의 외주면과 손잡이부재(213)의 내주면을 가압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재(213)의 상부에 안착된 물안내구(214)를 지지부재(240)가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240)는 손잡이부재(213)에 체결되어 결합되는데, 역기서 상기 지지부재(240)가 손잡이부재(21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손잡이부재(213)와 지지부재(240)를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저장부(220)의 지지대(222) 내부에 보관망(22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관망(221)의 내부에 치약(T)을 투입하고, 치약(T)이 투입된 치약저장부(220)를 분사부재(230)의 수용공간(232)에 위치시킨 후, 상기 분사부재(230)의 하단부를 지지부재(240)의 내부에 결합하면, 치약저장부(220)의 지지대(222) 하단부가 물공급부(211)의 상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분사부재(230)의 하단부 외주면에 결합된 패킹(P)이 분사부재(230)의 외주면과 지지부재(240)의 내주면을 견고하게 가압하면서 구강세정기(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구강세정기(200)의 작동은, 사용자가 잇솔질을 한 후, 사용할 수도 있고, 입안을 헹굴 때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입안을 가글하여 헹굴 경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구강세정기(200)의 손잡이부재(213)를 잡고 수도전(10)의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구강세정기(200)의 하우징(210)이 물공급구(211)에서 이탈되어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210)이 상부로 이동한 거리만큼 안내부재(212)는 늘어나고, 구강세정기(200)의 분사부재(230)를 사용자의 입안에 위치하 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폐레버(100)를 회전시켜 수도전(10)으로부터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는 물이 분사부재(230)로 분사되어 입안을 헹굴 수 있는데, 상기 개폐레버(100)의 회전에 따라 수도전(10)에세 물공급구(211)가 개방되면, 상기 물공급구(211)로 수도전(10)으로부터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는 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212)를 경유하여 물안내구(214)로 공급되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물안내구(214)로 배출되는 물은, 분사부재(230)의 안내홈(233)을 경유하면서 치약저장부(220)의 지지대(222) 사이를 통해 수용공간(232)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미세하게 다수의 관통공이 관통된 보관망(221)으로 공급되고, 상기 보관망(221)으로 공급되는 물은 보관망(221)에 저장된 치약(T)과 반응하여 치약(T)을 희석시키며, 치약(T)이 희석된 물은 미세하게 다수의 관통공이 관통된 보관망(221)을 경유하여 분사부재(230)의 분사공(231)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치약(T)이 희석된 물로 입안을 헹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구강세정기(200)를 움직이면서 분사부재(230)의 분사공(231)으로 분사되는 치약(T)이 희석된 물로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빼낼 수 있으며, 잇몸을 마사지할 수도 있다.
상기 구강세정기(200)의 사용이 완료되어 개폐레버(100)를 회전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도전(10)과 연통된 물공급구(211)가 폐쇄됨과 동시에 수도전(10)으로부터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분사부재(230)의 분사공(231)으로 치약(T)이 희석된 물이 분사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잡고 있는 하우징(210)의 손잡이부재(213)를 물공급구(211)로 이동시키면, 안내부재(212)가 탄력있게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손잡이부재(213)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재(213)가 물공급구(211)를 수용하도록 수도전(10)에 장착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치약저장부(220)에 저장된 치약(T)이 소진되면, 상기 분사부재(230)를 지지부재(240)에서 이탈시킨 후, 내부가 개방되는 치약저장부(200)의 보관망(221)에 치약(T)을 투입하고, 다시 지지부재(240)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의 과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부재(23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을 헹굴 때, 사용자의 위생상 가족의 구성원에 맞는 개수로 분사부재(230)를 구입하여 치약저장부(200)의 보관망(221)에 치약을 투입하는 과정으로 분사부재(230)를 착탈시켜 개인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도전의 일측에 구강세정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냉.온수의 수압으로 분사되어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시 감전의 위험이 없으면서 절전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구강세정기의 내부에 보관된 치약이 구강세정기를 사용할 때, 치약이 희석되어 배출되는 물로 입안을 세정할 수 있으며, 잇솔질을 하지 않고, 가글하여 헹구기만 하여도 개운함을 느낄 수 있어 상쾌한 기분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5)

  1. 수도전(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구강세정기(20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도전(10)에 일체로 장착되어 개폐시키는 개폐레버(100)와;
    상기 개폐레버(100)의 개폐동작에 따라 수도전(10)으로 공급되는 물로 내장된 치약(T)을 희석시키며, 치약(T)이 희석되어 분사되는 물로 입안을 세정할 수 있도록 수도전(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강세정기(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구강세정기(200)는,
    상기 수도전(10)으로 공급되는 물이 분사부재(230)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으로 공급되는 물로 치약(T)을 희석시킬 수 있도록 치약(T)을 저장하는 치약저장부(220)와;
    상기 치약저장부(220)에 저장된 치약(T)이 하우징(210)으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희석되고, 치약(T)이 희석된 물로 구강을 세정할 수 있도록 분사시키는 분사부재(230)와;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분사부재(230)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장착되어 분사부재(23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치약저장부(220)로 공급되는 물을 안내하는 지 지부재(24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210)은,
    상기 수도전(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도전(10)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물공급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구(211)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물공급구(211)로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물공급구(211)로부터 일정길이 늘어날 수 있도록 탄력있게 감겨진 안내부재(212)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재(212)를 보호하도록 수용하면서 물공급부(21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손잡이부재(213)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213)에 수용된 안내부재(212)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손잡이부재(213)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안내구(21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치약저장부(220)는,
    상기 치약(T)을 저장하며, 치약(T)을 희석시킨 물이 분사부재(230)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미세하게 관통되는 보관망(221)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망(221)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대(222)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분사부재(230)는,
    상기 치약저장부(220)를 수용하면서 분사공(231)과 연통되는 수용공간(23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232)에 수용된 치약저장부(220)에 안내부재(212)로 공급되는 물을 치약저장부(220)로 안내하도록 수용공간(232)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안내홈(2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KR2020050033849U 2005-11-30 2005-11-30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KR200408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849U KR200408887Y1 (ko) 2005-11-30 2005-11-30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CN200680044097XA CN101316562B (zh) 2005-11-30 2006-09-19 内部具有牙膏的口腔清洁装置
US12/094,402 US20080287846A1 (en) 2005-11-30 2006-09-19 Oral Cleaning Device with Internal Toothpaste
PCT/KR2006/003719 WO2007064079A1 (en) 2005-11-30 2006-09-19 Oral cleaning device with internal tooth p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849U KR200408887Y1 (ko) 2005-11-30 2005-11-30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887Y1 true KR200408887Y1 (ko) 2006-02-14

Family

ID=3809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849U KR200408887Y1 (ko) 2005-11-30 2005-11-30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87846A1 (ko)
KR (1) KR200408887Y1 (ko)
CN (1) CN101316562B (ko)
WO (1) WO20070640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839B1 (ko) * 2008-09-05 2010-06-24 (주)교원클럽 구강 세정기
KR200468646Y1 (ko) 2013-05-13 2013-08-27 김진영 구강 세정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3529A (en) * 1954-03-22 1957-11-19 Ikse Janis-Indrikis Tooth cleansing devices
CN1228294A (zh) * 1998-03-05 1999-09-15 王有竹 口腔清洁装置
US5934902A (en) * 1998-04-16 1999-08-10 Abahusayn; Mansur Oral cleansing device
US6193512B1 (en) * 2000-04-25 2001-02-27 Stephen C. Wallace Water jet teeth cleaning apparatus
JP4034508B2 (ja) * 2000-10-17 2008-01-16 正文 南 うがい装置
KR20010079181A (ko) * 2001-06-20 2001-08-22 강재선 일반 가정용 수도수압 분사를 이용한 치아세정방법 및치아 세정기구
KR100415238B1 (ko) * 2001-06-21 2004-01-16 (주)반디플랙스 태양조명시스템의 냉각장치
CN2726393Y (zh) * 2004-08-19 2005-09-21 张博文 注水冲洗牙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839B1 (ko) * 2008-09-05 2010-06-24 (주)교원클럽 구강 세정기
KR200468646Y1 (ko) 2013-05-13 2013-08-27 김진영 구강 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16562B (zh) 2010-08-18
US20080287846A1 (en) 2008-11-20
CN101316562A (zh) 2008-12-03
WO2007064079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508Y1 (ko) 구강세정기의 탈부착되는 이중 덮개구조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KR20100138680A (ko) 물분사식 칫솔
KR100696069B1 (ko) 샤워헤드 겸용 워터픽
KR100931011B1 (ko) 전해수를 사용한 오랄 케어 장치
KR100646157B1 (ko) 휴대용 분사식 구강 세정기
KR200408887Y1 (ko)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JP2002045378A (ja) 口腔洗浄装置
CN212730047U (zh) 一种电动牙齿清洁装置
CN210228368U (zh) 一种带冲洗功能的电动牙刷
KR20200101478A (ko) 휴대용 치아 세정 장치
KR102057152B1 (ko) 구강 세정기
KR101188902B1 (ko) 일회용 구강세정기
KR101449396B1 (ko) 치아 세정장치
CN208426238U (zh) 一种牙齿清洁装置
CN220124871U (zh) 一种具有臭氧功能的电动牙刷
KR200184890Y1 (ko) 전동 칫솔
KR200472528Y1 (ko) 휴대용 칫솔
WO2023000633A1 (zh) 冲牙器
KR101378541B1 (ko) 기능성 칫솔
KR20050022844A (ko) 세정기능을 갖는 물 분사 칫솔
CN212465272U (zh) 新型牙刷
KR101152258B1 (ko) 치아 및 구강 세정장치
WO2023000634A1 (zh) 清洁件及冲牙器
KR200229913Y1 (ko) 칫솔모 사이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