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804Y1 - 치약 내장형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 내장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804Y1
KR200244804Y1 KR2020010014831U KR20010014831U KR200244804Y1 KR 200244804 Y1 KR200244804 Y1 KR 200244804Y1 KR 2020010014831 U KR2020010014831 U KR 2020010014831U KR 20010014831 U KR20010014831 U KR 20010014831U KR 200244804 Y1 KR200244804 Y1 KR 200244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opening
toothbrush
conveying shaft
clo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섬욱
Original Assignee
김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섬욱 filed Critical 김섬욱
Priority to KR2020010014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8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804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을 내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치약과 칫솔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치약 배출구를 최대한 많이 차단하여 치약이 굳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치약 내장형 칫솔은, 치약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칫솔모 사이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양단 개구 형상의 치약 이송통로가 구비된 칫솔 머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상기 칫솔 머리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치약이 채워지는 일정한 길이의 치약 수용통과; 상기 치약 이송통로의 내벽면에 회전 및 전후 이송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일단부에 구비되고, 외주면 일정 부분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의 반대편 단부에 조작노브가 구비된 치약 이송 샤프트와;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치약 수용통의 안내를 받아 전진하면서 치약을 압출하는 치약 압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약 내장형 칫솔{A TOOTHBRUSH TYPE IMMANENCE TOOTHPASTE}
본 고안은 치약 내장형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약을 내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치약과 칫솔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치약 배출구를 최대한 많이 차단하여 치약이 굳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치약 내장형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이나 장기간의 출장시에는 세면도구의 휴대가 필수로서, 상기 세면도구중에는 수건이나 속옷 등과 더불어 튜브부재속에 담겨지는 치약과, 상기 치약을 통해 치아를 세척하기 위한 도구로서 칫솔을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치약과 칫솔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지만, 이는 분리형으로 사용되며, 상기 치약은 그 부피에 따라 여러가지 크기의 튜브부재속에 담겨지는 것이고, 이와 더불어 칫솔도 휴대의 간편화를 위해 그 크기가 소형화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치약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여행중에는 이 모두를 휴대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약을 내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치약과 칫솔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치약 배출구를 최대한 많이 차단하여 치약이 굳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치약 내장형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치약 내장형 칫솔의 내부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수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수단의 일측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성중 치약 수용통과 치약 압출부재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구성중 고정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칫솔 머리 11 : 칫솔모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치약 이송통로 20 : 치약 수용통
30 : 치약 이송 샤프트 31 : 개폐수단
31a : 리브 31b : 원통체
35 : 조작노브 40 : 치약 압출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치약 내장형 칫솔은, 치약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칫솔모 사이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양단 개구 형상의 치약 이송통로가 구비된 칫솔 머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상기 칫솔 머리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치약이 채워지는 일정한 길이의 치약 수용통과; 상기 치약 이송통로의 내벽면에 회전 및 전후 이송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일단부에 구비되고, 외주면 일정 부분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의 반대편 단부에 조작노브가 구비된 치약 이송 샤프트와;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치약 수용통의 안내를 받아 전진하면서 치약을 압출하는 치약 압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치약 내장형 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치약 내장형 칫솔의 내부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수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수단의 일측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구성중 치약 수용통과 치약 압출부재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구성중 고정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치약 내장형 칫솔은 크게 칫솔 머리(10)와 치약 수용통(20)과, 치약 이송 샤프트(30)와, 치약 압출부재(40)로 구성된다.
먼저, 칫솔 머리(10)는 치약이 유입되는 유입구(12)와 칫솔모(11) 사이로 치약이 배출되는 배출구(13)를 갖는 양단 개구 형상의 치약 이송통로(1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치약 이송통로(14)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13)에 인접한 치약 이송통로(14)의 수직 내벽에는 반원형 형상의 돌출부(14a)가 형성된다.
상기 치약 수용통(20)은 상기 유입구(12)와 연통 가능하게 상기 치솔 머리(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치약이 채워질 수 있도록 비어있게 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치약 수용통(20)의 종단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는 치약 이송통로(14)의 내벽면에 회전 및 전후 이송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배출구(13)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1)을 일단부에 구비하고, 외주면 일정 부분에 나사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수단(31)의 반대편 단부에 조작노브(3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치약 압출부재(40)는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나사부(30a)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치약 수용통(20)의 안내를 받아 전전하면서 치약을 압출하게 된다.
여기서, 치약 압출부재(40)의 외관 형상은 상기 치약 수용통(20)의 형상과동일하게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데, 그 이유는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가 회전할때 치약 압출부재(4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함에 있다.
그러나, 상기 치약 압출부재(40)의 외관 형상을 원형으로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치약 수용통(20)도 원형으로 하되, 치약 수용통(20)의 길이 방향으로 치약 압출부재(40)가 이동 가능하도록 그 연결 관계를 별도로 설계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치약 수용통(20)의 내벽면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치약 압출부재(40)의 외면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요홈과 돌기부의 결합 관계에 따라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가 회전할때 치약 압출부재(40)는 회전하지 않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3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31a)와,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체(31b)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브(31a)는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단부측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원통체(31b)는 그 외주면이 상기 치약 이송통로(14)의 내주면에 회전 및 전후 이송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내주면이 상기 리브(31a)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체(31b)는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단부로부터 소정 간격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전술한 상기 배출구(13)에 인접한 치약 이송통로(14)의수직 내벽에는 반원형 형상의 돌출부(14a)와 형합 가능하는 돌출부 삽입홈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개폐수단(31)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이송 샤프트(30)가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원통체(31b)가 상기 배출구(13)에 인접한 치약 이송통로(14)의 수직벽을 차단하여 치약의 배출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가 후진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통체(31b)가 상기 배출구(14)에 인접한 치약 이송통로(14)의 수직벽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치약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체(31b)가 치약 이송통로(14)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부(14a)에 접촉됨에 따라 치약의 배출을 차단하고, 상기 원통체(31b)가 상기 돌출부(14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치약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적정 직경을 갖는 통공(51)을 구비하여 상기 칫솔 머리(10) 반대편에 해당되는 치약 수용통(20)의 단부측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체(50)와, 이 고정체(50)의 통공(51)과 연관되어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공회전 및 일정 길이 만큼 전후진할 수 있는 수단을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외주면에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단으로는 상기 고정체(50)의 통공(51)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32)를 상기 치약 압출부재(40)에 대응되는 고정체(50)의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치약 이송샤프트(30)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외주면에 상기 치약 이송샤프트(30)의 나사부(30a)와 반대로 된 나사부를 갖는 스크류(33)를 상기 고정체(50)의 두께보다 소정치 더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치약 이송샤프트(30)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체(50)의 통공(51)에 삽입 가능하게 외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50)의 통공(51)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33)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더 형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치약 내장형 칫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노브(3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치약 이송 샤프트(30)는 공회전만 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가 공회전만 하게 되는 이유는, 고정체(50)가 스토퍼(32)와 스크류(33) 사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치약 이송 샤프트(30)가 공회전을 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 압출부재(40)는 전진을 하게 되어 치약 수용통(20)의 내부에 수용된 치약을 칫솔 머리(10)측으로 압송시킨다.
상기와 같은 치약 압출부재(40)의 전진 작용으로 인해 압송되는 치약은 원통체(31a)와 치약 이송 샤프트(30) 단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마지막으로 유동하여 개방되어 있는 배출구(13)를 통해 칫솔모(11) 사이로 배출된다.
여기서, 칫솔모(11) 사이로 배출되는 치약의 양은 사용자가 얼마나 많이 조작노브(35)를 회전시키는 가에 달려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칫솔모(11) 사이로 치약을 배출한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노브(3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게 되면,치약 압출부재(40)는 후진하게 된다. 이후, 조작노브(35)를 칫솔모(11)측 방향으로 강하게 밀게되면, 스크류(33)는 고정체(50)의 통공(51) 내부로 인입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33)가 고정체(50)의 통공(51) 내부로 인입되는 동시에 치약 이송 샤프트(30)도 칫솔모(11)측으로 이동하게 됨과 아울러 치약 압출부재(40)도 칫솔모(1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개폐수단(31)을 구성하는 원통체(31b)가 치약 이송통로(14)의 수직 내측벽에 형성된 돌출부(14a)와 맞닿아 배출구(13)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완료한 후에야 비로서 사용자는 양치질을 할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다시 한번 양치질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노브(35)를 강하게 잡아당기거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31)을 구성하는 원통체(31b)가 치약 이송통로(14)의 내측벽에 형성된 돌출부(14a)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배출구(13)가 개방된다.
이후부터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 다시 한번 사용자는 양치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치약을 내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치약과 칫솔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치약 배출구를 최대한 많이 차단하여 치약이 굳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치약이 유입되는 유입구(12)와 칫솔모(11) 사이로 배출되는 배출구(13)를 갖는 양단 개구 형상의 치약 이송통로(14)가 구비된 칫솔 머리(10)와;
    상기 유입구(12)와 연통 가능하게 상기 칫솔 머리(10)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치약이 채워지는 일정한 길이의 치약 수용통(20)과;
    상기 치약 이송통로(14)의 내벽면에 회전 및 전후 이송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배출구(13)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1)이 일단부에 구비되고, 외주면 일정 부분에 나사부(30a)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1)의 반대편 단부에 조작노브(35)가 구비된 치약 이송 샤프트(30)와;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나사부(30a)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 샤프트(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치약 수용통(20)의 안내를 받아 전진하면서 치약을 압출하는 치약 압출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형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31)은,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단부측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돌출된 리브(31a)와;
    외주면이 상기 치약 이송통로(14)의 내주면에 회전 및 전후 이송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내주면이 상기리브(31a)와 연결되는 원통체(31b)로 이루어져,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가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원통체(31b)가 상기 배출구(14)에 인접한 치약 이송통로(14)의 내벽을 차단하여 치약의 배출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치약 이송 샤프트(30)가 후진하는 경우에 상기 원통체(31b)가 상기 배출구(13)에 인접한 치약 이송통로(14)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치약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형 칫솔.
KR2020010014831U 2001-05-21 2001-05-21 치약 내장형 칫솔 KR200244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31U KR200244804Y1 (ko) 2001-05-21 2001-05-21 치약 내장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31U KR200244804Y1 (ko) 2001-05-21 2001-05-21 치약 내장형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804Y1 true KR200244804Y1 (ko) 2001-10-15

Family

ID=7306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831U KR200244804Y1 (ko) 2001-05-21 2001-05-21 치약 내장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8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23Y1 (ko) * 2009-07-08 2012-07-06 주식회사 써니텍 실내용 급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23Y1 (ko) * 2009-07-08 2012-07-06 주식회사 써니텍 실내용 급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391B2 (en) Integrated toothbrush, toothpaste dispenser and holder with refresh cup cover
US4332497A (en) Combination toothbrush and toothpaste dispenser
EP1552957A2 (en) Liquid container
KR200244804Y1 (ko) 치약 내장형 칫솔
KR200392848Y1 (ko) 헤어 브러쉬
KR200362401Y1 (ko) 자동 배출 립클로우즈의 도포용 팁
KR200281492Y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KR200255523Y1 (ko) 휴대용 치솔
US20050284499A1 (en) Disposable toothbrush having integral toothpaste reservoir
JP2007222422A (ja) 歯ブラシ
US1250454A (en) Tooth-brush.
KR200198357Y1 (ko) 휴대용 칫솔
KR200234841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295230Y1 (ko)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US20210186194A1 (en) Toothbrush with integral toothpaste dispenser
KR200178048Y1 (ko) 치약 공급장치
KR200255522Y1 (ko) 휴대용 치솔
KR200400899Y1 (ko) 칫솔을 결합한 절약형 치약 케이스
KR870000844Y1 (ko) 치약 저장된 신축 치솔
KR200222198Y1 (ko)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KR200189978Y1 (ko) 치약을 내장할 수 있는 치솔
KR900003794Y1 (ko) 일회용치솔
KR200238873Y1 (ko) 정량 치약압출구
JP6354022B2 (ja) 化粧料容器
KR19990035976U (ko) 휴대용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