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28Y1 -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 - Google Patents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28Y1
KR200280728Y1 KR2020020008646U KR20020008646U KR200280728Y1 KR 200280728 Y1 KR200280728 Y1 KR 200280728Y1 KR 2020020008646 U KR2020020008646 U KR 2020020008646U KR 20020008646 U KR20020008646 U KR 20020008646U KR 200280728 Y1 KR200280728 Y1 KR 200280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tainer
warming
heating coi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윤
Original Assignee
조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윤 filed Critical 조경윤
Priority to KR2020020008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28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팅코일과 송풍팬의 위치를 상이하게 위치되도록 형성한 열교환기를 온장용 컨테이너에 장착하여 그 내부의 전체 공기온도를 골고루 히팅시켜 줄 수 있는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써, 냉장컨테이너와 온장컨테이너를 구비한 냉, 온장용 탑차가 형성되고, 상기 온장컨테이너의 일측면에 하부측에 흡입공형성되고, 상부측에 배출공을 갖는 덕트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턱트 내부의 하부측에는 히팅코일이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송풍팬이 구비되게 형성되어 상기 온장컨테이너의 내부 전체에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히팅장치의 히팅 효율을 상승하는 효과가 있으며, 온장컨테이너의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고, 화물의 간섭으로 인하여 열교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여름철에도 지속적으로 물을 순환 시킬 수 있음으로써, 재 가동시 물을 보충해야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 있다.

Description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a heating apparatues of a cooling-heating van}
본 고안은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팅코일과 송풍팬의 위치를 상이하게 위치되도록 형성한 열교환기를 온장용 컨테이너에 장착하여 그 내부의 전체 공기온도를 골고루 히팅시켜 줄 수 있는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 온장용 탑차는 여름에 화물의 품질이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동기가 구비된 냉동켄테이너와 겨울에 화물이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히팅코일이 구비된 온장켄테이너가 각각 분리되어 차량에 설치되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냉, 온장용 탑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탑차(100)의 후방으로 실내기(310)와 실외기(320)로 구성된 냉동기(300)가 설치된 냉동컨테이너(200)와 그 후방으로 물이 순환되는 히팅코일(12)과 송풍팬(13)이 구비된 히팅장치(1)가 내부에 설치된 온장컨테이너(2)가 설치되게 구성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물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통상의 히팅코일(12)이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내측 바닥에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자연 대류현상으로 인하여 적재된 화물이 얼지 않고 운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온장컨테이너(2)가 내부에 상기 히팅장치(1)가 구비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이 현저히 감소하고, 히팅되어진 공기는 적재된 화물에 의하여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히팅장치(1)의 앞에 적재된 화물은 온도가 지속적으로 올라가며, 뒷쪽에 적재된 화물은 얼게되는데 특히, 의료용 백신과 와인은 상기 히팅장치(1)의 근처에는 높은 열로 인하여 변질되고, 뒷부분은 냉각됨으로써, 상기 백신과 와인을 폐기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히팅장치(1)를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상측으로 설치하면 공기의 순환은 잘되지만 물의 순환에 발생된 공기는 상기 히팅코일(12)의 내부의 상부측으로 고이게 됨으로써, 가열된 물이 순환이 되지 않게 되어 히팅효율이 감소하고, 여름철에는 상기 히팅코일(12)에 순환되는 물을 제거함으로써, 재 가동시 다시 물을 보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히팅코일과 송풍팬의 위치를 상이하게 위치되도록 형성한 열교환기를 온장용 컨테이너에 장착하여 그 내부의 전체 공기온도를 골고루 히팅시켜 줄 수 있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장컨테이너와 온장컨테이너를 구비한 냉, 온장용 탑차가 형성되고, 상기 온장컨테이너의 일측면에 하부측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부측에 배출공을 갖는 덕트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턱트 내부의 하부측에는 히팅코일이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송풍팬이 구비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냉, 온장용 탑차를 보인 단면도.
1 : 히팅장치
11 : 덕트 12 : 히팅코일
13 : 송풍팬
2 : 온장컨테이너
21 : 도어
21a : 흡입공 21b : 배출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탑차(100)의 후방으로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온장컨테이너(2)가 구비되고,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후방 외측면에 히팅장치(1)가 구비되게 구성된다.
상기 온장컨테이너(2)는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단열 처리된 재질로 제작되고, 후면에 여닫이식 도어(2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21)의 상부측에는 사각의 배출공(21b)이 형성되고, 하부측으로 사각의 흡입공(21a)이 형성된다.
상기 히팅장치(1)는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후방측에 형성된 도어(21)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21b)과 상기 흡입공(21a)을 상호 연결하도록 덕트(11)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11)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공(21b)과 상기 흡입공(2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 하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11)가 상기 배출공(21b)과 상기 흡입공(21a)을 밀폐된 채로 연결시킬 수 있을 수 있고, 외부에 단열 처리되어져 있다.
상기 온장컨테이너(2)는 영하의 기온으로 떨어지는 겨울철에 의료용 백신, 와인, 꽃, 식물, 과일등과 같이 얼어붙으면 안돼는 화물을 운송할 때 주로 사용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자세히 설명하면;
온장컨테이너(2)의 후면으로 여닫이식 도어(21)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1)에 형성된 배출공(21b)과 흡입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21b)과 상기 흡입공(21a)을 밀폐, 연결시키는 덕트(11)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11)의 내부에 히팅코일(12)과 송풍팬(13)이 설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히팅코일(12)은 상기 덕트(11)의 내부 하부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히팅코일(11a)의 내부에는 가열된 물이 차량의 순환펌프에 의하여 순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장컨테이너(2) 내부의 차가운 공기와 접촉하여 히팅 시키는 것이며, 상기 가열코일 상기 히팅코일(12)은 상기 덕트(11)의 하부측에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13)은 상기 덕트(11) 내부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히팅된 공기를 상기 온장컨테이너(2)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흡입공(21a)으로 공기가 흡입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히팅코일(12)은 하부측에 형성되어 가열된 물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로 인하여 물이 순환되는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외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에는 상기 히팅코일(12)을 구비한 히팅장치(1)가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내부에 형성되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하는 것과 적재된 화물이 상기 히팅코일(12)을 파손시키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상기 송풍팬(13)을 가동하여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차가운 공기가 상기 흡입공(21a)으로 유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히팅코일(11a)과 접촉되어 더운 공기로 전환되며, 전환된 더운 공기는 상기 송풍팬(13)에 의하여 상기 배출공(21b)을 통해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내부로 배출되어 내부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름철에는 상기 송풍팬(13)의 작동은 중지되지만, 상기 히팅코일(12)은 지속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상기 히팅코일(12)로 히팅된 공기의 흐름은 상기송풍팬(13)에 장애를 받아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내부로 유입되기가 어렵고,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공기 온도와 상기 히팅코일(12)의 온도차이가 별로 크지 않음으로써, 자연대류 현상이 활발하지 않아서 상기 히팅코일(12)을 중단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온장컨테이너의 일측면으로 하부측에 히팅코일이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송풍팬이 형성된 히팅장치가 설치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온장컨테이너의 내부 전체에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히팅장치의 히팅 효율을 상승하는 효과가 있으며, 온장컨테이너의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고, 화물의 간섭으로 인하여 열교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여름철에도 지속적으로 물을 순환시킬 수 있음으로써, 재 가동시 물을 보충해야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 있다.

Claims (1)

  1. 냉장컨테이너(200)와 온장컨테이너(2)를 구비한 냉, 온장용 탑차(100)에 있어서,
    상기 온장컨테이너(2)의 일측면에 하부측에 흡입공(21a)형성되고, 상부측에 배출공(21b)을 갖는 덕트(11)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턱트(11) 내부의 하부측에는 히팅코일(12)이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송풍팬(13)이 구비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
KR2020020008646U 2002-03-22 2002-03-22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 KR200280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46U KR200280728Y1 (ko) 2002-03-22 2002-03-22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46U KR200280728Y1 (ko) 2002-03-22 2002-03-22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28Y1 true KR200280728Y1 (ko) 2002-07-13

Family

ID=7311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646U KR200280728Y1 (ko) 2002-03-22 2002-03-22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12B1 (ko) * 2006-06-01 2007-08-20 주식회사 사라콤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환풍구용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12B1 (ko) * 2006-06-01 2007-08-20 주식회사 사라콤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환풍구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97567B (zh) 冷藏库冷风机内蒸发器的压差式除霜装置
CN101986067B (zh) 冰箱
US6564570B2 (en) Horizontal refrigerator
JP2018071874A (ja) 冷蔵庫
KR200280728Y1 (ko) 냉, 온장용 탑차의 히팅장치
JP2006300368A (ja) 無風冷却システム
JP2589223B2 (ja) 冷却貯蔵庫
JP3807518B2 (ja) 冷蔵倉庫
CN210220360U (zh) 冰箱
JPH10311649A (ja) 食品用冷凍庫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5367553B2 (ja) 冷却貯蔵庫
KR100232103B1 (ko) 쇼케이스
JP2609954B2 (ja) 冷却貯蔵庫
KR101775274B1 (ko) 절전형 저온저장고
CN213273359U (zh) 一种保鲜库
EP3497386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zero-degree compartment having optimized structure for cooling
KR100271584B1 (ko) 세미간냉및쾌속제상냉장고
JP2609957B2 (ja) 冷却貯蔵庫
JP4679885B2 (ja) 冷却室
KR200341848Y1 (ko)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KR19980015103A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및 그 장치
KR100359831B1 (ko) 진공 냉장고의 열교환촉진장치
KR20160012517A (ko) 냉장고의 냉풍건조방법 및 냉풍건조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JPH0336865Y2 (ko)
KR19990056249A (ko) 세미 간냉식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