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11Y1 - 차량용 차양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11Y1
KR200276111Y1 KR2020020001206U KR20020001206U KR200276111Y1 KR 200276111 Y1 KR200276111 Y1 KR 200276111Y1 KR 2020020001206 U KR2020020001206 U KR 2020020001206U KR 20020001206 U KR20020001206 U KR 20020001206U KR 200276111 Y1 KR200276111 Y1 KR 200276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fixed
winding
whe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언
Original Assignee
김동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언 filed Critical 김동언
Priority to KR2020020001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11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에 부착하여 프런트 윈도우 또는 도어 윈도우를 가릴 수 있도록, 병풍식 차양막 및 견인줄로 이루어진 한 쌍의 차양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차양기구는, 병풍식 차양막(10)들과, 상기 차양막 중의 양 끝단 차양막에 구비되는 이동프레임(11) 및 고정프레임(20)과, 상기 두 프레임을 연결하는 견인줄(L)과, 상기 견인줄을 풀거나 감는 권선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권선부는 케이스 내부에 상기 견인줄이 감기는 휠(6)과 휠의 회전량을 복원시키는 태엽(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양기구는 고정구(3)에 권선부(4)를 끼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극히 편리한 잇점이 있으며, 태엽과 휠 만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고장이 적고 견고하다.

Description

차량용 차양기구{SUN SHADE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우 차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필요한 경우에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 또는 도어 윈도우를 가릴 수 있도록, 병풍식 차양막 및 견인줄로 이루어진 한 쌍의 차양기구에 관한 것이다.
병풍식 차양막 및 견인줄로 이루어진 한 쌍의 차량 차양기구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4-014089호에서 이미 제안된 바가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 기술을 도시한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며, 도 2는 상기 종래 기술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양기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여러 개의 도르레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커 실용화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권선부(捲線部)는 차양기구가 펼쳐지거나 자동으로 접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장력스프링(40)과 많은 수량의 도르래들(61,62,63,64)이 고정프레임(20)의 내부에 장착되어 걸고리(70)에 의하여 차량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아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전자나 탑승자가 필요한 경우에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 또는 도어 윈도우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차양기구를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미사용시에는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고장이 적고 견고한 차양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차양기구의 개념도
도 2는 종래 차양기구의 작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양기구의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양기구의 권선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권선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양기구 L: 견인줄
3: 고정구 4: 권선부(捲線部)
5: 태엽 6: 휠
6a: 태엽고정부 7: 케이스
7a: 고정축 8: 걸림턱
9: 결착수단 10: 차양막
11: 이동프레임 20: 고정프레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양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권선부에 관한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권선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양기구는 권선부(4)의 케이스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차량에 부착되는 고정구(3)에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겹쳐지게 되는 두 개의 이동프레임(21a,21b)의 대응 면(面)에는 벨크로(9a,9b)를 부착하여 용이하게 붙이거나 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내부에 권선부를 포함하는 케이스(7)는 상기 고정프레임(20)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권선부로부터 인출된 견인줄은 이동프레임(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종래기술과 유사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핵심적 특징은 권선부(4)의 구조에 보다 더 큰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 구성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 기술구성인 권선부(4)가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중심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양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한 쌍의 차양기구를 펼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동프레임(11)을 당기면 권선부(捲線部)(4)에 감겨있는 견인줄(L)이 풀리면서 휠(5)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7)의 내부에는 태엽(5)이 상기 케이스(7)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축(7a)과, 상기 휠(6) 내면의 태엽고정부(6a)에 각 끝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견인줄(L)이 풀리는 작용에 의하여 상기 태엽(5)이 감기게 된다.
따라서, 지그재그 식으로 접혀져 있던 다수 개의 차양막(10)이 펼쳐지게 되고, 한 쌍의 차양기구가 이동프레임(11a,11b)에 구비된 결착수단(벨크로)(9a,9b)에 의하여 결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13a는 상기 견인줄(L)이 케이스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공이며, 도면부호 3은 차량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권선부(4)의 걸림턱(8)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설명과는 반대로, 본 고안에 의한 차양기구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11a,11b)을 결착(結着)하는 결착수단(9a,9b)을 분리하면, 상기 권선부(4)의 내부에 구비된 태엽의 복원력에 의하여 휠(6)이 회전하게 되어 견인줄(L)이 감기도록 되므로, 본 고안에 의한 한 쌍의 차양기구는 자동으로 각 고정프레임(20) 면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렇게 접혀진 한 쌍의 차양기구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3)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기에 편리하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차양막은 권선부(4)의 구조를 극히 단순화·간략화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이 없이 견고하여 그 실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이동프레임(11a,11b)을 결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벨크로(9a,9b)를 선택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탄력식 끼움단추또는 걸고리 등의 구성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차양기구는 차양막이 잘 찢어지지 않고 유연성이 높은 천 등과 유사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한 쌍으로서 차량의 전면 윈도우를 가리는 데 이용되는 것은 물론, 차량의 좌우 도어 윈도우를 가리는 기능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양기구는 고정구(3)에 권선부(4)를 끼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극히 편리한 잇점이 있으며, 태엽과 휠 만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고장이 적고 견고한 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여러 겹으로 접혀진 차양막(10)들과, 상기 차양막의 양 끝 차양막에 구비되는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과, 상기 두 프레임의 이격 거리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견인줄(L)을 권선하는 권선부가 내장된 케이스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권선부에서 인출된 견인줄(L)이 이동프레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당겨 차양막들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차량용 차양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7)의 일단에는 차량의 윈도우 프레임에 부착되는 고정구(3)에 착탈되는 걸림턱(8)이 형성되어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권선부(4)는, 일 측면에 고정구(3)에 체결되는 걸림턱(8)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태엽(5) 및 견인줄(L)이 감기는 휠(6)이 구비되어 고정프레임(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스(7)와, 상기 휠(6)의 내면에 형성된 태엽고정부(6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7)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축(7a)에 고정되어 상기 휠(6)에 감긴 견인줄(L)이 풀려짐에 따라 복원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태엽(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양기구.
KR2020020001206U 2002-01-15 2002-01-15 차량용 차양기구 KR200276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06U KR200276111Y1 (ko) 2002-01-15 2002-01-15 차량용 차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06U KR200276111Y1 (ko) 2002-01-15 2002-01-15 차량용 차양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11Y1 true KR200276111Y1 (ko) 2002-05-22

Family

ID=7307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206U KR200276111Y1 (ko) 2002-01-15 2002-01-15 차량용 차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4206A (en) Automobile shades
US5860466A (en) Windshield shelter
US20200254862A1 (en) Vehicle automatic covering device
KR200276111Y1 (ko) 차량용 차양기구
US5316363A (en) Automobile window shade system
JPH03128723A (ja) オーバーセンタ機構を有する車両用バイザ
KR20130004787U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US7121610B2 (en) Combination shade and handle device
JP2001048076A (ja) 自転車用簡易屋根
AU2886592A (en) Sun shield assembly
KR20010081786A (ko) 실내용 전동 차양판
CN110065368A (zh) 汽车窗框式自收遮阳装置
KR200169787Y1 (ko) 자동차 전면유리용 차광장치
CN218112315U (zh) 汽车遮阳板及汽车
JP2752604B2 (ja) 自動車用シェード
JP7048110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及びサンシェードシステム
CN212555795U (zh) 一种折叠式汽车外部遮阳设备
CN220180527U (zh) 一种多功能卷帘及车辆
KR102385343B1 (ko) 차량용 자석부착식 햇빛차단장치
KR960006436Y1 (ko) 다용도 차양판
JPH1191363A (ja) 車載用太陽光発電装置
JP2560734Y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装置
KR19980016168U (ko) 차양막을 겸한 자동차의 어시스트그립
KR200242648Y1 (ko) 차량용 커텐
JPH01119416A (ja) 自動車用日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