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413Y1 -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413Y1
KR200280413Y1 KR2020020008632U KR20020008632U KR200280413Y1 KR 200280413 Y1 KR200280413 Y1 KR 200280413Y1 KR 2020020008632 U KR2020020008632 U KR 2020020008632U KR 20020008632 U KR20020008632 U KR 20020008632U KR 200280413 Y1 KR200280413 Y1 KR 200280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late
pedestal
guide bar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김점철
원인섭
Original Assignee
조영철
원인섭
김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원인섭, 김점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2020020008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413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형방향과 직교하는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배력함으로써 장치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작은 공간에서도 장착사용이 편리하게 된 교량받침대 프리셋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는 교량의 교각상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교각과 상판 상호간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는 교량받침대를 상판의 건조변형, 온도변형 등의 각종변형을 사전예측하여 그 변위방향과 역방향으로 변형시켜 보정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 또는 교각에 고정되어, 상기 변형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수축팽창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되어 이동하며, 상기 받침대를 향하여 제 1경사부가 형성된 가동편; 및 상기 가동편의 제 1경사부에 밀착되는 제 2경사부가 대응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경사부의 반대면은 상기 변위방향과 수직한 면을 이루고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위를 가압밀착하는 구동편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Presetting apparatus for a structural bearing}
본 고안은 교량구조물에서 교각상에 상판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교량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형방향과 직교하는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배력함으로써 장치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작은 공간에서도 장착사용이 편리하게 된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일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되는 교각들과, 이 교각들에 수평으로 얹혀지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이 상판과 교각 사이에 교량받침대가 설치되어 철근과 콘크리트로 이뤄진 상판의 변형을 완화하여 전달하게 된다. 즉, 교량받침대는 교량의 슬라브 구조체인 상판이 이를 지지하는 교각상에 적절히 얹혀져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 교량의 규격이나 지지하중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와 기능을 갖는다.
교량구조물은 건축구조물과는 달리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길어 계절의 온도변화 및 일교차에 의한 교량상판의 온도신축이 심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뚜렷한 사계절을 갖고 있어 온도변화폭이 큰 경우에는 교량상판의 온도신축을 수용할 수 없으면 온도응력에 의해 교량구조물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상판과 교각 사이의 접촉부위에 온도변화에 따른 수평변위를 수용하여 온도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교각상부에 완충구조의 받침대를 설치하게 된다. 즉, 교량을 구축하는 경우 받침대는 교량상부구조물의 변형 및 하중을 무리없이 교각, 교대 등의 교량하부구조물에 전달하고, 하부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영향이 가능한 한 상부구조물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받침대로는 핀받침대, 롤러받침대, 고무받침대 등이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진력등의 강한 충격에 대해 효율적으로 완충하기 위하여 여러종류의 면진받침대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엘알비(L.R.B;Lead Rubber Bearing)는 원통형으로 중간에 납이 삽입되어 충격을 완화하고 충격후에는 원상으로 복귀하는 기능이 있다. 이에 대한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받침대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판(10)을 교각(20)상에 구축한 후에는 건조수축 및 크리프(Creep)의 영향에 의해 상판이 수평방향으로 변형되어 큰 전단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도시한 바와 같은 납(32)이 중간에 삽입된 기존의 엘알비받침대(30)를 그냥 설치할 경우 자체적인 보정능력이 없으므로, 위와 같은 건축시 변위에 의하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30)가 기울어진 상태로 변형되어 면진기능이 크게 약화되므로 지진과 같은 큰 충격을 제대로 완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위와 같은 전단변형을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Pre-setting)장치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2는 교량받침대의 변위를 수정하기 위한 프리셋팅장치가 교량에 장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조도로, 보는 바와 같이 교각(20)과 상판(10) 사이에 받침대(30a)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교각(20)과 상판(10) 사이에 개재된 받침대(30a)는 상판(10)의 콘크리트 타설후의 건조변형이나 크리프에 의한 변형을 고려하여 변형량을 산출하고, 그 변형량만큼을 프리셋팅장치(40)를 이용하여 반대방향으로 미리 조정시켜 놓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받침대(30a)는 그 측면(수직면)이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게 된다. 그런다음에, 상판(10)의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수행하여 상판(10)을 완성할 경우 건조과정에서 선조정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평변위가 발생하며 탄성의 받침대(30a)는 고유의 상태, 즉 그 측면이 수직면을 이룬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대(30a)를 건조시의 변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변위를 강제적으로 유발하는 프리셋팅장치(40)는 상판(10)의 하부에 지지구(42)를 장치하고, 그에 구동기인 잭(44)을 설치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동하였다. 즉, 잭(44)은 지지구(42)에 고정된 수평의 실린더(44a)와, 이 실린더(44a)로부터 수축팽창하는 로드(44b)를 받침대(30a)에 고정시켜 구성한다. 따라서, 실린더(44a)의 로드(44b)는 변위방향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므로, 받침대(30a)를 로드(44b)로 밀어 이동시킬 경우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고로, 대용량의 잭(44)이 필요하여 잭(44)이 대형화되고, 그를 지지하는 지지구(42)도 대형화되어야 한다.
특히, 받침대(30a)에는 상판(10)의 중량에 의해 큰 수직하중이 작용함으로써 받침대(30a)의 하부판(34a)과 상부판(36a) 사이에 매우 큰 마찰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이러한 큰 마찰력을 극복하고 하부판(34a)을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잭(Jack)(44)을 교각(20)과 상판(10) 사이에 장치하여야 하지만, 교각(20)과 상판(10) 사이의 공간이 좁아 대용량의 대형잭(44)을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설치한다 하여도 소요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그를 지탱하는 튼튼한 지지구(42)를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부착시키기가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변형방향과 직교하는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배력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 경량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장착사용할 수 있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종래의 교량받침대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교량받침대의 변위를 수정하기 위한 프리셋팅장치가 교량에 장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의 일예가 적용된 교량의 측면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의 다른예가 적용된 교량의 측면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부메이손리플레이트 200 : 받침대
210 : 하부판 220 : 상부판
230 : 탄성체 300 :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
310,320 : 뒤틀림방지가이드바 312,322 : 볼트
400 : 프리셋팅장치 410 : 외부가이드바
420 : 고정편 430 : 액츄에이터
432,432a : 실린더 434,434a : 로드
440,440a : 가동편 442,442a : 제 1경사부
450,450a : 구동편 452,452a : 제 2경사부
460 : 내부가이드바 462,462a : 규제바
500 : 프리셋팅장치 510 : 액츄에이터
512 : 실린더 514 : 로드
520 : 가동편 522 : 제 1경사부
530 : 외부가이드바 540 : 구동편
542 : 제 2경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는 교량의 교각상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교각과 상판 상호간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는 교량받침대를 상판의 건조변형, 온도변형 등의 각종변형을 사전예측하여 그 변위방향과 역방향으로 변형시켜 보정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 또는 교각에 고정되어, 상기 변형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수축팽창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되어 이동하며, 상기 받침대를 향하여 제 1경사부가 형성된 가동편; 및 상기 가동편의 제 1경사부에 밀착되는 제 2경사부가 대응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경사부의 반대면은 상기 변위방향과 수직한 면을 이루고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위를 가압밀착하는 구동편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의 일예가 적용된 교량의 측면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미도시한 교각상에 고정되는 하부메이손리플레이트(100; Masonry plate)상에는 탄성의 받침대(200)가 장착된다. 받침대(200)는 하부판(210)과 상부판(220) 사이에 탄성체(230)를 개재하여 구성된다. 탄성체(230)는 그 내부에 상,하부고정판들(232,234)을 구비하고, 이 상,하부고정판들(232,234)의 외면에 각각 상,하부판(210,220)을 밀착시킨 후 볼트들(212,222)을 체결하여 일체화시키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탄성체(230)는 시설되는 교량의 하중 및 변위를 고려하여 적합한 두께로 제작된다. 탄성체(230)로는 원통형의 고무내부에 납판등의 금속판을 내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받침대(200)는 그 하부판(210)을 하부메이손리플레이트(100)상에 안착하고, 볼트(110)로 체결하여 교각상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그 상부판(220)상에 교량상판(미도시)에 고정되는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300)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사각판형 상부판(22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한쌍의 뒤틀림방지가이드바들(310,320)을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300)에 볼트들(312,322)로 고정시켜, 상부판(220)과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300)가 상호 직선방향으로만 운동이 가능하도록 규제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프리셋팅장치(400)로 받침대(200)의 상부판(220)을 밀 경우 상부판(220)의 양측면이 뒤틀림방지가이드바들(310,320)에 의해 규제되며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300)에서 직진이동하게 된다.
본 프리셋팅장치(400)는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300)와 받침대(200)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받침대(200)의 상부판(220)일측면과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300)의 대응저부에 장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300)의 저부에는 외부가이드바(41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외부가이드바(410)의 중심내측으로는 그와 수직하게 고정편(420)이 고정되며, 고정편(420)의 양측으로는 그와 수직하게 한쌍의 액츄에이터들(430,430a)이 대향하며 고정되어 있다. 즉, 액츄에이터(430,430a)의 실린더(432,432a)는 고정편(420)에 고정되고, 그 수축팽창하는 로드들(434,434a)이 외부로 향하고 있다. 이 로드들(434,434a)에는 각각 가압편들(440,440a)이 취부되어 있다. 이 가압편(440,440a)은 일측면이 외부가이드바(410)의 내면에 밀착되어 그를 따라 직선운동하게 되어 있으며, 그 반대면에는 제 1경사부(442,4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경사부(442,442a)는 그와 대응하는 제 2경사부(452,452a)를 밀어, 제 2경사부(452,452a)가 형성된 구동편(450,450a)을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 구동편(450,450a)은 제 2경사부(452,452a)의 반대측에 위치한 내부가이드바(460)를 이동시키게 된다. 내부가이드바(460)는 볼트(462)들로 받침대(200)의 상부판(220)에 고정되어 있어, 내부가이드바(460)의 이동은 곧 받침대(200)의 상부판(220)을 이동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그것은 또한 상부판(220)이 고정된 탄성체(230)의 상부를 이동시켜 도 3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230)를 경사지게 한다. 이렇게 액츄에이터(430,430a)의 구동력은 가동편(440,440a)과 구동편(450,450a)의 제 1,제 2경사부(442,442a,452,452a)에 의해 그와 대략 수직하게 변환되면서 증폭되게 되는데,이때 액츄에이터(430,430a)의 구동력을 보다 크게 배력하기 위해서는 제 1,제 2경사부(442,442a,452,452a)의 대응부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적어야 된다. 그를 위하여, 제 1,제 2경사부(442,442a,452,452a)의 대응면에 스테인리스스틸판이나 수지(PTFE)판을 부착시켜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구동편(450,450a)이 측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내부가이드바(460)의 양측면에는 그와 수직하게 규제바들(470,470a)이 볼트들(472,472a)로 고정되어 있다. 물론, 구동편(450,450a)은 받침대(200)의 상부판(220)에 직접 고정해도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편(450,450a)을 상부판(220)에 직접 고정하지 않고 내부가이드바(460) 및 규제바들(470,470a)을 개재하여 복잡한 구조로 구성한 데에는 구동편(450,450a)과 내부가이드바(460) 사이에 간격조절판(480)을 삽입하여 탄성체(220)의 변위폭을 조절함에 의하여 손쉽게 변위조절폭의 확장을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액츄에이터(430,430a)로는 잭(Jack)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동원으로 유압이나 공압 또는 스크류구동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량의 건설시에 교각위에 하부메이손리플레이트(100)를 개재하고 기설명한 구조의 받침대(200)를 설치한 다음, 받침대(200)상에 상판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조하면 건조시에 건조변형 및 크리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프리셋팅장치(400)를 상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받침대(200)의 측면에 장치한다. 그리고 나서, 액츄에이터들(430,430a)을 구동시켜 로드들(434,434a)을 팽창시키면, 한쌍의 가동편들(440,440a)이 대향하면서 외부로 이동되어 그와 밀착된 구동편들(450,450a)을 밀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가동편(440,440a)의 제 1경사부(442,442a)가 구동편(450,450a)의 제 2경사부(452,452a)를 밀게 되고, 제 1,제 2경사부들(442,442a,452,452a)이 스테인리스스틸판이나 PTFE판으로 되어 있어 적은 마찰이 발생하면서 밀리게 된다. 따라서, 구동편(450,450a)은 그와 접촉되어 있는 내측가이드바(460)를 밀게 되고, 내측가이드바(460)가 고정된 받침대(200)의 상부판(220)이 건조변형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한쌍의 액츄에이터들(430,430a)이 작동하여 받침대(200)를 밀착하므로 밀착력이 배가될 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들(430,430a)의 구동력을 경사부들(442,442a,452,452a)의 밀착력으로 변환시켜 그와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받침대(200)를 미는 힘이 배력되게 된다. 이렇게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이동량은 미리 건조변형, 크리프, 온도변형 등 각종 변형량을 미리 계산하여 얻어진 값이다.
위와 같이 미리 변형량을 예측하여 반대방향으로 변형시킨 후, 받침대(200)의 상부판(200)을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300)에 용접이나 볼팅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리고, 받침대(200)의 측면에 장착된 본 프리셋팅장치(400)를 제거한 후, 상판의 콘크리트를 타설건조시키면 기울어진 탄성체(230)가 건조변형, 크리프등의 각종 변형요인에 의해 상판이 변형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의 다른예가 적용된 교량의 측면구조도이다.
사전에 변위폭을 조절하기 위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이외에도 이제부터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들은 결과적으로 받침대의 상부판을 가압하여 탄성체를 사후에 발생할 변위량만큼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이제부터 도 5를 참조하며 다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면, 본 프리셋팅장치(5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10)의 실린더(512)를 하부메이손리플레이트(100)에 수직하게 고정시켜 그 로드(514)가 위쪽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510)의 로드(514)의 단부에 가동편(520)을 취부하여,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100)의 저부에 고정된 외부가이드바(530)의 내측에 규제되어 그 내면을 따라 승강하게 한다. 가동편(520)의 내측에는 제 1경사부(5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 1경사부(522)에 밀착되는 제 2경사부(542)를 갖는 구동편(540)을 받침대(200)쪽으로 위치시켜, 그 반대면이 받침대(200)의 상부판(220)의 측면에 고정된 내부가이드바(550)에 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액츄에이터(510)가 구동하여 그 로드(514)가 팽창할 경우, 로드(514)단에 고정된 가동편(520)이 외부가이드바(530)의 내측을 따라 상승하면서 그 반대측의 제 1경사부(522)가 제 2경사부(542)를 밀어 구동편(540)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서, 구동편(540)이 내부가이드바(450)를 밀어서 상부편(22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체(230)를 가상선처럼 경사시키게 된다. 물론, 이렇게 받침대(200)의 탄성체(230)를 변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위량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작업후 건조하면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해 탄성체(230)는 원상복귀하게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량받침대 프리셋팅장치는 변형방향과 직교하는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배력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더욱이, 작은 공간에서 한쌍의 액츄에이터의 설치가 가능하여 보다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에 따라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착사용이 가능하여 교각과 상판의 간격이 큰 교량은 물론 작은 교량에서도 설치가 간편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상판)과 하부구조물(교각)의 형태, 크기 및 간격에 상관없이 모든 교량에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뛰어나고, 그 구조가 간단하며 크기가 작아 기존의 제품에 비해 제품높이가 낮아 재래식 교량받침대가 설치된 기존교량의 유지보수용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교량의 교각상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교각과 상판 상호간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는 교량받침대를 상판의 건조변형, 온도변형 등의 각종변형을 사전예측하여 그 변위방향과 역방향으로 변형시켜 보정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 또는 교각에 고정되어, 상기 변형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수축팽창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되어 이동하며, 상기 받침대를 향하여 제 1경사부가 형성된 가동편; 및
    상기 가동편의 제 1경사부에 밀착되는 제 2경사부가 대응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경사부의 반대면은 상기 변위방향과 수직한 면을 이루고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위를 가압밀착하는 구동편을 포함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의 저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판 양측면을 규제하여 상기 상부판이 상기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에서 변위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안내하는 한쌍의 뒤틀림방지가이드바들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메이손리플레이트의 저면에 상기 변위방향과 직교하는 외부가이드바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가이드바의 중간부위에 그와 수직하게 고정편을 결합하되, 상기 고정편의 양측으로는 대향하는 한쌍의 상기 액츄에이터들이 상기 외부가이드바와 평행하게 고정되어 상기 가동편이 상기 외부가이드바를 따라서 안내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과 밀착되는 상기 구동편은 상기 받침대의 상부판의 일측면에 상기 외부가이드바와 평행하게 고정된 내부가이드바와, 상기 내부가이드바의 양측단에 그와 수직하게 결합된 규제바들에 수용되어 상기 내부가이드바를 통해 상기 상부판을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교각에 고정된 하부메이손리플레이트상에 수직하게 입설되되, 상향위치되는 그 로드단부에 상기 가동편이 취부되며, 상기 가동편의 제 1경사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가동편에 밀착되는 상기 구동편의 상기 제 2경사부도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부판을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경사부 및/또는 상기 제 2경사부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테인리스스틸판 및/또는 PTFE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KR2020020008632U 2002-03-22 2002-03-22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KR200280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32U KR200280413Y1 (ko) 2002-03-22 2002-03-22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32U KR200280413Y1 (ko) 2002-03-22 2002-03-22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413Y1 true KR200280413Y1 (ko) 2002-07-04

Family

ID=7311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632U KR200280413Y1 (ko) 2002-03-22 2002-03-22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4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12B1 (ko) * 2007-10-08 2008-05-15 주식회사비스타이엔씨 교량용 탄성받침
KR102077321B1 (ko) * 2019-06-17 2020-02-13 주식회사 큐디앤 쐐기부재를 이용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탄성받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12B1 (ko) * 2007-10-08 2008-05-15 주식회사비스타이엔씨 교량용 탄성받침
KR102077321B1 (ko) * 2019-06-17 2020-02-13 주식회사 큐디앤 쐐기부재를 이용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탄성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32962B (zh) 一种平行组拼双拱面外失稳的实验加载装置及其方法
US7290648B2 (en) Device for moving a heavy load
US4311091A (en) Rapid-separation mounting arrangement for rollers of a calendering machine
JP5346523B2 (ja) 載置工法及び接合構造
KR200280413Y1 (ko) 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CN115142356A (zh) 盖梁无支架施工方法
KR101949248B1 (ko) 프리셋팅 장치가 부착된 탄성받침
KR930003982A (ko) 압연기 및 압연기 작동방법
KR101862030B1 (ko) 노캠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방법
JP3323222B2 (ja) ハイドロエラスティック式の深絞り装置
CN112853961A (zh) 一种等距变位桥梁伸缩缝装置
CN115354582B (zh) 一种预制装配式分段盖梁的安装支架及其使用方法
CN115897796B (zh) 装配式建筑钢结构的弹性连接结构
CN110206156B (zh) 一种顶升式建筑屋面平台的顶升系统
CN114458004B (zh) 一种剪力墙的铝合金模板结构及其拼装方法
EP1410854B1 (en) A bending press with a substantially undeformable toolholder beam
CN115060480A (zh) 一种通用阻尼装置测试平台及控制系统
KR100584228B1 (ko) 교좌장치의 프리세팅장치
CN216194082U (zh) 简易三相同步钢箱梁匹配液压顶装置
JPH0959927A (ja) 横桁支承用弾性支承装置およびその据付方法
JP7009725B2 (ja) 免震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71687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액츄에이터 설치용 프레임
CN217494686U (zh) 一种预应力混凝土实心方桩的张拉接桩器
CN110158472B (zh) 一种模块化多功能步履式顶推设备
US4533313A (en) Press with columns compensated for deformation during tight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