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534A - 지하철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534A
KR20050072534A KR1020040000874A KR20040000874A KR20050072534A KR 20050072534 A KR20050072534 A KR 20050072534A KR 1020040000874 A KR1020040000874 A KR 1020040000874A KR 20040000874 A KR20040000874 A KR 20040000874A KR 20050072534 A KR20050072534 A KR 20050072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x
screen door
slider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255B1 (ko
Inventor
차재민
Original Assignee
차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재민 filed Critical 차재민
Priority to KR10-2004-000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2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61D19/023Emergency ex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이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승강장 밑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공간으로 발이 빠지는 등의 승차 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지하철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장(1)에 매입되어 도어승강홀(11)을 구비하는 박스(10); 상기 박스(10)의 양측에 만곡형으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20)에 곡선으로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랙(31)을 구비하는 만곡형의 슬라이더(30); 상기 양측 슬라이더(30) 사이에 결합되어 상,하부턱(41)(42)을 구비하는 스크린도어(4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어 피니언(50)을 통해 슬라이더(30)를 승강시키는 정역모터(60); 상기 상부턱(41)에 전후로 폭 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승강장(1)과 전동차(2)의 출입문(3) 사이공간을 차단하는 안전발판(70); 상기 박스(1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린도어(40)의 작동한계를 단속하는 리밋스위치(80)(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하철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subway}
본 발명은 지하철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승객이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승강장 밑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공간으로 발이 빠지는 등의 승차 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지하철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대도시의 교통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러 승용차나 버스를 대신하는 지하철이 대중교통의 중심수단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철은 교통량의 증가로 인하여 포화상태가 된 지상교통을 대체하여 많은 사람을 단시간 내에 이동시킬 수 있는 대중 교통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지하철은 하루 수백만 명의 인원이 출퇴근시의 이동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많은 인원이 지하철을 이용함에 따라 승객의 안전사고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철 안전사고의 유형은 여러 가지 있지만 대부분은 전동차의 진입 시 승객의 부주의로 인해 승강장의 안전지대를 벗어나 레일위로 떨어지거나 아니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로 발이 빠짐으로써 발생하게 되고, 특히 어린이 및 노약자의 인명사고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지하철 역사의 승강장에는 승객들이 안전하게 대기하여 지하철에 승차할 수 있도록 노란색 안전선이 그려져 있으며, 이 안전선은 지하철 승강장에 도착할 때 승객들이 안전선 밖으로 물러나 보다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안전선은 승객 스스로 자신의 안전을 위해 안전선 밖으로 물러날 수 있도록 하는 경각심을 부여하지만 강력한 규제장치의 역할을 하지는 못하고 있어 승강장에서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승강장과 철로 사이에 아무런 통제장치가 없어 승객이 부주의 등으로 승강장 밑으로 떨어지거나 실족하게 되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에는 승강장과 전동차의 출입문 사이에는 넓은 틈이 발생하고 이러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공간으로 승차 시 승객의 발이 빠지게 되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승객이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승강장 밑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공간으로 발이 빠지는 등의 승차 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지하철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에 도어승강홀이 형성된 박스를 매입하고, 상기 박스의 양측에 가이드레일을 각각 만곡형으로 설치하며,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에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랙을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곡선으로 승강 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양측 슬라이더 사이에 스크린도어를 결합하며, 상기 박스에 피니언을 통해 슬라이더를 승강시키는 정역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도어의 상부에 승강장과 전동차의 출입문 사이공간을 차단하는 안전발판을 폭 조절이 가능하게 조립하며, 상기 박스의 상,하부에 스크린도어의 작동한계를 단속하는 리밋스위치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하철 안전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승강장(1)에 매입되어 도어승강홀(11)을 구비하는 박스(10); 상기 박스(10)의 양측에 만곡형으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20)에 곡선으로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랙(31)을 구비하는 만곡형의 슬라이더(30); 상기 양측 슬라이더(30) 사이에 결합되어 상,하부턱(41)(42)을 구비하는 스크린도어(4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어 피니언(50)을 통해 슬라이더(30)를 승강시키는 정역모터(60); 상기 상부턱(41)에 전후로 폭 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승강장(1)과 전동차(2)의 출입문(3) 사이공간을 차단하는 안전발판(70); 상기 박스(1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린도어(40)의 작동한계를 단속하는 리밋스위치(80)(8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박스(10)는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1)에 매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설치되어 양측 가이드레일(2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박스(1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스크린도어(40)의 승강을 안내하는 도어승강홀(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박스(10)는 승강장(1)의 각 승차위치마다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박스(10)의 양측에 만곡형으로 각각 설치되어 양측 슬라이더(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레일(20)은 도 6a,6b에서와 같이 전동차(2)가 진입하는 레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만곡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20)은 승객이 뛰어 넘을 수 없는 적정한 높이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20)은 박스(10)의 하부로 적정길이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양측 가이드레일(20)에 곡선으로 승강 가능하게 각각 조립되어 스크린도어(4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슬라이더(30)의 전면으로는 피니언(50)에 치합되는 랙(31)이 각각 형성되고, 또한 슬라이더(30)의 양측으로는 승강 작동 시 유동방지 및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베어링(32)이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양측 슬라이더(30)는 가이드레일(20)에 부합하는 만곡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도어(40)는 양측 슬라이더(30)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로 승강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린도어(4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리밋스위치(80)(81)에 각각 접촉되는 상,하부턱(41)(42)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40)는 전방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지고, 또한 스크린도어(40)는 슬라이더(30)에 부합하는 만곡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도어(40)의 상부턱(41)에는 폭 방향으로 다수개의 장공(41a)이 천공되고, 상기 안전발판(70)에는 각 장공(41a)으로 끼워져 너트(71)체결로 고정되는 볼트(72)가 설치된다. 따라서, 각 지하철 역사의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공간에 대응하여 설치 시 안전발판(70)의 폭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도어(40)에는 비상 시 전동차(2)에서 잠금부재(43)를 해제시키고 열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를 가지는 비상도어(44)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도어(44)의 상부가 스크린도어(40)에 경첩(45)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비상도어(44)는 잠금부재(43)에 의해 전동차(2)의 출입문(3)측에서만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반대로 승강장(1)측에서는 비상도어(44)를 열 수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50)은 양측 랙(31)에 각각 치합되어 슬라이더(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피니언(50)은 도 3에서와 같이 박스(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피니언(50)에는 정역모터(60)가 연결된다.
상기 정역모터(60)는 박스(10)에 설치되어 피니언(50)을 통해 슬라이더(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정역모터(60)는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제어되고, 또한 전동차(2)의 출입문(3)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와 상기 컨트롤러가 정역모터(6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승강장(1)으로 진입하는 전동차(2)의 출입문(3)이 개폐됨에 따라 정역모터(60)가 자동으로 구동하게 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승강장(1)으로 전동차(2)가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역모터(6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슬라이더(30)를 상부로 상승시켜 스크린도어(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도 6b에서와 같이 승강장(1)으로 전동차(2)가 완전하게 진입하여 전동차(2)의 출입문(3)이 열리면 정역모터(60)가 연동하여 역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슬라이더(30)를 하강시켜 스크린도어(4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한편 승객의 승차완료 후 출입문(3)이 닫히면 정역모터(60)가 다시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스크린도어(40)를 닫는다.
상기 안전발판(70)은 스크린도어(40)의 상부턱(41)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로 폭 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도 6b에서와 같이 승강장(1)과 전동차(2)의 출입문(3) 사이공간을 차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발판(70)은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곡선으로 승강하는 스크린도어(40)에 의해 도 6a에서와 같이 스크린도어(40)가 상승한 상태에서 안전발판(70)은 전동차(2)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동차(2)로부터 승강장(1)측으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6b에서와 같이 스크린도어(40)가 하강한 상태에서 안전발판(70)은 전동차(2)의 출입문(3)에 근접하는 위치로 배치되면서 승객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전동차(2)와 승강장(1) 사이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리밋스위치(80)(81)는 박스(1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 작동하는 스크린도어(40)의 작동한계를 단속하는 것으로, 이러한 리밋스위치(80)(81)에는 도 6a,6b에서와 같이 승강하는 스크린도어(40)의 상,하부턱(41)(42)에 각각 접촉되고, 또한 리밋스위치(80)(81)는 정역모터(60)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크린도어(40)의 상,하부턱(41)(42)이 접촉되면 정역모터(6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도 6a에서와 같이 스크린도어(40)의 상승이 완료되면 하부턱(42)이 리밋스위치(81)에 접촉되어 정역모터(60)의 구동이 정지되고, 도 6b에서와 같이 스크린도어(40)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부턱(41)이 리밋스위치(80)에 접촉되어 정역모터(6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승강장(1)내로 전동차(2)가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더(30)에 의해 스크린도어(40)가 상승하여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승강장(1)에서 승차를 기다리는 승객은 승강장(1)의 안전선 밖으로 나갈 수 없게 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승강장(1)과 전동차(2)가 진입하는 레일 사이가 스크린도어(4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부주의 등으로 승객이 승강장(1)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6b에서와 같이 승강장(1)으로 전동차(2)가 완전히 진입하여 전동차(2)의 출입문(3)이 열리면 이와 연동하여 정역모타(60)가 자동으로 구동하고, 이를 통해 랙(31)에 치합된 피니언(50)이 구동하면서 양측 슬라이더(30)를 동시에 하강시키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양측 슬라이더(30)를 통해 스크린도어(40)가 하강하면서 열리고, 이때 안전발판(70)이 동시에 하강하면서 승강장(1)과 전동차(2)의 출입문(3) 사이공간으로 배치되어 틈새를 차단하기 때문에 승객이 안전하게 하차 및 승차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스크린도어(40)가 완전히 하강하면 상부턱(41)이 리밋스위치(80)에 접촉되므로 정역모터(60)의 구동이 정지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승강장(1)과 전동차(2)의 사이공간이 안전발판(70)에 의해 차단되므로 승객의 발이 승강장(1)과 전동차(2) 사이로 빠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객의 승하차완료 후 전동차(2)의 출입문(3)이 닫히면 정역모터(60)가 자동으로 다시 구동하여 도 6a에서와 같이 스크린도어(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동차(2)가 승강장(1)으로 진입을 완료한 상태에서 전동차(2)의 출입문(3)이 열려도 정역모터(60)가 고장 등으로 작동하지 않아 스크린도어(40)가 열리지 않는 비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이때는 전동차(2)에 승차한 승객들이 열린 출입문(3)측에서 스크린도어(40)에 설치된 잠금부재(43)를 해제하고 비상도어(44)를 승강장(1)측으로 간단하게 밀어서 열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비상시에는 전동차(2)의 승차자가 스크린도어(40)에 설치된 비상도어(44)를 열고 안전하게 승강장(1)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지하철 안전장치에 따르면 각 역사의 승강장(1)으로 스크린도어(40)와 안전발판(7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승객이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승강장 밑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공간으로 발이 빠지는 등의 승차 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철 안전장치는 전동차의 진입 시 승강장이 스크린도어에 의해 폐쇄되므로 승객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동차 진입 후 승차 시 승강장과 전동차의 출입문 사이공간이 안전발판에 의해 차단되므로 발이 빠지게 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린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의 분해사시도.
도 6a,6b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와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승강장 2 : 전동차
3 : 출입문 10 : 박스
11 : 도어승강홀 20 : 가이드레일
30 : 슬라이더 31 : 랙
32 : 베어링 40 : 스크린도어
41 : 상부턱 41a : 장공
42 : 하부턱 43 : 잠금부재
44 : 비상도어 50 : 피니언
60 : 정역모터 70 : 안전발판
71 : 너트 72 : 볼트
80,81 : 리밋스위치

Claims (4)

  1. 승강장(1)에 매입되어 도어승강홀(11)을 구비하는 박스(10); 상기 박스(10)의 양측에 만곡형으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20)에 곡선으로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랙(31)을 구비하는 만곡형의 슬라이더(30); 상기 양측 슬라이더(30) 사이에 결합되어 상,하부턱(41)(42)을 구비하는 스크린도어(4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어 피니언(50)을 통해 슬라이더(30)를 승강시키는 정역모터(60); 상기 상부턱(41)에 전후로 폭 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승강장(1)과 전동차(2)의 출입문(3) 사이공간을 차단하는 안전발판(70); 상기 박스(1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린도어(40)의 작동한계를 단속하는 리밋스위치(80)(81)를 포함하는 지하철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양측으로는 유동방지 및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베어링(32)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40)의 상부턱(41)에는 폭 방향으로 다수개의 장공(41a)이 천공되고, 상기 안전발판(70)에는 각 장공(41a)으로 끼워져 너트(71)체결로 고정되는 볼트(7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40)에는 전동차(2)에서 잠금부재(43)를 해제시키고 열 수 있도록 비상도어(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안전장치.
KR10-2004-0000874A 2004-01-07 2004-01-07 지하철 안전장치 KR100512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874A KR100512255B1 (ko) 2004-01-07 2004-01-07 지하철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874A KR100512255B1 (ko) 2004-01-07 2004-01-07 지하철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534A true KR20050072534A (ko) 2005-07-12
KR100512255B1 KR100512255B1 (ko) 2005-09-02

Family

ID=3726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874A KR100512255B1 (ko) 2004-01-07 2004-01-07 지하철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2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3876A (zh) * 2009-02-27 2009-08-26 张富强 地铁列车门与站台门缝隙自动盖板
WO2010027239A3 (ko) * 2008-09-08 2010-06-2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CN106184239A (zh) * 2016-08-30 2016-12-07 张更生 一种风速快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239A3 (ko) * 2008-09-08 2010-06-2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CN101513876A (zh) * 2009-02-27 2009-08-26 张富强 地铁列车门与站台门缝隙自动盖板
CN106184239A (zh) * 2016-08-30 2016-12-07 张更生 一种风速快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255B1 (ko) 200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845B2 (en) Safety arrangement for a lift car in a lift
AU2014280380B2 (en) Protective wall for protecting persons from travelling rail vehicles
KR101503063B1 (ko)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JP2014511302A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SI25659A (sl) Dvigalo za teleskopsko potniško stopnišče za letala, ki omogoča vkrcanje potnikov na invalidskem vozičku
KR101738308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JP2008514527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停止装置
KR100789706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KR100694893B1 (ko) 승강장 안전발판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20100086158A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KR101689936B1 (ko)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JP3148482U (ja) 多目的階段昇降機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KR101644622B1 (ko)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200411949Y1 (ko) 승강장 안전발판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KR100794932B1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KR200249530Y1 (ko) 압축 공기식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판
KR20120062061A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CN110748232A (zh) 一种地槽式升降栏杆
KR200261407Y1 (ko) 전철차량용 보조발판
KR100291054B1 (ko) 자동차용 승하차발판 자동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