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461Y1 -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461Y1
KR200277461Y1 KR2020020006665U KR20020006665U KR200277461Y1 KR 200277461 Y1 KR200277461 Y1 KR 200277461Y1 KR 2020020006665 U KR2020020006665 U KR 2020020006665U KR 20020006665 U KR20020006665 U KR 20020006665U KR 200277461 Y1 KR200277461 Y1 KR 200277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ed vehicle
auxiliary wheel
guide rail
auxiliary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송태
Original Assignee
정송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송태 filed Critical 정송태
Priority to KR2020020006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461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정지,서행 및 악천후 시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륜자동차의 후륜 전단 몸체 양측에 선단이 폐쇄되고 일측에 사각홀과 마그네틱 스톱퍼가 설치되어 절곡된 가이드레일을 고정,장착시키고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보조휠이 설치된 슬라이더를 삽입 설치하고 슬라이더의 일측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정,역회전 모터의 풀리에 연결시켜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작동에 의하여 보조휠이 설치된 슬라이더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강시켜 지면에 접지하거나 이륜자동차의 몸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의 상부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게한 것으로 전륜(F)과 후륜(R)으로 구동되는 이륜자동차(B)에 있어서 후륜(R) 전단 몸체에 양측에 선단이 폐쇄되고 일측에 사각홀(10)(10')과 마그네틱 스톱퍼(11)(11')가 설치되어 절곡된 가이드레일(12)(12')을 고정,장착시키고 가이드레일(12)(12')의 내측으로 보조휠(13)(13')이 설치된 슬라이더(14)(14')를 삽입 설치하고 슬라이더(14)(14')의 일측에 와이어(15)(15')를 연결하여 정,역회전 모터(M)의 풀리(16)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Description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Auxiliary wheel apparatus of auto bicycle}
본 고안은 주차,정지,서행 및 악천후 시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륜자동차의 후륜 전단 몸체 양측에 선단이 폐쇄되고 일측에 사각홀과 마그네틱 스톱퍼가 설치되어 절곡된 가이드레일을 고정,장착시키고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보조휠이 설치된 슬라이더를 삽입 설치하고 슬라이더의 일측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정,역회전 모터의 풀리에 연결시켜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작동에 의하여 보조휠이 설치된 슬라이더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강시켜 지면에 접지하거나 이륜자동차의 몸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의 상부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자동차는 전륜과 후륜으로 구성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주행하는 차량으로 주행시 무게중심과 전륜의 조향축을 이용하여 방향전환을 시켜 협소한 도로주행이 가능하고 개방된 차체의 특성으로 속도감을 감지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시내 주행시에 정지하거나 서행시에는 운전자의 발을 지면에 접지시켜 차량을 지지하여야 하며 악천후 즉,눈이나 비가오는 기상조건시는 이륜으로 구성되어 차량 자체의 슬라이딩과 무게중심의 불안정으로 운전자의 발을 이용하여 중심을 유지해야 하는 실정이다.
종래의 이륜자동차는 전륜과 후륜 사이에 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한 스텐드가 설치되어 차량을 정지하거나 주차시에는 스텐드를 하강시키고 운전자가 차량을 후방으로 밀어서 스텐드에 의해 지지할 수 있고 주행을 할 경우에도 스텐드에 의해 지지된 차량을 전방으로 밀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스텐드가 상승되고 시동 후 기어작동으로 주행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륜자동차는 차량을 완전히 정지하거나 주차할 경우에만 스텐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륜자동차의 엔진용량이 250㏄ 이상일 경우에는 운전자 혼자의 힘으로는 차량을 지지하거나 전,후방으로 밀어서 움직이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이륜자동차는 주행중 일시정지 할 경우에는 스텐드를 사용할 수 없고 발을 사용하여야 하고 서행하거나 악천후 시에도 운전자의 발에 의존하므로 불편할 뿐만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스텐드를 장착할 필요없이 핸들부의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풋레스트의 페달을 작동시켜 이륜자동차의 보조휠을 하강시켜 사용하므로 운전자가 중량의 차량을 밀거나 지지할 필요가 없게하고 주차,정지,서행 및 악천후 시에 보조휠을 간단한 조작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초보 운전자의 교습시에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보조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보조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륜자동차의 후륜 전단 몸체 양측에 선단이 폐쇄되고 일측에 사각홀을 천공하고 사각홀의 일측에 마그네틱 스톱퍼가 설치되어 절곡된 가이드레일을 고정,장착시키고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보조휠이 설치된 슬라이더를 삽입 설치하고 슬라이더의 일측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정,역회전 모터의 풀리에 연결시켜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작동시 슬라이더에 연결된 와이어가 풀리면 슬라이더의 자중에 의하여 보조휠이 설치된 슬라이더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강시켜 지면에 접지하고 마그네틱 스톱퍼가 작동하여 슬라이더를 고정시켜 보조휠을 사용하고 보조휠이 필요 없을 때는 와이어를 당겨서 이륜자동차의 몸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의 상부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게한 보조휠장치를 제공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조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작동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사각홀 (11)(11') 마그네틱 스톱퍼
(12)(12') 가이드레일 (13)(13') 보조휠
(14)(14') 슬라이더 (15)(15') 와이어
(16)(16') 풀리 (M) 모터
(F) 전륜(R) 후륜 (B) 이륜자동차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조도로서 이륜자동차의 후륜 전단에 본 고안이 장착되어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보조휠 장치의 일부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며,도 3 은 본 고안의 작동구조도로서 정,역회전 모터의 구동으로 보조휠이 장착된 슬라이더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작동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전륜(F)과 후륜(R)으로 구동되는 이륜자동차(B)에 있어서,
후륜(R) 전단 몸체에 양측에 선단이 폐쇄되고 일측에 사각홀(10)(10')과 마그네틱 스톱퍼(11)(11')가 설치되어 절곡된 가이드레일(12)(12')을 고정,장착시키고 가이드레일(12)(12')의 내측으로 보조휠(13)(13')이 설치된 슬라이더(14)(14')를 삽입 설치하고 슬라이더(14)(14')의 일측에 와이어(15)(15')를 연결하여 정,역회전 모터(M)의 풀리(16)에 연결시킨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이륜자동차를 주차시키거나 주행중에 정지 및 서행 그리고 악천후 시에 운전자가 발을 지면에 착지하지 않고도 차량을 지지하고 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종래의 이륜자동차에 장착되던 스텐드를 제거하고도 안전하게 이륜자동차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륜자동차(B)를 운행하면서 주차,정지,서행 및 악천후 시에는 이륜자동차(B)의 핸들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도시없음) 또는 풋레스트의 페달(도시없음)을 작동시켜 보조휠(13)(13')을 하강시켜서 지면에 착지되면 전륜(F)과 후륜(R) 사이에서 양측으로 보조휠(13)(13')이 이륜자동차(B)를 지지하여 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하는 것으로 핸들부의 스위치 또는 풋레스트의 페달을 작동하면 정,역회전 모터(M)가 정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2)(12')의 내측에 삽입설치된 슬라이더(14)(14')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15)(15')가 풀리(16)에서 풀리게 되면 슬라이더(14)(14')가 자중에 의해 절곡 경사진 가이드레일(12)(12')을 따라 하강하여 가이드레일(12)(12')의 페쇄된 선단에 도달하고 이때 가이드레일(12)(12')의 외측 사각홀(10)(10')의 일측에 설치된 마그네틱 스톱퍼(11)(11')가 하강하여 슬라이더(14)(14')의 후단부를 통제하여 구속시키며 이때 슬라이더(14)(14')의 측면에 설치된 보조휠(13)(13')은 지면에 접지되어 이륜자동차(B)를 지지한다.
그리고 정상적인 주행을 하여 보조휠(13)(13')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스위치 또는 페달을 조작하면 마그네틱 스톱퍼(11)(11')가 슬라이더(14)(14')의 후단에서이탈되면서 정,역회전 모터(M)를 역회전시켜 풀리(16)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더(14)(14')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15)(15')를 끌어 당겨서 가이드레일(12)(12')을 따라 슬라이더(14)(14')가 상승하여 보조휠(13)(13')을 이륜자동차(B)의 몸체 부위로 상승시켜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차량을 주차시키거나 주행중 정지 및 서행시 그리고 악천후시에 운전자가 발을 지면에 착지하여 차량의 중심을 유지할 필요가 없이 스위치 또는 페달의 조작에 의하여 보조휠을 상승 및 하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래의 스텐드와 같은 주차장치를 제거하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스위치 또는 페달을 조작하여 이륜자동차의 보조휠을 하강시켜 사용하므로 운전자가 중량의 차량을 밀거나 지지할 필요가 없게하고 주차,정지,서행 및 악천후 시에 보조휠을 간단한 조작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초보 운전자의 교습시에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륜(F)과 후륜(R)으로 구동되는 이륜자동차(B)에 있어서,
    후륜(R) 전단 몸체에 양측에 선단이 폐쇄되고 일측에 사각홀(10)(10')과 마그네틱 스톱퍼(11)(11')가 설치되어 절곡된 가이드레일(12)(12')을 고정,장착시키고 가이드레일(12)(12')의 내측으로 보조휠(13)(13')이 설치된 슬라이더(14)(14')를 삽입 설치하고 슬라이더(14)(14')의 일측에 와이어(15)(15')를 연결하여 정,역회전 모터(M)의 풀리(16)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KR2020020006665U 2002-03-07 2002-03-07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KR200277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665U KR200277461Y1 (ko) 2002-03-07 2002-03-07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665U KR200277461Y1 (ko) 2002-03-07 2002-03-07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461Y1 true KR200277461Y1 (ko) 2002-06-03

Family

ID=7311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665U KR200277461Y1 (ko) 2002-03-07 2002-03-07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4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1839A (zh) * 2019-08-22 2019-10-18 李增志 带防盗功能的两轮车辆自动升降安全辅助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1839A (zh) * 2019-08-22 2019-10-18 李增志 带防盗功能的两轮车辆自动升降安全辅助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879B1 (ko)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KR200410914Y1 (ko) 휠체어
US7895951B1 (en)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the linear induction motor, LIM, to augment muscle-powered vehicle travel
CN103192914A (zh) 一种小轮径电动车
JPH07508234A (ja) 前輪駆動自動車の自体動力源と一般運転方式を利用した方向転換装置を装着した自動車
KR200277461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CN109664961B (zh) 向上翻转的自行车停车装置
CN108729704B (zh) 吊装式共享单车停车库
KR200277460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KR200277459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KR200292956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KR101538459B1 (ko)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KR200292955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CN215803554U (zh) 一种用于城市规划管理停车的停车平台
CN100999200A (zh) 警示牌自动收放装置
JP2000168648A (ja) 離着地自在な自転車補助車輪
KR200292957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CN205819107U (zh) 底盘式车辆防水装置及系统
JPH1028778A (ja) 遊園地用乗物及びその施設
CN218061689U (zh) 一种停车架二级伸缩导轨装置
KR200384506Y1 (ko) 롤러 썰매
CN216915814U (zh) 一种防止机动车意外溜坡的自动垫轮装置
CN214565899U (zh) 一种三轮自动自行车
CN215851594U (zh) 一种两轮非机动车的临时支撑机构
JPH0648365A (ja) 電動補助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