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337Y1 -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 Google Patents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337Y1
KR200275337Y1 KR2020020004589U KR20020004589U KR200275337Y1 KR 200275337 Y1 KR200275337 Y1 KR 200275337Y1 KR 2020020004589 U KR2020020004589 U KR 2020020004589U KR 20020004589 U KR20020004589 U KR 20020004589U KR 200275337 Y1 KR200275337 Y1 KR 200275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platform
door
elevating plate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모
Original Assignee
김길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모 filed Critical 김길모
Priority to KR2020020004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3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337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 출입구의 승하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7)과 출입구(10)사이의 소정간격을 연결하여주기 위하여 출입구(10)바닥에 경첩부(5)에 의해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승강판(1)이 부착된다. 승강판(1)을 상하로 회전시켜주기 위한 와이어(2)가 승강판(1)양쪽 끝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면, 타단은 와이어(2)의 수직이동을 위한 수직도르래(12)와 와이어(2)의 수평이동을 위한 수평도르래(13)를 거쳐 좌우 출입문(11)전면 안쪽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승강판(1)의 앞쪽에는 출입구(10)바닥과 승강장(7)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승강장(7)에 밀착하여 안착될수 있도록 승강판(1)보다 아래로 향하게 턱이 지도록 꺾임부(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 Apparatus for easy riding on subway }
본 고안은 전동차의 승하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차와 승강장사이에 승강판을 연결시켜 전동차 출입구를 통하여 승하차하는 승객들이 전동차와 승강장사이로 실족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으며, 승강판에 꺾임부를 형성시켜 승강장과 전동차 바닥면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승강장에 밀착하여 안착될수 있도록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전동차에 용이하게 승하차 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구의 승하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의 차체측면과 승강장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진 설계에 따라 제작되는 전동차의 차체폭과 승강장의 건축한계내에서 제작되는 승강장의 폭에 따라 소정간격을 갖는다. 그러나 곡선부분의 승강장이 설치된 역사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동차의 차체측면과 승강장과의 거리가 넓어지게 되어 실족하는 경우가 있고,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면보다 승강장의 높이가 더 높거나 낮은 경우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승하차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동차와 승강장사이에 승강판을 연결시켜 전동차 출입구를 통하여 승하차하는 승객들이 전동차와 승강장사이로 실족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으며, 승강판에 꺾임부를 형성시켜 승강장과 전동차 바닥면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승강장에 밀착하여 안착될수 있도록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전동차에 용이하게 승하차 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구의 승하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이 열린상태의 사시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판의 사시도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판의 측면도
도3a 내지 5b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 개폐에 의한 작동과정 실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승강판 2 : 와이어
3 : 승강판 고정쇠 4 : 꺾임부
5 : 경첩부 6 : 고무패드
7 : 승강장 12 : 수직도르래
13 : 수평도르래
본 고안은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차장치는 승강장(7)과 출입구(10)사이의 소정간격을 연결하여주기 위하여 출입구(10)바닥에 경첩부(5)에 의해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승강판(1)이 부착된다.승강판(1)을 상하로 회전시켜주기 위한 와이어(2)가 승강판(1) 양쪽 끝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며, 타단은 와이어(2)의 수직이동을 위한 수직도르래(12)와 와이어(2)의 수평이동을 위한 수평도르래(13)를 거쳐 좌우 출입문(11)전면 안쪽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승강판(1)의 앞쪽에는 출입구(10) 바닥과 승강장(7)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승강장(7)에 밀착하여 안착될수 있도록 승강판(1)보다 아래로 향하게 턱이지도록 꺾임부(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승강판(1)의 아래면에는 승강장(7)과 승강판(1)의 가벼운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며 부드러운 착지감을 주는 고무패드(6)가 결합된 전동차 출입구의 승하차 장치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1 내지 도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전동차 출발시 승강판의 작동상태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이 열린상태의 사시도이다.
출입구(10)의 바닥에는 승강장(7)과 출입구(10) 사이의 소정간격을 연결하여주기 위한 승강판(1)과 상기 승강판(1)을 상하 회전시켜주기 위한 와이어(2)와 상기 와이어(2)를 수직이동할수 있도록 문틀에 부착된 수직도르래(12)와 상기 와이어(2)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도르래(13)를 구비한다.
도2a와 2b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판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1)의 뒤쪽에는 경첩부(5)로 연결된 승강판고정쇠(3)를 연결시켜 도2b와 같이 승강판(1)이 상하 회전가능하게하고 승강판(1)의 앞쪽에는 출입구(10) 바닥과 승강장(7)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승강장(7)에 밀착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승강판(1)보다 아래로 향하게 턱이지도록 꺾임부(4)를 형성하고 꺾임부(4) 아래면에 소음방지 및 부드러운 착지감을 주기위한 고무패드(6)를 부착시킨다.
승강판(1) 좌우에는 전동차 출입문(11)이 개폐될 때마다 승강판(1)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와이어(2)를 결합시켜준다.
도3a 내지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 개폐에 의한 승강판 작동과정 실시도이다.
도3a는 출입문이 완전히 열린상태도로서 승강판(1)은 출입문(11)이 1/2정도 열리는 상태에서 이미 승강장(7)에 안착되고, 연결된 와이어(2)는 전동차와 승강장(7)사이의 공간에 놓이게 된다.
도3b에서는 승강장(7)과 출입구(10)바닥이 같은 높이(수평)인 경우를 나타냈으나, 승강판(1)에 꺾임부(4)가 형성되어 있어 승강장(7)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승강장(7)에 밀착하여 안착된다,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11)이 닫히고 있는 상태도로서 출입문의 닫히는 힘에 의하여 출입문(11) 안쪽에 고정된 와이어(2)는 승강판(1)의 와이어(2)를 잡아당겨주게 되어 승강판(1)이 자동적으로 위쪽으로 회전한다.
출입문(11)이 1/3쯤 개폐되면 도4b에 도시된바와 같이 승강판(1)이 반쯤 올려져있는 상태가 되어 승객들이 섣불리 출입할 수 없게 되므로 사고의 위험을 줄일수 있다.
도5a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11)이 완전히 닫힌 상태도로서 승강판(1)이 전동차에 완전히 밀착된다.
도5b와 같이 승강판 고정쇠(3)를 출입구(10)바닥에 고정시켜, 출입문(11)이 열리면 꺾임부(4)의 무게로 승강판(1)이 자동적으로 아래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와이어(2)를 승강판(1)과 전동차외벽(8)에 밀착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로 하여 승강판(1)이 흔들리거나 소음이 나지 않도록 한다.
전동차의 도착시 승강판의 작동상태는 상기 내용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승강판은 현재 운행중인 전동차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동차가 역사에 도착하여 출입문이 1/2정도 열리면 승강판은 완전히 승강장에 착지되고 또한 출발하려고 출입문이 1/2정도 닫히기 시작하면 승강판이 올라가게 되므로 승객들의 성급한 행동도 막아주어 안전선내에서 차분히 기다리게하는 효과가 있다.
승강판에 꺾임부를 형성하여 승강장과 전동차 출입구 바닥면의 높이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꺾임부가 승강장에 밀착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전동차의 출입구와 승강장을 연결시키기 위한 승강판;
    상기 승강판을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수평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수평 도르래;
    상기 와이어를 수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수직 도르래
    를 포함하는 전동차 출입구의 승하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전동차 출입구 바닥과 승강장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승강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승강판보다 소정 높이만큼 아래로 향하는 꺾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구의 승하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 밑에 결합되어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구의 승하차 장치.
KR2020020004589U 2002-02-15 2002-02-15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KR200275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89U KR200275337Y1 (ko) 2002-02-15 2002-02-15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89U KR200275337Y1 (ko) 2002-02-15 2002-02-15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337Y1 true KR200275337Y1 (ko) 2002-05-11

Family

ID=7307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589U KR200275337Y1 (ko) 2002-02-15 2002-02-15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3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20491A2 (pt) Carro de elevador com janela de manutenção
KR200275337Y1 (ko)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JPH02204160A (ja) プラットホームと車両との隙間を埋める可動踏板装置
KR20160037509A (ko)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JPH0920235A (ja) 列車乗降補助装置
JP4972962B2 (ja) エレベータの扉開閉装置
TW579364B (en) Door device for elevator
KR100927651B1 (ko)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JP2000211859A (ja) エレベ―タドア装置
JP3032400U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574803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3824750B2 (ja) 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JP2006224821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200204446Y1 (ko)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CN2555279Y (zh) 带广告装置可升、降的安全站台护栏
JP2938708B2 (ja) 車両の昇降式複数段ステップ装置
JP3454042B2 (ja) 小形エレベーター装置
CN117985058B (zh) 一种车辆的移动式闭合塞拉门机构
KR960003761Y1 (ko) 차량 출입구 안전장치
JP2552094Y2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乗降設備
KR20240065920A (ko) 승강장 안전문 광고판겸용 슬라이딩 비상문 구조
KR102260765B1 (ko) 슬라이딩 스크린 도어용 완충 브라켓 모듈
KR20050093339A (ko) 버스용 운전자 보호장치
KR20130125540A (ko) 안전발판이 구비된 케이블카
KR20060002307A (ko) 차량의 싸이드스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