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473Y1 -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473Y1
KR200273473Y1 KR2020020001063U KR20020001063U KR200273473Y1 KR 200273473 Y1 KR200273473 Y1 KR 200273473Y1 KR 2020020001063 U KR2020020001063 U KR 2020020001063U KR 20020001063 U KR20020001063 U KR 20020001063U KR 200273473 Y1 KR200273473 Y1 KR 200273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ing device
linear
ba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근
Original Assignee
조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근 filed Critical 조대근
Priority to KR2020020001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473Y1/ko

Link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몰딩 비직선(非直線)연결부에 장치하는 연결장치(Joint)에 관한 출원이다.
케이블몰딩이 직선이 아닌 각도로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연결장치가 없어서 외부로 케이블이 노출 되게 된다.
본 고안은 케이블몰딩이 직각형태, T형태, 십자형태로 비직선(非直線)연결 되는 부분에서 케이블몰딩을 연결하여 케이블 노출을 방지하고, 외관을 단정하게 하는 직각형 구조, T형 구조, 십자형 구조의 연결장치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케이블몰딩의 비직선(非直線) 연결부에서 케이블을 보호하고, 연결부의 외관을 단정하게 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The joint of a non straight cable molding line}
본 고안은 건축물이나 산업기계, 산업설비 등에서 소용량(小用量)의 간단한 케이블 배선에 사용하는 케이블 몰딩이 직각형태, T형태, 십자형태 등의 직선이 아닌 형태로 연결 되는 부분에 장치하여,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 시키지 않고, 연결부의 외관을 단정하게 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출원이다.
배전선 통신선 등 케이블의 간단한 배선에 사용하는 케이블 몰딩이 직선으로 연결 되는 부분에서는 내부 케이블의 보호와 외관상의 단정함이 전혀 문제 될 것이 없으나, 케이블 몰딩이 직각 형태, T 형태, 십자 형태 등의 직선이 아닌 형태(비직선)로 연결 되는 부분에서는 그 연결부분에 장치 할 마땅한 구조물이 없어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 되는 상태로 설치 되어 왔다.
따라서 케이블 몰딩의 비직선(非直線) 연결부에서는 외부로 노출 된 케이블이 보호 되지 못 할 뿐아니라, 외관상의 흉함을 초래한다.
원래 케이블 몰딩의 비직선(非直線) 연결부에는 직각형 구조, T형 구조, 십자형 구조 등의 연결부 구조에 맞도록, 케이블 몰딩의 말단부를 톱으로서 적당한각도로 절각하여, 그 적당한 각도로 절각된 절각부를 밀착 부착 하여, 연결부를 구성 해야 한다(도3의 케이블몰딩 말단부를 톱으로 절각하여 밀착 연결한 T형태 의 비직선 연결부 참조).
그러나 적당한 각도로 톱질하여 절각하는 작업이, 작업 과정의 까다로움과. 작업 시간의 장 시간 소요 등으로 인해서 기피 되어 오고있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것이 제작 시판 되고 있는 케이블 몰딩에 있어서, 그 케이블 몰딩의 비직선(非直線) 연결부를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와 같이 톱으로 절각하는 방법 이외에, 다른 어떤 연결장치를 제시하는 선행 기술과 선 출원 기술이 없다.
본 고안은 케이블 몰딩이 비직선(非直線) 연결 되는 부분에서 케이블 몰딩의 말단부를 톱으로 절각하여 부착하지 않고서도, 그 비직선연결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케이블을 완벽하게 노출 되지 않도록 하여 보호하고, 연결부의 외관을 단정하게 하는 연결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 1도는 케이블몰딩 커버와 베이스 사시도
제 2a도는 직각형 구조의 케이블몰딩 비직선연결부 사시도
제 2b도는 T형 구조의 케이블몰딩 비직선연결부 사시도
제 2c도는 십자형 구조의 케이블몰딩 비직선연결부 사시도
제 3도는 케이블몰딩 말단부를 톱으로 절각하여 밀착 연결한 비직선 연결부 사시도
제 4a도는 직각형 구조의 커버(cover)식 비직선연결부 연결장치 사시도
제 4b도는 T형 구조의 커버(cover)식 비직선연결부 연결장치 사시도
제 4c도는 십자형 구조의 커버(cover)식 비직선연결부 연결장치 사시도
제 5a도는 양면접착 테이프로서 연결장치를 케이블몰딩에 고정한사시도
제 5b도는 양면접착 테이프 부착 부분 설명 단면도
제 5c도는 비스(vis)로서 연결장치를 케이블몰딩에 고정한 사시도
제 6a도는 하부 돌출 걸림턱이 있는 커버(cover)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6b도는 하부 돌출 걸림턱이있는 연결장치를 케이블몰딩에 고정한 단면도
제 6c도는 하부 돌출 걸림턱이있는 연결장치를 케이블몰딩에 고정한 평면도
제 7a도는 상부 돌출 걸림턱이 있는 커버(cover)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7b도는 상부 돌출 걸림턱이 있는 연결장치를 케이블몰딩에 고정한 정면도
제 8a도는 L형 내부 돌출 걸림턱이 있는 커버(cover)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8b도는 L형 내부 돌출 걸림턱이 있는 연결장치를 케이블몰딩에 고정한 정면도
제 9도는 이동식 걸림턱을 갖는 커버(cover)식 연결장치 구조도
제 10a도는 접착판이 있는 커버(cover)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10b도는 접착판이 있는 커버(cover)식 연결장치 단면도
제 10c도는 접착판이 있는 연결장치를 케이블 몰딩과 연결한 정면도
제 11a도는 직각형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11b도는 T형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11c도는 십자형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11d도는 상부 내각형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11e도는 하부 내각형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 사시도
제 11f도는 커버 로커(Locker)와 베이스 로커(Locker)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 12a도는 2조각으로 분리한 직각형 구조 연결장치 평면도
제 12b도는 3조각으로 분리한 T형 구조 연결장치 평면도
제 12c도는 4조각으로 분리한 십자형 구조 연결장치 평면도
제 13도는 내각 모서리에서의 비직선 연결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 14a도는 내각 모서리에서의 직각형 연결부 연결장치 사시도
제 14b도는 내각 모서리에서의 T 형 연결부 연결장치 사시도
제 14c도는 내각 모서리에서의 십자형 연결부 연결장치 사시도
<주요 부호의 설명>
1: 케이블몰딩 커버 2: 케이블몰딩 베이스
3: 케이블몰딩 커버 로커(locker) 4: 케이블몰딩 베이스 로커(locker)
5: 접착제를 부착하는 베이스의 바닥 6: 케이블 보호용 내부공간
7: 노출된 케이블
8: 직각형 구조의 커버(cover)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9: T형 구조의 커버(cover)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10: 십자형 구조의 커버(cover)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11: 하부(下部) 돌출 걸림턱
12; 연결장치에 연결된 케이블몰딩
13: 상부(上部) 돌출 걸림턱 14: L형태의 내부(內部) 돌출 걸림턱
15: 이동식(移動式) 걸림턱을 갖는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16: 이동식(移動式) 걸림턱 17: 이동식 걸림턱의 이동 손잡이
18: 이동식 걸림턱 이동용 개구부
19: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직각형 구조 연결장치
20: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T형 구조 연결장치
21: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십자형 구조 연결장치
22: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상부 내각형 구조 연결장치
23: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하부 내각형 구조 연결장치
24: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의 커버
25: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의 베이스
26: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의 커버 로커(locker)
27: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의 베이스 로커(locker)
28: 벽 29: 바닥
30: 벽과 벽의 직각 내각모서리
31: 수직 부착 케이블몰딩 32: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
33: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직각형 연결부
34: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T형 연결부
35: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십자형 연결부
36: 내각모서리에서의 직각형 연결부 연결장치
37: 내각모서리에서의 T형 연결부 연결장치
38: 내각모서리에서의 십자형 연결부 연결장치
39: 2조각으로 분리한 직각형 구조의 연결장치
40: 3조각으로 분리한 T형 구조의 연결장치
41: 4조각으로 분리한 십자형 구조의 연결장치
42: 커버형상 연결장치의 바닥까지 닿는 하부
43: 연결장치와 접촉되는 케이블몰딩의 말단부
44: 연결장치의 접촉부와 걸림턱 사이의 홈
45: 연결장치의 접촉부 46: 양면 접착 테이프
47: 접착판 48: 비스(vis)
본 고안은 케이블 몰딩이 비직선(非直線)으로 연결 되는 연결부분에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 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외관을 단정하게 하는 연결수단을 제시하는 출원으로서 그 구성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도는 일반적인 케이블 몰딩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부의 커버(1)(cover)와 하부의 베이스(2)(base)로 구성되며, 커버의 안쪽에 케이블 보호용 내부공간(6)이 형성되고, 상부의 커버(1)와 하부의 베이스(2)는 걸림장치인 커버 로커(locker)(3)와 베이스 로커(locker)(4)에 의하여 조합이 된다.
제 2a도는 케이블몰딩이 직각형태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 및 그 부분에서 노출되는 케이블(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b도는 케이블몰딩이 T형태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 및 그 부분에서 노출되는 케이블(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2c도는 케이블몰딩이 십자형태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 및 그 부분에서 노출되는 케이블(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3도는 비직선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의 말단부를 톱으로 절각하여 T형 구조로 밀착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원래 케이블몰딩의 비직선 연결부는 이처럼 말단부를 톱으로 절각하여 밀착 연결하여야하나, 작업 과정의 까다로움 때문에 기피되어오고 있다.
제 4a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1항에 해당하는 도면이며, 직각형 구조의 커버(cover)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이하 연결장치라 함)를 보여준다.
이 도면의 연결장치(8)는 2개의 케이블 몰딩이 평면상에서 직각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2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고, 케이블이 노출되지 않도록하기위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가지고 있는 직각형 구조로 된 커버(8) 형태이다.
다시말하면, 2개의 케이블 몰딩이 직각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2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비직선 연결부를 덮어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형성하는 커버식 구조(8)이며, 직각형 비직선 연결부의 2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도록 직각형 구조(8)로 된 연결장치이다.
제 4b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2항에 해당하는 도면이며, T형 구조의 커버(cover)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9)(이하 연결장치라 함)를보여준다.
이 도면의 연결장치(9)는 3개의 케이블 몰딩이 평면상에서 T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3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고, 케이블이 노출되지 않도록하기위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가지고있는 T형구조로 된 커버(9)형태이다.
다시 말하면, 3개의 케이블 몰딩이 T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3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비직선 연결부를 덮어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형성하는 커버식 구조(9)이며, T형 비직선 연결부의 3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도록 T형 구조(9)로 된 연결장치이다.
제 4c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3항에 해당하는 도면이며, 십자형 구조의커버(cover)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10)(이하 연결장치라 함)를 보여준다.
이 도면의 연결장치(10)는 4개의 케이블 몰딩이 평면상에서 십자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4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고, 케이블이 노출되지 않도록하기위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가지고 있는 십자형 구조로 된 커버(10)형태이다.
다시 말하면, 4개의 케이블 몰딩이 십자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4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비직선 연결부를 덮어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형성하는 커버식 구조(10)이며, 십자형 비직선 연결부의 4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도록 십자형 구조(10)로 된 연결장치이다.
제 5a도는 본고안의 청구항 4항에 해당하는 도면이며, 상기 도4a, 도4b, 도4c의 커버(cover)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이하 연결장치라 함) 중 도4b의 T형 구조의 연결장치(9)를 하나의 예로 들어서, 연결장치(8)(9)(10)가 비직선 연결부에 연결된 케이블 몰딩(12)의 말단부(끝부분)을 덮어서 연결하고있고, 그 연결장치(8)(9)(10)는 내부에 붙여진 양면접착 테이프(46)에 의하여 연결된 케이블 몰딩(12) 외부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제 5b도는 도5a의 양면접착 테이프(46)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연결장치(8)(9)(10)의 내부에 양면접착 테이프(46)가 붙여져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 양면접착 테이프(46)는 도5a에서처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12) 말단부의 외부에 연결장치(8)(9)(10)를 접착하여 고정하도록 연결장치(8)(9)(10)의 내부에붙여져 있는 것이다.
제 5c도는 연결장치(8)(9)(10)가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의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12) 말단부 외부에 덮여서 설치되고, 그 연결장치(8)(9)(10) 상부에서 비스(vis)를 케이블 몰딩(12)에 박아서 연결장치(8)(9)(10)를 고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 6a도는 본고안의 청구항 4항에 해당하는 도면이며, 상기 도4a, 도4b, 도4c의 커버(cover)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이하 연결장치라 함) 중 도4b의 T형 구조의 연결장치(9)를 하나의 예로 들어서, 연결장치(8)(9)(10)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외부 하단 양측에 걸어서 고정 시키도록하는 연결장치(8)(9)(10)의 내부 하단 양측에 돌출된 걸림턱(11)(하부 돌출 걸림턱)을 보여준다.
제 6b도는 도6a의 하부 돌출 걸림턱(11)이 있는 연결장치(8, 9, 10)를 케이블몰딩 위에 덮어서 설치하고, 연결장치(8, 9, 10)의 내부 하단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2개의 하부 돌출 걸림턱(11)이 케이블몰딩 외부 하단 양측을 누르는 상태로 걸려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연결장치(8, 9, 10)의 내부 하단 양측에있는 하부 돌출 걸림턱(11)은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외부 하단 양측에 걸려서 연결장치(8, 9, 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제 6c도는 T형 구조의 연결장치(9)를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몰딩(12)의 말단부(43)를 덮어서 연결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6b를 보충 설명한다.
제 7a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6항에 해당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4a, 도4b, 도4c의 커버(cover)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이하 연결장치라 함) 중 도4a의 직각형 구조의 연결장치(8)를 하나의 예로 들어서, 연결장치(8)(9)(10)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내부 상단에 걸어서 고정 시키도록하는, 연결장치(8)(9)(10)의 내부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걸림턱(상부 돌출 걸림턱)(13)을 보여준다.
제 7b도는 도7a의 상부 돌출 걸림턱(13)이 있는 연결장치의 상부돌출 걸림턱(13)을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내부 상단에 걸어서 고정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7b에서 상부 돌출 걸림턱(13)은 연결장치의 내부 상단에서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내부 상단에 삽입 되어 있다.
케이블 몰딩은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바닥에 단단하게 부착이 되므로,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에서 연결장치의 걸림턱을 이처럼 케이블 몰딩에 걸어서 연결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에는 2개 이상의 케이블 몰딩이 연결되므로, 연결장치의 걸림턱도 2개 이상의 케이블 몰딩에 걸 수 있어서 단단한 고정이 가능하다.
도7a와 도7b의 상부 돌출 걸림턱(13)이 있는 연결장치를 다시 설명하면, 연결장치(8)(9)(10)를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내부 상단에 걸어서 고정 시키도록 연결장치(8)(9)(10)의 내부 상단에서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내부 상단을향하여 돌출된 걸림턱(13)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제 8a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7항에 해당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4a, 도4b, 도4c의 커버(cover)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이하 연결장치라 함) 중 도4b의 T형 구조의 연결장치(9)를 하나의 예로 들어서,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커버(1)를 삽입하는 홈(44)을 연결장치(8)(9)(10)의 내부 상단에 형성하는 L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4)을 보여준다.
제 8b도는 T형 구조의 연결장치(9)의 내부 상단에 L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4)이 외부를 향하여 부착되어 있고, 연결장치의 접촉부(45)와 그 L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4) 사이에 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44)에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커버(1)가 삽입되어 T형 구조의 연결장치(9)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8a, 도8b를 다시 정리하면, 연결장치(8)(9)(10)의 내부 상단에 L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4)이 케이블 몰딩 말단부(43)를 향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그 L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4)과 연결장치(8)(9)(10)의 몸체(접촉부(45)) 사이에는 케이블 몰딩 커버(1)를 삽입하여 연결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홈(44)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8항에 해당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4a, 도4b, 도4c의 커버(cover)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이하 연결장치라 함) 중 도4b의 T형 구조의 연결장치(9)를 하나의 예로 들어서, 이동식걸림턱을 갖는 커버식 연결장치(15)를 설명한다.
도9의 이동식 걸림턱을 갖는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15)의 이동식 걸림턱(16)은 도7a의 상부 돌출 걸림턱(13)이나 도8a의 L형태의 내부 돌출 걸림턱(14)과 마찬가지로 케이블몰딩 말단부(43)의 내부에 걸림턱을 걸어서 연결장치(8, 9, 10)를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도9의 이동식 걸림턱(16)은 2개 이상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에서 연결장치(8, 9, 10)를 착탈(부착 및 탈거)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턱이 전후진 이동하도록 연결장치 본체와 분리 장착된 구조이며, 도9에서는 이동식 걸림턱(16)이 연결장치(15) 내부 상단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하도록 장착 되어 있고, 연결장치(15)의 외측(外側) 상부에 이동식 걸림턱(16)을 이동 시키는 이동 손잡이(17)가 있으며, 이동 손잡이(17)는 연결장치(15) 상부의 이동식 걸림턱 이동용 개구부(18)를 통하여 이동식 걸림턱(16)과 결합된 구조이다.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에서 이동 손잡이(17)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쪽으로 전진시키면 이동식 걸림턱(16)이 케이블 몰딩 말단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장치가 고정이 되고, 이동 손잡이(17)를 반대 방향으로 후진 시키면 이동식 걸림턱(16)이 케이블 몰딩 말단부를 벗어나서 연결장치 고정이 해제된다.
여기서 도9를 다시 정리하면 비직선 연결부에서 그 연결장치(8)(9)(10)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에 착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그 연결장치(8)(9)(10) 내부 상단에 연결장치 본체와 분리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한 이동식 걸림턱(16)이 장착된 구조이며,
그 연결장치(8)(9)(10) 외측 상부에 이동식 걸림턱(16)을 이동시키는 손잡이(17)가 있으며,
그 연결장치(8)(9)(10) 상부에는 이동식 걸림턱(16)의 전후진 이동을 유도하고 손잡이(17)와 이동식 걸림턱(16)을 결합하게하는 개구부(18)가 있으며,
손잡이(17)는 상기 개구부(18)를 통하여 연결장치 내부 상단에 장착된 이동식 걸림턱(16)과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a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9항에 해당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4a, 도4b, 도4c의 커버(cover)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이하 연결장치라 함) 중 도4b의 T형 구조의 연결장치(9)를 하나의 예로 들어서, 연결장치(8)(9)(10)를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의 바닥에 접착하여 고정 시킬 수 있는 평면 접착판(47)을 설명한다.
제 10b도는 도10a에서의 커버식 구조의 T형 구조 연결장치(9) 하부 양측에 평면 접착판(47)이 부착 된 것을 단면도로서 보여주고있는데, 이 평면 접착판(47)의 아랫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를 발라서 비직선 연결부의 케이블 몰딩이 부착되는 바닥에 연결장치(8)(9)(10)를 접착 고정 시키는 것이다.
제 10c도는 커버식 구조의 T형 구조 연결장치(9) 하부 평면 접착판(47)에 접착제를 발라서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에 접착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도10c에서와 같이 평면 접착판(47)에 의해서 바닥에 접착 고정시키는 연결장치는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를 덮을 필요가 없고,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와같은 높이로 할 수도 있다.
도10a의 평면 접착판(47)이 있는 연결장치(8)(9)(10)를 다시 정리하면, 연결장치(8)(9)(10)를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의 바닥에 접착하여 고정 시키기 위해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를 발라서 바닥에 접착하는 평면 접착판(47)이 연결장치 하부 양측에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a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10항에 해당하는 도면으로서, 직각형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19)를 보여준다.
이 연결장치(19)는 2개의 케이블몰딩이 평면상에서 직각형 구조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에서 케이블몰딩과 접촉되게 장치하여 케이블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평면상의 직각형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이다.
제 11b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11항에 해당하는 도면으로서 T형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20)를 보여준다.
이 연결장치(20)는 3개의 케이블몰딩이 평면상에서 T형 구조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에서 케이블몰딩과 접촉되게 장치하여 케이블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평면상의 T형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이다.
제 11c도는 본 고안의 청구항 12항에 해당하는 도면으로서 십자형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21)를 보여준다.
이 연결장치(21)는 4개의 케이블몰딩이 평면상에서 십자형 구조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에서 케이블몰딩과 접촉되게 장치하여 케이블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평면상의 십자형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이다.
제 11d도는 상부(上部) 내각형(內角形)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22)를 보여준다.
이 연결장치(22)는 건물의 벽과 벽이 서로 직각 내각을 이루거나 또는 벽과 바닥이 서로 직각 내각을 이루는 건물의 직각 내각 모서리에서, 2개의 케이블 몰딩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직각 내각(內角)으로 만나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에서 노출되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연결장치의 상부(上部)가 직각 내각(內角) 모양이고, 하부(下部)가 직각 외각(外角) 모양이며, 그 직각 외각 모양인 연결장치의 하부가 건물의 직각 내각 모서리의 2개 케이블 몰딩이 서로 직각 내각으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에서 케이블몰딩과 접촉되게 장치되어, 그 2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한다.
제 11e도는 하부(下部) 내각형(內角形) 구조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23)를 보여준다.
이 연결장치(23)는 건물의 벽 또는 기둥이 직각 외각(外角)을 이루는 건물의 직각 외각 모서리에서 2개의 케이블 몰딩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직각 외각으로 만나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에서 노출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해,
연결장치의 상부가 직각 외각 모양이고, 하부가 직각 내각 모양이며, 그 직각 내각 모양인 연결장치의 하부가 건물의 직각 외각 모서리의 2개 케이블몰딩이 서로 직각 외각으로 비직선 연결되는 부분에서 케이블몰딩과 접촉되게 조합되어, 그 2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한다.
상기에 설명된 도11a, 도11b, 도11c, 도11d, 도11e의 공통적인 사항을 다시 설명하면,
상기 도11a, 도11b, 도11c, 도11d, 도11e의 연결장치(19)(20)(21)(22)(23)는 2개 이상의 케이블 몰딩이 직각형 구조 또는 T형 구조 또는 십자형 구조의 비직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케이블의 노출을 방지하는 케이블몰딩 연결장치로서,
상기 2개 이상의 케이블 몰딩의 비직선 연결구조(직각형 구조 또는 T형 구조 또는 십자형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되고,
케이블 몰딩 내부의 케이블(7)이 그 비직선 연결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초가 되는 하부 베이스(25)와 케이블 보호용 내부 공간(6)이 있는 상부 커버(24)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부 커버(24)와 하부 베이스(25)를 조합 시키기 위해 상부 커버(24)의 내부 하단 양측에는 걸림 작용에 의하여 커버를 베이스와 조합하는 커버의 로커(26)(locker)가 돌출 되어 있으며, 하부 베이스(25)의 상단 양측에는 걸림 작용에 의하여 베이스(25)를 커버(24)와 조합하는 베이스의 로커(27)(locker)가 있다.
상기 커버의 로커(26)와 베이스의 로커(27)의 상호 걸림 작용에 의하여 상부의 커버(24)와 하부의 베이스(25)가 조합되어 케이블 보호용 내부공간(6)이 있는 케이블몰딩 연결장치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 11f도는 상기 도11a, 도11b, 도11c, 도11d, 도11e에서의 걸림 작용에 의하여 상부의 커버(24)와 하부의 베이스(25)를 조합하는 커버의 로커(26)(locker)와베이스의 로커(27)(locker)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f에서 상부의 커버(24)에는 내부 하단 양측에 커버의 로커(26)(locker)가 있고, 하부의 베이스(25)에는 그 상단 양측에 베이스의 로커(27)(locker)가 있다. 이 두 로커(26)(27)(locker)의 걸림작용으로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연결장치의 커버와 베이스가 조합되는 것이다.
제 12a도는 2개의 케이블 몰딩이 2방향에서 직각형태로 비직선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하는 직각형 구조 연결장치를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2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서 제작한 2조각으로 분리한 직각형 구조 연결장치(39)를 보여준다.
제 12b도는 3개의 케이블 몰딩이 3방향에서 T형태로 비직선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하는 T형 구조 연결장치를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3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서 제작한 3조각으로 분리한 T형 구조 연결장치(40)를 보여준다.
제 12c도는 4개의 케이블 몰딩이 4방향에서 십자형태로 비직선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하는 십자형 구조 연결장치를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4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서 제작한 4조각으로 분리한 십자형 구조 연결장치(40)를 보여준다.
위의 도12a, 도12b, 도12c에서처럼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는 직각형 구조이든, T형 구조이든, 십자형 구조이든 2조각 이상으로 분리하여 제작하면, 설치작업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위 도12a, 도12b, 도12c에서의 2조각 이상으로 분리한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는 도4a, 도4b, 도4c의 커버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 9, 10)와 도11a, 도11b, 도11c, 도11d, 도11e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19)(20)(21)(22)(23)에 모두 적용이 된다.
제 13도는 건축물의 벽(28)과 벽(28)이 직각 내각을 이루는 직각 내각 모서리(30)에서 수직 부착 케이블 몰딩(31)과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32)이 만나서 비직선 연결 되는 부분을 설명하는 내각 모서리에서의 비직선 연결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13에서는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직각형 연결부(33)와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T형 연결부(34)와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십자형 연결부(35)를 볼 수 있다.
제 14a도는 도 13의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직각형 연결부(33)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할 수 있는 내각모서리에서의 직각형 연결부 연결장치(36)이다.
제 14b도는 도 13의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T형 연결부(34)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할 수 있는 내각모서리에서의 T형 연결부 연결장치(37)이다.
제 14c도는 도 13의 내각모서리에서의 수직 및 수평 부착 케이블몰딩의 십자형 연결부(35)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할 수 있는 내각모서리에서의 십자형 연결부 연결장치(38)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첨부 도면에 관해 설명을 하였으며, 도면에 첨부되지 않은 설명을 곁드리면
도11d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상부 내각형 구조 연결장치(22)와
도11e의 커버와 베이스 조합식 하부 내각형 구조 연결장치(23) 및
도14a의 내각모서리에서의 직각형 연결부 연결장치(36) 및
도14b의 내각모서리에서의 T형 연결부 연결장치(37) 및
도14c의 내각모서리에서의 십자형 연결부 연결장치(38)는 도면에서 상부 커버와 하부 베이스의 조합식 연결장치 만을 설명하였으나, 도4a, 도4b, 도4c에서와 같은 커버식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 9, 10)처럼 커버만으로 된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로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1항과 청구항 2항과 청구항 3항의 각 항 구성요소에 연결장치를 고정 시키는 장치를 포함 시키지 않고, 연결장치를 고정 시키는 장치를 위 3개항의 종속항인 청구항 4항과 5항과 6항과 7항과 8항과 9항에 따로 청구한 이유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를 비직선 연결부에 고정 시키는 장치와 방식은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된 것 외에도 연결장치를 현장에서 직접 시공하는 시공자에 따라서 여러가지 장치와 방식이 동원 될 수 있는 바,
연결장치를 비직선 연결부에 고정 시키는 장치와 방식을 본 고안의 청구항 1항과 청구항 2항과 청구항 3항에 포함하여 청구하면, 침해자가 연결장치를 고정 시키는 장치와 방식을 제외한 연결장치를 생산 판매하는데 대하여 본 출원인이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는 점 때문이다.
또한 독립 청구항인 본 고안의 청구항 1항과 청구항 2항과 청구항 3항에서 연결장치를 고정 시키는 장치와 방식이 제외되어도 그 각 청구항의 필수 구성요소가 충족 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는 건축물과 산업설비 등에 케이블 몰딩을 부착하는 위치와 부착 형태 및 케이블 몰딩의 종류에 따라 본 고안에서 설명하지 못한 다양한 모양의 비직선 연결부가 더 있을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내용에 관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한 연결수단에서 도출 된 다양한 형태의 연결수단을 더 고안하여, 본 고안에서 설명 못한 다양한 모양의 비직선 연결부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한 일일 뿐아니라,
본 고안에서 설명된 비직선 연결부에 대해서도 본 고안에서 제시한 연결수단에서 도출 된 다양한 형태의 연결수단을 더 고안하여 적용하는 일이 용이할 것이다.
케이블 몰딩이 비직선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연결 되는 케이블 몰딩의 말단부를 톱으로 절각하지 않고서도 연결부를 완벽하게 구성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몰딩의 비직선 연결부에서 내부의 케이블을 노출 시키지 않고 보호하며, 연결부의 외관을 단정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2)

  1. 2개의 케이블 몰딩이 직각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2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비직선 연결부를 덮어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형성하는 커버식 구조(8)이며, 직각형 비직선 연결부의 2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도록 직각형 구조(8)로 됨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2. 3개의 케이블 몰딩이 T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3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비직선 연결부를 덮어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형성하는 커버식 구조(9)이며, T형 비직선 연결부의 3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도록 T형 구조(9)로 됨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3. 4개의 케이블 몰딩이 십자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4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비직선 연결부를 덮어서 케이블 보호용 공간(6)을 형성하는 커버식 구조(10)이며, 십자형 비직선 연결부의 4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도록 십자형 구조(10)로 됨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커버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는
    그 연결장치(8)(9)(10)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외부에 접착하여 고정하도록 연결장치(8)(9)(10)의 내부에 양면접착테이프(46)가 붙여져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커버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는
    그 연결장치(8)(9)(10)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외부 하단 양측에 걸어서 고정 시키도록 연결장치(8)(9)(10)의 내부 하단 양측에 돌출된 걸림턱(11)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커버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는
    그 연결장치(8)(9)(10)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내부 상단에 걸어서 고정 시키도록 연결장치(8)(9)(10)의 내부 상단에서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의 내부 상단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13)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커버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는
    그 연결장치(8)(9)(10)의 내부 상단에 L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4)이 케이블 몰딩 말단부(43)를 향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그 L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4)과 연결장치(8)(9)(10)의 몸체 사이에는 케이블 몰딩 커버(1)를 삽입하여 연결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홈(44)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커버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는
    비직선 연결부에서 그 연결장치(8)(9)(10)를 연결되는 케이블 몰딩 말단부(43)에 착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그 연결장치(8)(9)(10) 내부 상단에 연결장치 본체와 분리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한 이동식 걸림턱(16)이 장착된 구조이며,
    그 연결장치(8)(9)(10) 외측 상부에 이동식 걸림턱(16)을 이동시키는 손잡이(17)가 있으며,
    그 연결장치(8)(9)(10) 상부에는 이동식 걸림턱(16)의 전후진 이동을 유도하고 손잡이(17)와 이동식 걸림턱(16)을 결합하게하는 개구부(18)가 있으며,
    손잡이(17)는 상기 개구부(18)를 통하여 연결장치 내부 상단에 장착된 이동식 걸림턱(16)과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커버식 구조인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8)(9)(10)는
    그 연결장치(8)(9)(10)를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의 바닥에 접착하여 고정 시키기 위해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를 발라서 바닥에 접착하는 평면 접착판(47)이 연결장치 하부 양측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10. 2개의 케이블 몰딩이 직각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2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직각형 구조이고 케이블 보호용 내부 공간이 있는 상부의 커버(24)와, 직각형 구조이고 기초가 되는 하부의 베이스(25)가 있고, 상부 커버(24)와 하부 베이스(25)를 조합시키기 위해 커버(24)의 내부 하단 양측에는 걸림 작용에 의하여 커버(24)를 베이스(25)와 조합하는 커버의 로커(26)가 돌출되어 있으며, 베이스(25)의 상단 양측에는 걸림 작용에 의하여 베이스(25)를 커버(24)와 조합하는 베이스의 로커(27)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11. 3개의 케이블 몰딩이 T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3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T형 구조이고 케이블 보호용 공간이 있는 상부의 커버(24)와, T형 구조이고기초가 되는 하부의 베이스(25)가 있고, 상부 커버(24)와 하부 베이스(25)를 조합시키기 위해 커버(24)의 내부 하단 양측에는 걸림 작용에 의하여 커버(24)를 베이스(25)와 조합하는 커버의 로커(26)가 돌출되어 있으며, 베이스(25)의 상단 양측에는 걸림 작용에 의하여 베이스(25)를 커버(24)와 조합하는 베이스의 로커(27)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12. 4개의 케이블 몰딩이 십자형태로 연결되는 비직선 연결부에 설치하여 그 4개 케이블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십자형 구조이고 케이블 보호용 공간이 있는 상부의 커버(24)와, 십자형 구조이고 기초가 되는 하부의 베이스(25)가 있고, 상부 커버(24)와 하부 베이스(25)를 조합시키기 위해 커버(24)의 내부 하단 양측에는 걸림 작용에 의하여 커버(24)를 베이스(25)와 조합하는 커버의 로커(26)가 돌출되어 있으며, 베이스(25)의 상단 양측에는 걸림 작용에 의하여 베이스(25)를 커버(24)와 조합하는 베이스의 로커(27)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KR2020020001063U 2002-01-14 2002-01-14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KR200273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63U KR200273473Y1 (ko) 2002-01-14 2002-01-14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63U KR200273473Y1 (ko) 2002-01-14 2002-01-14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473Y1 true KR200273473Y1 (ko) 2002-04-26

Family

ID=7311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063U KR200273473Y1 (ko) 2002-01-14 2002-01-14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4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1542T5 (de) 2007-06-13 2010-04-22 Ahn, Moon-Sang Abschliesswerkzeug für Kabelformverbindung
KR102285484B1 (ko) * 2020-11-03 2021-08-03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20230016783A (ko) * 2021-07-27 2023-02-03 김언호 케이블 몰드의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1542T5 (de) 2007-06-13 2010-04-22 Ahn, Moon-Sang Abschliesswerkzeug für Kabelformverbindung
KR102285484B1 (ko) * 2020-11-03 2021-08-03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20230016783A (ko) * 2021-07-27 2023-02-03 김언호 케이블 몰드의 연결장치
KR102567945B1 (ko) 2021-07-27 2023-08-16 김언호 케이블 몰드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2754A (en) Vapor seal outlet box
CA2558702C (en) Electric box for concrete walls
US4247738A (en) Flush-mounting electrical box assembly having switch and socket holder frame for electrical building installations
JP2011505783A (ja) 配線モール連結部の被覆具
US7038129B1 (en) Electrical outlet safety cover
KR200273473Y1 (ko)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JP2010129427A (ja) 照明器具
JP2578137B2 (ja) ケーブルその他を貫通させるためのフレーム構造
EP1798830B1 (en) A device for connecting together electrical conductor installation ducts
JP3387021B2 (ja) 床用配線器具
JP3000115U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3051768B2 (ja) ハーネスプラグ
KR200150958Y1 (ko) 배선닥트
JPS62213510A (ja) ジヨイントボツクス
JP2564588Y2 (ja) 基板固定具
KR102088325B1 (ko) 리테이너 및 커넥터
KR200171331Y1 (ko) 배선덕트용 배선기구고정구
JPH0416582Y2 (ko)
JPH0145099Y2 (ko)
KR200321202Y1 (ko) 터미널 블록 단자함
KR940002346Y1 (ko) 배선 닥트
JP3386975B2 (ja) ハーネスプラグ
JP3151249B2 (ja) 配線盤
JPH0521927Y2 (ko)
JPH01272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