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498Y1 - 디지털 교육용 완구 - Google Patents

디지털 교육용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498Y1
KR200274498Y1 KR2020020003613U KR20020003613U KR200274498Y1 KR 200274498 Y1 KR200274498 Y1 KR 200274498Y1 KR 2020020003613 U KR2020020003613 U KR 2020020003613U KR 20020003613 U KR20020003613 U KR 20020003613U KR 200274498 Y1 KR200274498 Y1 KR 200274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block
mode
learni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훈
오창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토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토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토이테크
Priority to KR2020020003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498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자 숫자 또는 사물의 형상이 나타내는 정육면체 또는 입체형태의 블록 및 상기 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의 시각적 자료와 이에 해당하는 청각적 자료인 음성을 제공하여 시각적 교육과 동시에 청각적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교육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문자, 숫자 및 그림이나 사자, 코끼리 및 비행기 등의 블록에 해당되는 코드 값을 갖는 다수의 요철(114)에 의해 특정 코드 값을 갖도록 형성된 작동키(112)가 각 표면에 구성된 완구블록(100)과; 상기 완구블록(100)이 삽입되도록 된 키입력부(210)와 그 하부에 상기 작동키(112)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스위치접점(224)을 갖는 키매트리스(222)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키(112)의 요철(114)에 의해 상기 스위치접점(224)이 단락된 상태에 따라 특정 코드 값을 인식한 후, 그에 해당되는 음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학습용 완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교육용 완구{Digital toy for education}
본 고안은 디지털 교육용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 숫자 또는 사물의 형상이 나타내는 정육면체와 입체형태의 블록을 통해 문자와 문자에 조합(단어 또는 문장) 및 그림 등의 시각적 자료와 이에 해당되는 청각적 자료인 음성을 제공하여 시각적 교육과 동시에 청각적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교육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의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비디오나 학습용 서적 및 장난감 등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유아들의 놀이기구인 장난감도 두뇌개발 목적으로 다양한 제품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유아들의 두뇌개발을 위해 보편화된 장난감 중에는 여러 개의 블록을 이용해 동물 및 우주선 등의 형상을 짜 맞추는 레고 블록제품 또는 다양한 도형형상의 블록을 구멍에 끼워 맞추는 도형블록들이 유아들의 두뇌개발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도형형상의 블록을 통한 유아교육용 블록완구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99-15722(등록번호 173474)호는 사각이나 삼각 및 원형 등의 다양한 도형형상과 다양한 색깔을 갖는 블록을 길이가 다르게 형성하고, 상기 블록의 도형형상에 대응하는 수개의 삽입홈에 상기 블록을 삽입함으로 유아들의 창의력과 조합력 및 공간지각 능력을 키우는 한편, 놀이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아교육용 블록완구는 블록을 삽입홈에 일일이 끼워 맞춰야 하는 등 단순히 블록을 삽입홈에 끼워야 하는 반복적인 작업으로 말미암아 대략 4세 이상의 유아들에게는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므로 교육용 완구로는 적합하지 않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2001-4958(공개번호 2001-44295)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발광소재 또는 음향소재의 블록을 상부에 하부방향으로 블록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완구의 삽입구에 상기 발광소재 또는 음향소재의 블록을 삽입하면 그 하부에 형성된 회로접점이 단락되고, 단락된 접점을 음성재생반도체에서 인식하여 해당 램프나 음향을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한 블록 삽입식 시청각퍼즐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블록 삽입식 퍼즐완구들은 블록의 표면에 기록된 문자·숫자 및 그림만을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서, 상기 블록으로 언어, 수리, 음악, 사물인지 등 다양한 교육하기에는 그 만큼 다양한 블록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 퍼즐완구는 고정된 퍼즐완구에 블록을 삽입하고, 그에 해당되는 음성을 제공하는 등 하나의 주제에 하나의 내용만을 음성으로 들려주기 때문에 내용상 다양성이 떨어져 아이들의 다양한 지능개발용으로 부적합한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아이들에게 가장 익숙한 블록제품으로 구성된 복합형 완구로서 아이의 각 성장단계에 따라 언어, 수리, 음악, 사물인지, 동화 및 동요 등의 다양한 분야에 자연스러운 시청각 교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아이의 성장 단계별로 필요한 주요 교육자료를 온라인을 통하여 수시로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 및 그 장치의 정육면체 블록의 표면에 구성된 작동키의 구조를 예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완구블록과 학습용 완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를 발췌한 상태의 참고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 내부에 장착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블록인식부의 개념적인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블록인식부가 학습용 완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완구블록 110 : 정육면체 블록
112 : 작동키 114,116,118 : 요철
120 : 입체모형의 육면체 블록 200 : 학습용 완구
210 : 키입력부 220 : 블록인식부
222 : 매트리스 224 : 스위치접점
230 : 모드선택부 240 : 제어부
250 : 메모리부 260 : 인터페이스
270 : 음성출력부
본 고안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완구블록과 학습기로 된 학습용 완구에 있어서, 문자, 숫자 및 그림이나 사자, 코끼리 및 비행기 등의 블록에 해당되는 코드 값을 갖는 다수의 요철에 의해 특정 코드 값을 갖도록 형성된 작동키가 각 표면에 구성된 완구블록과; 상기 완구블록이 삽입되도록 된 키입력부와 그 하부에 상기 작동키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스위치접점을 갖는 키매트리스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키의 요철에 의해 상기 스위치접점이 단락된 상태에 따라 특정 코드 값을 인식한 후, 그에 해당되는 음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학습용 완구로 이루어지며, 작동키의 요철에는 방향을 나타내는 요철과, 문자 및 음성을 나타내는 요철로 구성한다.
상기 학습용 완구에는 작동키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스위치접점을 갖는 키매트리스의 접점상태를 인식하는 블록인식부와; 연령별, 주제별 및 테마별 학습단계를 설정하도록 다수의 모드를 갖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블록인식부 및 모드선택부의 선택된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음성데이터를 갖는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외부 장치로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확장할 수 있도록 연결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인식부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출력라인과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라인 사이에 각 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출력라인에는 다이오드를 장착하여 상기 출력라인으로 출력되는 신호가 다른 출력라인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며, 모드선택부에는 전원모드, 반복모드, 질문모드, 단어/연산모드, 동화/동요선택모드 및 단계선택모드 등의 기능을 갖는 접점이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학습용 완구에 완구블록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완구블록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요철과 대응되는 키매트리스의 스위치접점이 단락되지 않으면 상기 블록의 재입력을 유도하도록 프로그램 된 것이고, 상기 메모리부는 메모리 버퍼레지스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 및 그 장치의 정육면체 블록의표면에 형성된 작동키의 구조를 예시한 참고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완구블록과 학습용 완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를 발췌한 상태의 참고도 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참고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구성으로는 완구블록(100)과 인형 형상의 학습용 완구(200)로 구분되어지며, 상기 완구블록(100)에는 정육면체 블록(110)과 입체모형의 육면체 블록(120)으로 구분되고, 상기 정육면체 블록(110)의 표면에는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으로 구성하되 상기 입체모형의 육면체 블록(120)에는 사자, 코끼리 및 비행기 등 입체형상으로 구성되어 동화 및 동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특정 코드 값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정육면체 또는 입체모형의 육면체 등 완구블록(110,120)의 각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진 작동키(112)가 구성되며, 상기 작동키(112)의 각 블록 표면에 구성된 요철들은 문자, 숫자, 그림, 동화 및 동요 등의 나타낸다.
상기 완구블록(110,120)이 학습용 완구(200)의 상부에 형성된 키입력부(210)로 삽입되면 상기 학습용 완구(200)는 삽입된 완구블록(100)의 각 표면에 다수의 요철에 해당되는 코드 값을 판독하여 그에 해당되는 문자, 숫자, 그림, 동화 및 동요에 대한 음성을 재생한다.
상기 작동키(112)에는 방향을 판별하기 위한 요철(4개;116)와, 문자, 숫자, 그림, 동화 및 동요(이하 "문자 및 음성"으로 약칭 함) 등을 표시하기 위한 요철(8개;118)로 구분되고, 상기 완구블록(100)의 각 표면에 구성된 작동키(112)로 표현가능한 수는 문자 및 음성에 따라 그 숫자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을 나타내는 요철(4개;116)의 수는 학습용 완구(200)에 기 설정되어 있어, 완구블록(110,120)이 삽입되면 상기 완구블록(110,120)이 뒤집어진 상태로 입력될 때 사용자에게 잘못 입력되었음을 알려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재입력을 유도함으로서, 상기 사용자는 완구블록의 올바르게 입력을 유도하여 유아들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상기 완구블록(100)의 표면에 구성된 작동키(112)의 요철(114)를 인식하는 학습용 완구(200)는 그 상부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완구블록(1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키입력부(210)의 바닥 면에 구비된 블록인식부(220)에서 인식한다. 상기 방향을 나타내는 요철(116)은 기 설정되어 있어 문자 및 음성을 나타내는 요철(118)을 다르게 구성하고 상기 작동키(112)의 문자 및 음성을 나타내는 요철(114)에 의해 상기 키매트리스(222)의 스위치접점(224)을 단락시켜 상기 완구블록(100)의 특정 코드 값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즉, 블록인식부(220)에는 정육면체 블록(110) 또는 입체모형의 육면체 블록(120)의 표면에 구성된 요철에 따라 방향과 문자 및 음성을 나타내는 작동키(112)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스위치접점(224)을 갖는 키매트리스(222)에 의해 코드 값을 인식하게 되며, 상기 완구블록(100) 삽입시 작동키(112)의 요철이 키매트리스(222)의 스위치접점(224)을 단락시키게 되고, 단락상태를 통하여 특정 코드 값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동키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완구블록(100)의 표면에 작동키(112)를 내부로 내입되도록 내입홈(114')으로 구성하고, 상기 작동키(112)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홈(116') 값은 사전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문자 및 음성을 나타내는 홈(118')은 문자 및 음성에 따라 홈(118') 개수를 다르게 구성하고, 상기 홈(118')과 대응되는 키매트리스(222)의 스위치접점(224)을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학습용 완구(200)에 완구블록(100)을 삽입시 상기 스위치접점(224)을 단락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학습용 완구(200)의 내부에 장착된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과정에서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 내부에 장착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블록인식부의 개념적인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교육용 완구의 블록인식부가 학습용 완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참고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학습용 완구 내부에 장착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로는 블록인식부(220), 모드선택부(230), 제어부(240), 메모리부(250), 인터페이스(260) 및 음성출력부(270)로 구분된다.
상기 블록인식부(220)는 학습용 완구(200)의 상부에 완구블록(100)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그 하부에 상기 블록(110,120)의작동키(112)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스위치접점(224)을 갖는 키매트리스(2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키매트리스(222)의 스위치접점(224)은 상기 블록의 표면에 구성된 작동키(112)의 요철에 의해 접점이 단락되고, 상기 단락된 접점은 제어부(240)에 인식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240)는 블록인식부(220)의 키매트리스(222)에서 단락되는 접점(224)을 판독하여 상기 판독된 코드 값에 해당되는 음성데이터를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어드레스번지에서 데이터를 호출하고, 호출된 데이터를 음성출력부(270)를 통하여 외부로 음성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50)는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외부의 주변장치(컴퓨터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USB 또는 시리얼포트에 연결하여 통신망(인터넷)으로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주변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망으로 접속한 다음 상기 완구블록(100)을 제조 또는 판매업체의 웹페이지로 접속하여 상기 완구블록(100)에 기 설정된 코드 값과 동일한 값으로 새로이 작성된 문자 및 문장정보의 음성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확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260)를 USB 또는 시리얼포트 등으로 구성하여 주변의 장치로 유·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250)는 메모리 버퍼레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구성한다.
상기 모드선택부(230)는 전원모드(231), 반복모드(232), 질문모드(233), 단어/연산모드(234), 동화/동요선택모드(235) 및 단계선택모드(236)로 구분되고, 상기 전원모드(231)는 전원의 온/오프 및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반복모드(232)는 완구블록(100)의 표면에 구성된 작동키(112)에 의해 특정 코드 값에 대한 음성을 제공하거나 상기 학습용 완구(200)의 이전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질문모드(233)는 현재 작동되고 있는 모드 예를 들어, 사용자가 "A"라는 완구블록이 삽입된 상태에서 질문모드(233)를 누르게 되면 상기 "A"라는 완구블록이나 상기 "A"라는 완구블록(100)과 조합하여 단어가 되도록 다음 완구블록(100)의 입력을 유도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N"이라는 완구블록(100)을 입력하여 상기 "A"와 "N"의 완구블록이 단어가 될 때에는 "AN"이라는 단어를 음성으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완구블록(100)을 잘못 입력하면 "완구블록의 삽입이 잘못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는 완구블록(100)을 삽입하면서 학습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동화/동요선택모드(235)는 동화 또는 동요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단어/연산선택모드(234)는 단어 또는 연산을 수행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단계선택모드(236)는 유아의 연령별 단계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드선택부(230)는 사용자가 연령에 따라 각 모드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 연령에 적합한 학습을 단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학습용 완구의 전원은 상용전원(AC)을 공급받아 사용하거나 충전용 배터리(DC)전원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학습용 완구의 모드선택부(230)와 블록인식부(220)의 연결상태를 보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인식부(220)의 키매트리스(222)는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4개의 출력라인과 상기 제어부(240)로 입력되는 3개의 입력라인 사이에 각 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각 출력라인에는 다이오드(D)를 장착하여 상기 출력라인으로 출력되는 신호가 다른 출력라인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222)의 A,B,C,D는 완구블록(100)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접점(224)이고 1,2,3,4,5,6,7,8은 완구블록(100)의 표면에 구성된 문자 및 음성을 판독할 수 있는 코드 값을 판독하기 위한 스위치접점(224)들이다.
상기 학습용 완구(200)의 블록인식부(220)는 작동키(112)에서 방향 과 문자 및 음성을 표시하는 요철(A,B,C,D,1,2,3,4,5,6,7,8)와 대응되도록 키매트리스(222)의 특정 스위치접점(224)이 단락되면 상기 제어부(240)의 각 출력라인으로 "HIGH"레벨 신호를 출력하여 방향과 문자 및 음성에 대한 특정 스위치접점이 단락된 상태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방향과 문자 및 음성에 해당되는 음성데이터를 메모리부(250)에서 호출하며 상기 호출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출력부(270)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방향을 나타내는 접점(A,B,C,D)에서 기 설정되어 완구블록이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접점(A,B,D)이 단락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접점(A,B,D)이 단락되지 않으면 상기 블록의 삽입이 잘못됨을 음성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완구블록(100)의 올바르게 입력을 유도하여 유아들의 학습 능력을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디지털 교육용 완구는 정육면체 또는 입체모형의 육면체 블록을 통하여 아이의 각 성장단계에 따라 언어, 수리, 음악, 사물인지, 동화 및 동요 등의 다양한 분야에 자연스러운 시청각 교재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문자, 숫자 및 그림이 도시된 완구블록의 올바른 입력을 유도하여 유아들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문자, 숫자, 그림, 동화 및 동요 등의 코드 값으로 된 각종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모리에 교육자료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부를 확장하여 다양한 교육자료를 제공하게 되므로, 학습보조자(부모)는 유아의 연령별 주제별 테마별 등 성장기 어린이의 호기심을 유발하면서 다양한 교육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완구블록과 학습기로 된 학습용 완구에 있어서,
    상기 문자, 숫자 및 그림이나 사자, 코끼리 및 비행기 등의 블록에 해당되는 코드 값을 갖는 다수의 요철(114)에 의해 특정 코드 값을 갖도록 형성된 작동키(112)가 각 표면에 구성된 완구블록(100)과;
    상기 완구블록(100)이 삽입되도록 된 키입력부(210)와 그 하부에 상기 작동키(112)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스위치접점(224)을 갖는 키매트리스(222)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키(112)의 요철(114)에 의해 상기 스위치접점(224)이 단락된 상태에 따라 특정 코드 값을 인식한 후, 그에 해당되는 음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학습용 완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용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키(112)의 요철(114)에는 방향을 나타내는 요철(116)과, 문자 및 음성을 나타내는 요철(1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용 완구.
  3. 제 1항에 있어서, 학습용 완구(200)에는 작동키(112)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스위치접점(224)을 갖는 키매트리스(222)의 접점상태를 인식하는 블록인식부(220)와;
    연령별, 주제별 및 테마별 학습단계를 설정하도록 다수의 모드를 갖는 모드선택부(230)와;
    상기 블록인식부(220) 및 모드선택부(230)의 선택된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음성데이터를 갖는 메모리부(260)를 제어하는 제어부(240)와;
    외부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260)의 데이터를 확장할 수 있도록 연결된 인터페이스(260) 및,
    상기 제어부(2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70)를 더 포함하는 장치가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학습용 완구.
  4. 제 3항에 있어서, 블록인식부(220)는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출력라인과 상기 제어부(240)로 입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라인 사이에 각 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각 출력라인에는 다이오드(D)를 장착하여 상기 출력라인으로 출력되는 신호가 다른 출력라인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학습용 완구.
  5. 제 3항에 있어서, 모드선택부(230)에는 전원모드(231), 반복모드(232), 질문모드(233), 단어/연산모드(234), 동화/동요선택모드(235) 및 단계선택모드(236) 등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모드접점이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학습용 완구.
  6. 제 3항에 있어서, 제어부(240)는 학습용 완구(200)에 완구블록(100)이 삽입되면 각각의 출력라인으로 "HIGH"레벨 신호를 출력하여 키매트리스(222)의 스위치접점(224)을 경유하여 입력라인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키(112)의 특정 코드 값을 판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용 완구.
  7. 제 3항 및 제 6항에 있어서, 제어부(240)는 학습용 완구(200)에 완구블록(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완구블록(100)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요철(A,B,D)와 대응되는 키매트리스(222)의 스위치접점(A,B,D)이 단락되지 않으면 상기 블록의 재입력을 유도하도록 프로그램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용 완구.
  8. 제 3항에 있어서, 메모리부(250)는 메모리 버퍼레지스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용 완구.
KR2020020003613U 2002-02-05 2002-02-05 디지털 교육용 완구 KR200274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13U KR200274498Y1 (ko) 2002-02-05 2002-02-05 디지털 교육용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13U KR200274498Y1 (ko) 2002-02-05 2002-02-05 디지털 교육용 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398A Division KR20030066839A (ko) 2002-02-05 2002-02-05 디지털 교육용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498Y1 true KR200274498Y1 (ko) 2002-05-04

Family

ID=7307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613U KR200274498Y1 (ko) 2002-02-05 2002-02-05 디지털 교육용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4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39B1 (ko) * 2006-11-17 2007-10-08 박경화 문자 학습용 완구
WO2013147434A1 (ko) * 2012-03-29 2013-10-03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KR101405535B1 (ko) * 2013-07-31 2014-06-11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39B1 (ko) * 2006-11-17 2007-10-08 박경화 문자 학습용 완구
WO2013147434A1 (ko) * 2012-03-29 2013-10-03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US20150072586A1 (en) * 2012-03-29 2015-03-12 Human League Co., Ltd.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KR101513690B1 (ko) * 2012-03-29 2015-04-21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JP2015514468A (ja) * 2012-03-29 2015-05-21 ヒューマン リー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音楽教育用ブロック玩具
US9266031B2 (en) * 2012-03-29 2016-02-23 Human League Co., Ltd.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KR101405535B1 (ko) * 2013-07-31 2014-06-11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7388B2 (en) Sequence learning toy
KR102035323B1 (ko) 언어 학습용 블록 교구
US8287338B2 (en) Game apparatus for learning
KR101876275B1 (ko) 구구단 학습용 큐브
US5816821A (en) Bilingual educational dolls
US20050064372A1 (en) Toy for use with vertical surfaces
KR20060133624A (ko) 디지털 교육용 문자 인식 시스템
KR20030066839A (ko) 디지털 교육용 완구
Merchant Moving with the times: How mobile digital literacies are changing childhood
KR100602591B1 (ko) 블록완구
KR200274498Y1 (ko) 디지털 교육용 완구
EP0852783B1 (en) Apparatus for use as an educational toy
KR100602590B1 (ko) 블록완구
KR20140092598A (ko) Rfid를 이용한 교육장치
US11132912B1 (en) Electronic educational device
KR20010044295A (ko) 블록(Block) 삽입식 시청각퍼즐(영·유아용)
CN214286695U (zh) 一种早教学习玩具桌
KR101407594B1 (ko) 교육용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의 콘텐츠 제공 방법
CN201084291Y (zh) 带灯的发声教育玩具
KR102452597B1 (ko) 저장기능을 갖는 소리블록
KR101890394B1 (ko) 스마트 종이접기 교구 키트, 이를 위한 전자 모듈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제작 방법
KR101480232B1 (ko) 유아용 전자놀이장치
JP2004206092A (ja) 音声付き教育ペンセット
KR200149931Y1 (ko) 말하는 아이큐 블록 완구
KR200335820Y1 (ko) 칠교놀이 기구용 반투명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