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446Y1 -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446Y1
KR200204446Y1 KR2020000016767U KR20000016767U KR200204446Y1 KR 200204446 Y1 KR200204446 Y1 KR 200204446Y1 KR 2020000016767 U KR2020000016767 U KR 2020000016767U KR 20000016767 U KR20000016767 U KR 20000016767U KR 200204446 Y1 KR200204446 Y1 KR 200204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pair
movable member
coupled
doo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단
Original Assignee
박종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단 filed Critical 박종단
Priority to KR2020000016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2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 출입구의 좌우문틀(21,23)에 각각 상호 대응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30)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돌출부(41)를 연장형성한 한쌍의 가동부재(40)와,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문틀(25)에 힌지부(55)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향으로 다단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발판부(50)와, 상기 가동부재(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발판부(50)를 상기 힌지부(55)를 중심으로 플랫폼(100)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부재(40)의 돌출부(41)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발판부(50) 전단 양측에 힌지결합되고 다단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연결부재(60)와, 전동차 좌우출입문(27,29)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4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돌출부(41)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전동차 좌우출입문(27,29)의 전면에 고정된 한쌍의 연결로프(70)와, 상기 연결로프(70)의 수평이동을 수직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전동차의 좌우측문틀(21,23) 상단에 각각 결합된 한쌍의 안내풀리(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Exit Stepping System of Electric Subway}
본 고안은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에 따라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발판부재를 승하강시켜 전동차 출입구를 통하여 승하차하는 승객들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로 실족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단절곡형성된 발판부재를 채용하여 승강장과 전동차 바닥면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발판부재의 개방단이 승강장에 밀착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용이하게 전동차에 승하차 할 수 있는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의 차체측면과 승강장의 대향단 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진 설계에 따라 제작되는 전동차의 차체폭과, 승강장의 건축한계내에서 제작되는 승강장의 폭에 따라 소정간격을 갖는다.
그러나, 곡선부분의 승강장이 설치된 역사의 경우와 특수목적으로 설계되어 전동차의 차체가 일반적인 차량폭보다 작게 제작된 전동차의 경우 등에 있어서는, 전동차의 차체측면과 승강장과의 거리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동차의 출입구 부분에 스텝장치를 설치하여 승객의 승하차를 돕는데 이용하며,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 96-3761 호에 개재된 바와같이 전동차의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지하철 출입구 하단에 설치된 발판부재(1)가 선회하여 승강장에 놓이므로서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도 1a와 같이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발판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운동방향 전환부재(3)가 전동차의 출입문 하면에 설치되는데, 이경우 현재 운행중인 차량에는 상기 운동방향 전환부재(3)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현재 운행중인 차량에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판부재(1)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 1b와 같이 전동차의 객실 바닥면보다 승강장의 높이가 더 높은 경우, 발판부재(1)의 개방단이 승강장(100)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턱에 의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승하차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에 따라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발판부재를 승하강시켜 전동차 출입구를 통하여 승하차하는 승객들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로 실족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단절곡형성된 발판부재를 채용하여 승강장과 전동차 바닥면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발판부재의 개방단이 승강장에 밀착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용이하게 전동차에 승하차 할 수 있는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의 발판부재가 전동차의 객실바닥면보다 높게 설정된 승강장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의 로프가 전동차의 출입문에 배치되어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발판부의 힌지결합부를 나타낸 일부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스텝장치의 발판부가 전동차의 객실바닥면보다 높게 설정된 승강장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레일 21: 출입구 좌측문틀
23: 출입구 우측문틀 25: 출입구 바닥문틀
27: 좌측 출입문 29: 우측 출입문
30: 가이드 레일 40: 가동부재
41: 돌출부 41a: 삽입구멍
50: 발판부 51: 수평프레임
52: 스토퍼 53: 힌지연결부
55: 힌지부 60: 연결부재
70: 연결로프 80: 안내풀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동차 출입구의 좌우문틀에 각각 상호 대응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돌출부를 연장형성한 가동부재와,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문틀에 일방향으로 다단절곡 가능하게 후단이 힌지결합된 발판부와, 상기 가동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발판부를 지하철 출입구의 바닥문틀을 중심으로 승강장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부재의 돌출부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발판부 전단 양측에 힌지결합되고 다단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재와, 전동차 좌우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돌출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전동차 좌우출입문의 전면에 고정된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수평이동을 수직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전동차의 출입문에 결합된 안내풀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다수의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수평프레임을 힌지 연결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이 하방향으로만 절곡되도록 상부에 스토퍼를 구비한 다수의 힌지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연결부 하면에 소음방지 패킹이 결합되어 있다.
(실시예)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의 로프가 전동차의 출입문에 배치되어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발판부의 힌지결합부를 나타낸 일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스텝장치의 발판부가 전동차의 객실바닥면보다 높게 설정된 승강장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동차 출입구의 좌우측문틀(21,23)을 따라 각각 상호 대응 배치된 가이드 레일(3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부재(40)는 일측으로 삽입구멍(41a)을 갖는 돌출부(41)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a와 같이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문틀(25)에 후단이 힌지부(55)에 의해 힌지결합된 발판부(50)는 다수의 수평프레임(51) 및 상기 다수의 수평프레임(51)을 연결시킨 다수의 힌지결합부(53)로 이루어지며, 도 5와 같이 상기 다수의 힌지연결부(53) 상부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수평프레임(51)이 하방향으로만 절곡 가능하도록 스토퍼(5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힌지결합부(53) 하면에는 상기 발판부(50)가 승강장(100)에 안착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소음방지 패킹(57) 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발판부(50)를 지하철 출입구의 바닥문틀(25)을 중심으로 플랫폼(100)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부재(40)와 발판부(50)를 상호 연결시키 위한 연결부재(60)는 상기 가동부재(40)의 돌출부(41)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발판부(50) 전단 양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하로 다단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동차 좌우측 출입문(27,29)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4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로프(70)는 도 3a와 같이 상기 돌출부(41)의 삽입구멍(41a)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전동차 좌우출입문(27,29)의 전면에 고정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로프(70)의 수평이동을 수직이동으로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풀리(80)가 출입구 좌우측 문틀(21,23) 상단에 각각 고정 형성되어, 좌우측 출입문(27,29)이 레일(20)을 따라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70) 타단에 결합된 가동부재(40)가 상하로 수직이동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출입구 스텝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동차가 역사에 정차한 후, 도 3a 및 4a와 같이 좌우측 출입문(27,29)이 레일(20)을 따라 이동하 출입문을 개방시키는 경우, 좌우측 출입문(27,29)에 일단이 결합된 연결로프(70)가 좌우측 출입문(27,29)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좌우측 문틀(21,23)에 각각 결합된 안내풀리(80)에 의해 상기 연결로프(70)의 운동방향이 수직이동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70) 하단에 연결된 가동부재(40)는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동부재의 돌출부(31)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부재(60)는 타단에 결합된 발판부(50)를 바닥 문틀의 힌지부(55)를 중심으로 승강장(100)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때 상기 힌지연결부(53)에 결합된 다수의 소음방지 패킹(57)에 의해 승강장(100)과 발판부(50)의 가벼운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도 3b 및 4b와 같이 상기 발판부(50)는 승강장에 안착되어, 승객들이 발판부(50)를 통하여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으며, 또한 승강장의 높이가 전동차의 객실 바닥면 보다 높게 형성된 경우, 도 5와 같이 힌지연결부(53)에 결합된 다수의 수평프레임(51)은 승강장과 전동차의 객실 바닥면의 높이 및 간격에 따라 하방향으로 다단 절곡되어 상기 발판부(50)의 개방단이 승강장(100)에 밀착되도록 안착하여 휠체어 등이 무리없이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전동차가 다음 역으로 출발하기 위하여 좌우측 출입문(27,29)이 레일(20)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전동차의 출입구를 폐쇄할 경우, 상기 연결로프(70)의 일단은 상기 좌우측 출입문의 이동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가동부재(40)의 돌출부(41)에 결합된 연결로프(70)의 타단은 안내풀리(80)에 의해 상방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40)는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동부재(40)에 힌지결합된 연결부재(60)의 일단이 상기 가동부재(40)와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60)의 타단은 발판부(50)의 개방단을 힌지부(55)를 중심으로 도 3a 및 4a와 같이 출입문 측으로 선회시켜 작동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작동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고안의 스텝장치는 현재 운행중인 전동차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승강장 높이가 전동차 객실 바닥면의 보다 높게 설정된 경우, 도 6과 같이 다단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발판부(50)의 개방단이 승강장에 밀착되도록 안착되며, 이에 따라 휠체어 등을 이용하는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스텝장치를 현재 운행중인 전동차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다단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발판부재를 채용하여 승강장과 전동차 바닥면의 높이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발판부재의 개방단이 승강장에 밀착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전동차 출입구의 좌우문틀(21,23)에 각각 상호 대응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30)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돌출부(41)를 연장형성한 한쌍의 가동부재(40)와,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문틀(25)에 힌지부(55)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향으로 다단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발판부(50)와,
    상기 가동부재(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발판부(50)를 상기 힌지부(55)를 중심으로 플랫폼(100)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부재(40)의 돌출부(41)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발판부(50) 전단 양측에 힌지결합되고 다단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연결부재(60)와,
    전동차 좌우출입문(27,29)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4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돌출부(41)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전동차 좌우출입문(27,29)의 전면에 고정된 한쌍의 연결로프(70)와,
    상기 연결로프(70)의 수평이동을 수직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전동차의 좌우측문틀(21,23) 상단에 각각 결합된 한쌍의 안내풀리(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50)는 다수의 수평프레임(51)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수평프레임(51)을 힌지 연결하고, 상기 수평프레임(51)이 하방향으로만 절곡되도록 상부에 스토퍼(52)를 구비한 다수의 힌지연결부(53)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연결부(53) 하면에 다수의 소음방지 패킹(57)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구의 스텝장치.
KR2020000016767U 2000-06-13 2000-06-13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KR200204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67U KR200204446Y1 (ko) 2000-06-13 2000-06-13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67U KR200204446Y1 (ko) 2000-06-13 2000-06-13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446Y1 true KR200204446Y1 (ko) 2000-11-15

Family

ID=1966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767U KR200204446Y1 (ko) 2000-06-13 2000-06-13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4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9793A (en) Lift for handicapped persons for a rail car
JP4792953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救出方法
EP3429953A1 (en)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ing an elevator system
WO2003095351A1 (fr) Dispositif de porte d'ascenseur
US5381881A (en) Step platform for an escalator
KR200204446Y1 (ko) 전동차의 출입구 스텝장치
KR101058879B1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3141065U (zh) 电梯轿厢人员疏散装置
JP2005145610A (ja)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RU194958U1 (ru)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участками внутренне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на различных уровнях поверхности земли
JP2004244188A (ja) エレベータかご
KR101863339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CN110589664A (zh) 一种四面开门电梯
KR200275337Y1 (ko) 전동차 출입구의 승강판
CN105473486B (zh) 电梯的轿厢
JP2003081558A (ja) 連絡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3809139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JP2938708B2 (ja) 車両の昇降式複数段ステップ装置
JP3809140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KR200489413Y1 (ko) 승강장의 안전발판
JP2018094957A (ja) 乗降システム
EP1555369B1 (en) Sliding door
KR20050072534A (ko) 지하철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