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848Y1 -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 Google Patents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848Y1
KR200341848Y1 KR20-2003-0035279U KR20030035279U KR200341848Y1 KR 200341848 Y1 KR200341848 Y1 KR 200341848Y1 KR 20030035279 U KR20030035279 U KR 20030035279U KR 200341848 Y1 KR200341848 Y1 KR 200341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hot pipe
cooling device
compress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수
Original Assignee
이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수 filed Critical 이봉수
Priority to KR20-2003-0035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8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온 이하의 저온 보관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냉동탑차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동탑차에 탑재되는 통상의 냉각사이클을 갖는 냉각장치에 별도의 핫파이프를 결합하되, 상기 핫파이프를 압축기의 배출측으로부터 분기하여 증발기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핫파이프는 별도의 3방변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3방변에 의해 냉매의 순환사이클이 가변되게 함으로서,
운반고내의 습도량에 따라 핫파이프에 의한 증발기의 제습효과가 이루어지게 하여 냉동, 냉장식품의 운반은 물론 습기에 취약한 과자류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증발기에 발생하는 결로현상 및 성에발생을 방지하므로 열효율의 향상은 물론 냉기의 원활한 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Refrigerator car mounting cooling apparatus with dehumidifying effect}
본 고안은 상온 이하의 저온 보관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냉동탑차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냉각장치의 냉각사이클 중 압축기의 배출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증발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별도의 핫파이프를 3방변에 의해 장착하여, 그 핫파이프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발생하는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서 쵸콜릿이나 사탕, 과자류 등의 운반물이 습기에 의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그 증발기에 결로현상에 의한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에 대한 것이다.
냉동탑차는 각종 냉동식품이나 저온식품 등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저온 식,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차량 적재부에 함체상의 운반고를 형성하고 그 차량의 헤드측 또는 운반고의 상부 일측에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상기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통해 그 운반고의 내부 온도가 저온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냉각장치의 냉각사이클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 -> 증발기의 순서로 순환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되는 것이며,
그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기술하면, 엔진의 동력에 의해 압축기(100)가 구동되고, 상기 압축기(100)가 구동됨에 따라 고온저압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101)에이르러 중온고압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응축기(101)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는 팽창밸브(102)를 통과하며 증발기(103)로 유입되어, 액체상태의 냉매가 순간적으로 기화되면서 주변열을 흡수하므로 증발기(103)의 주변에는 차가운 공기가 형성되므로 별도의 배기팬에 의해 차가운 공기를 운반고의 내부로 토출하는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은 냉각사이클을 지속적으로 순환반복하므로 그 운반고의 내부에는 설정된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동 및 냉장을 요하는 모든 식음료 및 저온보관 물품 등을 최적의 온도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냉각사이클에 의한 냉동탑차는 증발기 주변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에 의한 수분증가로 운반고 내부에는 다습한 상태가 되므로 습기에 취약한 운반물에는 적합치 않은 것이다.
즉, 증발기는 중온고압의 액화 냉매가 순간적으로 기회되면서 주변열을 흡수하여 냉각되는 것으로서 이때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해 증발기에는 결로현상 및 결로에 의한 성에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로현상은 다습한 냉기를 토출하게 되므로 과자나 사탕류, 초콜릿과 같이 습기에 취약한 운반물의 경우 일정시간 이후에는 눅눅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결로현상이 지속되면 그 증발기의 표면에는 성에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두꺼운 성에층에 의해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매우 비경제적이면서도 냉기의 원활한 순환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며, 일정 주기마다 상기한 성에를 제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냉동탑차에 탑재되는 통상의 냉각사이클을 갖는 냉각장치에 별도의 핫파이프를 결합하되, 상기 핫파이프를 압축기의 배출측으로부터 분기하여 증발기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핫파이프는 별도의 3방변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3방변에 의해 냉매의 순환사이클이 가변되게 함으로서,
운반고내의 습도량에 따라 핫파이프에 의한 증발기의 제습효과가 이루어지게 하여 냉동, 냉장식품의 운반은 물론 습기에 취약한 과자류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증발기에 발생하는 결로현상 및 성에발생을 방지하므로 열효율의 향상은 물론 냉기의 원활한 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동탑차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장치의 냉각사이클 선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냉각작용시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제습작용시 흐름도
도 5는 종래의 냉각사이클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량 3 : 운반고
4 : 압축기 5 : 응축기
6 : 팽창밸브 7 : 증발기
8,8',8" : 순환관 9 : 냉각장치
10 : 핫파이프 11,11' : 3방변
12 : 습도센서
20 : 냉각휀 21 : 배기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동탑차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장치의 냉각사이클 선도이다.
차량(1)의 후측에 운반고(3)가 형성되고 그 운반고(3)의 내부는, 압축기(4)와 응축기(5), 팽창밸브(6), 증발기(7)가 순환관(8)에 의해 연결된 냉각장치(9)에 의해 저온상태가 유지되게 한 통상의 냉동탑차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4)의 배출측 순환관(8')에 별도의 핫파이프(10)를 분기 형성하여 이를 3방변(11)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핫파이프(10)는 증발기(7)의 내측을 지그재그상으로 통과하여 증발기(7)의 배출측 순환관(8")에 또다른 3방변(11')에 의해 결합하되,
상기 운반고(3)의 내측에는 별도의 습도센서(12)를 장착하여, 상기 습도센서(12)에 의해 3방변(11)(11')이 제어 작동되게 함으로서,
통상의 냉각사이클에 의한 냉각기능은 물론 핫파이프에 의한 제습기능을 각각 수행케하여 포괄적인 종류의 각종 식품 및 물품을 적절한 온도 및 수분을 유지하며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은 냉각휀, 21은 배기휀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냉각사이클에 의한 차량(1) 내부 운반고(3)의 냉각작용을 살펴보면, 통상의 냉각사이클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여 압축기(4)가 작동되면 압축기(4)에 의한 고온고압의 냉매는 순환관(8)을 따라 응축기(5)로 이동하는 것이며,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5)에 이르러 열손실되며 중온고압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응축기(5)에는 별도의 냉각휀(20)이 부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냉각휀(20)에 의해 응축기(5)의 열기를 대기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서 고온고압의 냉매 온도가 보다 신속하게 저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중온고압 상태의 냉매는 팽창밸브(6)에 이르러 증발기(7) 측으로 중온고압의 냉매를 토출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액화상태의 냉매가 기화되면서 급속한 압력차에 따른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손실되는 열은 외기에서 흡수하게 되므로 증발기(7)은 주변은 급속하게 냉각되는 것이다.
따라서, 증발기(7) 주변의 저온 공기를 별도의 배기휀(21)에 의해 운반고(3)의 내부로 토출하게 되면 그 운반고(3)의 내부온도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사이클의 반복 순환에 의해 운반고(3)의 내부온도는 설정된 온도까지 저하되는 것이므로 운반물의 최적온도 설정에 의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저온운반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증발기(7)는 그 주변이 저온상태이므로 급격한 기온차에 의해 증발기(7)의 주변에는 결로현상 및 결로에 다른 성에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결로현상 및 성에는 운반고(3) 내부의 수분함량을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므로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제습사이클과 같이 운반고(3) 내에 장착된 습도센서(12)가 설정된 습도이상을 감지하여 이를 전송하면 통상의 제어회로에 의해 핫파이프(10)와 순환관(8)을 연결하고 있는 3방변(11)(11')을 제어하여 압축기(4)로부터 이동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기(5)를 거치지 아니하고 증발기(7)의 내측을 관통하는핫파이프(10) 측으로 순환되게 함으로서, 고온고압의 냉매에 의해 핫파이프(10)가 가열되므로 결로 및 성에가 발생한 증발기(7)의 수분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냉각사이클의 작동중에는 상기한 3방변(11)(11')이 압축기(4)와 응축기(5) 및 증발기(7)와 압축기(4)가 서로 연통되게 함으로서, 통상의 냉각사이클이 이루어지는 반면,
습도센서(12)에 의한 제습사이클의 작동시에는 상기한 3방변(11)(11')이 압축기(4)와 핫파이프(10) 및 핫파이프(10)와 압축기(4) 유입측의 순환관(8")이 서로 연통되게 함으로서, 종래의 냉각사이클을 거치지 아니하고 고온상태의 냉매만이 핫파이프(10)로 유도되게 함으로서, 고온의 냉매에 의한 핫파이프(10)의 발열에 의해 증발기(7)에 형성된 결로 및 성에가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한 핫파이프(10)의 일단은 3방변(11)에 의해 압축기(4)의 배출측 순환관(8')에 분기 결합되어 있으며, 핫파이프(10)의 타단은 또다른 3방변(11')에 의해 압축기(4)의 유입측 순환관(8")에 각각 분기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핫파이프(10)의 중간부는 증발기(7)의 내측에 지그재그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발열상태의 핫파이프(10)는 증발기(7) 전체의 신속한 건조효과는 물론, 건조 상태의 공기를 배기휀(21)에 의해 운반고(3)의 내측으로 토출하므로 그 운반고(3) 내측 또한 습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초콜릿이나 사탕, 과자류 등 수분에 적합치 않은 물품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습도 이상시 습도센서(12)에 의해 자동으로 3방변(11)(11')을 제어하여 제습사이클로 변환되게 함으로서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습도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습사이클에 의해 만족할만한 습도가 유지되면 다시 3방변(11)(11')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냉각사이클을 수행하게 되므로 운반고(3) 내측의 저온상태는 유지하면서도 수분만을 신속하게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는, 운반고내의 습도량에 따라 핫파이프에 의한 증발기의 제습효과가 이루어지게 하여 냉동, 냉장식품의 운반은 물론 습기에 취약한 과자류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며, 증발기에 발생하는 결로현상 및 성에발생을 방지하므로 열효율의 향상은 물론 냉기의 원활한 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1)의 후측에 운반고(3)가 형성되고 그 운반고(3)의 내부는, 압축기(4)와 응축기(5), 팽창밸브(6), 증발기(7)가 순환관(8)에 의해 연결된 냉각장치(9)에 의해 저온상태가 유지되게 한 통상의 냉동탑차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4)의 배출측 순환관(8')에 별도의 핫파이프(10)를 분기 형성하여 이를 3방변(11)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핫파이프(10)는 증발기(7)의 내측을 지그재그상으로 통과하여 증발기(7)의 배출측 순환관(8")에 또다른 3방변(11')에 의해 결합하되,
    상기 운반고(3)의 내측에는 별도의 습도센서(12)를 장착하여, 상기 습도센서(12)에 의해 3방변(11)(11')이 제어 작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KR20-2003-0035279U 2003-11-11 2003-11-11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KR200341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79U KR200341848Y1 (ko) 2003-11-11 2003-11-11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79U KR200341848Y1 (ko) 2003-11-11 2003-11-11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848Y1 true KR200341848Y1 (ko) 2004-02-14

Family

ID=4934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279U KR200341848Y1 (ko) 2003-11-11 2003-11-11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8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73B1 (ko) 2014-04-17 2016-05-26 주식회사 한국공조기술개발 실외기의 응축열을 재활용하여 항온항습 및 제습기능을 겸비한 항온항습장치에서 제습효율을 높인 제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73B1 (ko) 2014-04-17 2016-05-26 주식회사 한국공조기술개발 실외기의 응축열을 재활용하여 항온항습 및 제습기능을 겸비한 항온항습장치에서 제습효율을 높인 제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277A (en) Dehumidifier for cryogenic refrigeration system
CN202393126U (zh) 一种冰箱
US9857114B2 (en) Controlling chilled state of a cargo
KR101286565B1 (ko) 발효식품용 냉장컨테이너
US20060130514A1 (en) Anti-frost evaporator pipe of drawer type refrigerator
CN1111342A (zh) 一种吸热并在预定温度下保藏新鲜产品的方法与设备
KR100759655B1 (ko) 냉각고
CN102997558B (zh) 冰箱
KR100415684B1 (ko) 히트 펌프식 건조기겸 냉장창고
JP2000081266A (ja) トラック、トレ―ラ―、又はセミトレ―ラ―等の車両用冷蔵体
KR200341848Y1 (ko) 제습기능을 갖는 냉각장치가 탑재된 냉동탑차
KR200341847Y1 (ko) 복수의 증발기에 의한 구획공간별 개별 온도제어가가능한 냉동탑차
KR100674531B1 (ko) 비착상식 냉각 시스템
US20150027141A1 (en) Batch freezer with cryogenic precool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076995A (ja) 冷蔵庫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146400A (ja) 冷蔵庫
JPH10311649A (ja) 食品用冷凍庫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2005164199A (ja) 冷蔵庫
JPH07294089A (ja) 冷蔵庫の着霜低減装置
JP2004011997A (ja) 冷蔵庫
KR200341846Y1 (ko) 나선상 유도선을 갖는 순환관에 의한 냉동탑차용 냉각장치
KR100379403B1 (ko)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상운전 방법
KR200195558Y1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축냉식 냉동,냉장고
KR100249195B1 (ko) 냉장고
JP2000065463A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