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325B1 - 리테이너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테이너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325B1
KR102088325B1 KR1020180121587A KR20180121587A KR102088325B1 KR 102088325 B1 KR102088325 B1 KR 102088325B1 KR 1020180121587 A KR1020180121587 A KR 1020180121587A KR 20180121587 A KR20180121587 A KR 20180121587A KR 102088325 B1 KR102088325 B1 KR 102088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base
connector
junction bloc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호
유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2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밀림 방지 기능 외에도 커넥터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리테이너 및 이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단자밀림 방지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정션블록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바디고정부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넥터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리테이너의 패널 및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리테이너 및 커넥터{retainer and connector}
본 발명은 물체의 배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정션블록은 자동차의 엔진룸과 차량의 실내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전기 장치에 전원을 분배하는 장치를 말한다. 정션블록은 터미널, 퓨즈, 릴레이 등의 부속부품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정션블록 내측에 고정된 암형(female)단자에 각 부속 부품에 형성된 수형(male)단자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부속 부품을 정션블록에 설치할 수 있다.
리테이너(retainer)는 물체의 위치를 고정시켜 배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1 및 도 2에 리테이너의 일 예로서 릴레이 리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다. 릴레이 리테이너(10)는 도 1과 같이 정션블록(20)에 고정된 릴레이 단자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션블록(20) 바디 하측에 삽입되며, 특히 정션블록(20) 내측에 고정된 암형단자의 밀림 방지를 위한 것이다. 또한 릴레이 리테이너(10)는 도 2와 같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되며 암형단자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단자밀림 방지부(11) 및 단자밀림 방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정션블록 내부로 삽입되어 리테이너를 정션블록에 고정시키는 바디 고정부(1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릴레이 리테이너는 오로지 단자 밀림 방지의 기능을 할 뿐 다른 기능은 없는 실정이다. 더불어 리테이너는 보통 플라스틱 사출로 제조되는데 엔진룸의 온도가 높으며, 진동 등 복합환경 평가 시 단자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리테이너 변형으로 인해 단자 유동 방지 구조가 미흡하다는 우려가 있었다. 나아가 리테이너에는 손잡이로 활용할만한 구조가 없어 정션블록에 체결하기가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은 차량의 실내부(40)에 커넥터(30)가 고정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30)는 와이어링에 묶음 테핑 방식으로 고정하는데, 테핑 작업을 위해서는 일정 공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정션블록 내부에는 커넥터(30)를 고정할만한 구조가 없어, 커넥터(30)는 엔진룸 내의 부품에 연결된 것이라도 실내부(40)로 우회하여 고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커넥터를 엔진룸이 아닌 실내부에 고정하는 경우,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커넥터를 연결하는 와이어링의 길이가 증가하여 중량 및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커넥터를 고정할 때 분기 묶음 테핑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와이어링의 간섭, 이음이 발생하여 와이어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를 정션블록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자 밀림 방지 기능 외에도 커넥터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리테이너 및 이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 우려가 적고, 정션블록에 조립하는 것이 용이한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정션블록에 삽입되는 리테이너 및 이에 결합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테이너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단자밀림 방지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정션블록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바디고정부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커넥터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일면 및 가압돌기를 커버하는 유동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동방지패드는, 탄성소재이며, 상기 베이스의 일면 및 가압돌기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방지패드는 탄성소재를 가짐으로써, 암형단자와 리테이너 사이의 유격에 따라 탄력적으로 단자를 지지하거나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일면의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1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정션블록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로로부터 상기 베이스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바디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삽입부재에는, 상기 바디삽입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2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보강리브 및 제2보강리브가 형성됨으로써, 리테이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션블록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베이스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바디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삽입부재의 외측면에는, 턱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부에 의해 리테이너가 정션블록에 과하게 삽입되어 릴레이의 암형단자나 리테이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패널의 일면에는, 제1락킹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락킹돌기는 상기 패널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되어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패널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리테이너에 하나의 커넥터 결합부가 형성된 것 뿐만 아니라 복수의 커넥터 결합부가 형성된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복수 개이며, 복수 개의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패널의 타면을 서로 맞댄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복수 개이며, 복수 개의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있다. 이들의 경우에 커넥터 결합부는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9항의 리테이너와 결합되며, 일면에 슬라이딩레일이 장방형의 홈인 슬라이딩홈이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리테이너의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리테이너의 슬라이딩돌기가 커넥터의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며 리테이너와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일면에 제2락킹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락킹돌기는,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락킹돌기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커넥터가 리테이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락킹돌기는 상기 커넥터의 일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되어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서로 접하며 슬라이딩하여 커넥터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테이너에 커넥터 결합부를 포함함에 따라, 리테이너가 단자를 고정시키는 것 이외에도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를 정션블록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실내부로 우회하여 테핑 작업 하였던 것과 비교할때 와이어링의 길이가 매우 짧아지므로 와이어링의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며, 커넥터 고정 작업성이 향상되고, 테핑에 의하지 않으므로 와이어링의 품질 또한 향상된다.
또한 커넥터 결합부와 커넥터가 슬라이딩 형식으로 결합되는 구조 및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된 구조에 의해 커넥터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제1락킹돌기 및 제2락킹돌기에 의해 커넥터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리테이너의 커넥터 결합부는 리테이너를 정션블록에 삽입할 시 손잡이의 기능을 하여, 리테이너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테이너는 탄성소재의 유동방지패드를 더 포함함에 따라, 리테이너가 정션블록 바디 내부에 배치된 암형단자에 더욱 밀착할 수 있으며, 정션블록 바디 내측의 걸림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테이너의 베이스 및 바디삽입부재에는 제1보강리브 및 제2보강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리테이너가 엔진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디삽입부재에는 턱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리테이너가 정션블록 내로 과도하게 삽입되어 리테이너나 정션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결합부는 리테이너의 베이스상에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됨에 따라 정션블록에 릴레이 등의 부품 설치 상황에 맞추어 커넥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리테이너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커넥터가 차량의 실내부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리테이너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의 리테이너에 유동방지패드를 부가하여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리테이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4의 리테이너에 커넥터를 결합한 사시도,
도 9는 제1락킹돌기 및 제2락킹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제1락킹돌기 및 제2락킹돌기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리테이너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양날형 리테이너 및 이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11자형 리테이너 및 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리테이너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의 리테이너에 유동방지패드를 부가하여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리테이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테이너(100)는, 정션블록(410) 내부의 단자를 가압하여 단자 유동을 방지하는 단자밀림 방지부(110), 리테이너(100)의 설치를 위한 정션블록(410) 고정부(120), 커넥터(300)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단자밀림 방지부(110)는, 몸체가 되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111)를 포함하며 베이스(111)의 중앙부는 단자로부터 연결되는 와이어(413)가 통과 가능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된다. 베이스(111)의 일면에는 단자를 가압하도록 돌출되는 가압돌기(112)가 형성되며 가압돌기(112)는 단자의 배치 및 형상에 따라 복수 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써, 베이스(111)의 타면에는 베이스(111)의 둘레를 따라 제1보강리브(11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보강리브(113)가 형성됨으로써 엔진룸 등 고온 환경에 본 발명 리테이너(100)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열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적은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정션블록(410) 고정부(120)는, 베이스(111)의 일면으로부터 가압돌기(112)와 동일한 방향, 즉 베이스(1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연장형성된 부분을 바디삽입부재(121)라 칭하며, 바디삽입부재(121)를 정션블록(410) 내부로 끼워 넣음으로써 리테이너(100)를 정션블록(4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써, 바디삽입부재(121)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2보강리브(12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보강리브(123)가 형성됨으로써 고온 환경이나 외부 충격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가 적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써, 바디삽입부재(121) 외측에는 걸림부(122)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2)는 가압돌기(112)가 형성된 베이스(111)의 일면과 나란한 면 상에 턱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본 발명 리테이너(100)가 정션블록(410) 내부로 과하게 삽입되어 리테이너(100)나 정션블록(4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 결합부(130)는 베이스(111)로부터 바디고정부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커넥터(300)와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커넥터 결합부(130)는 하술하는 커넥터(300)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 리테이너(100)의 커넥터 결합부(130)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넥터 결합부(130)는 베이스(111)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패널(131)과, 패널(131)의 일면에 패널(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131)의 일면에는, 제1락킹돌기(133)가 돌출형성되어 커넥터(300)가 결합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락킹돌기(133)의 일측은 패널(131)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되어 제1경사면(134)이 형성되고, 반대측은 턱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경사면(134)은 상기 패널(131)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리테이너(100)는 베이스(111)의 일면 및 가압돌기(112)를 커버하는 유동방지패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방지패드(200)는 탄성소재이며, 가압돌기(112)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베이스(111)의 일면 및 가압돌기(112)에 밀착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리테이너(100)는 정션블록(410) 바디 하부에서 삽입되어 정션블록(410) 바디 내부에 설치된 암형단자(412)를 지지한다. 이 때 리테이너(100)와 암형단자(412) 사이에는 유격(A)이 발생하며, 릴레이(420)를 장착할 때 릴레이(420)에 형성된 수형단자(421)가 암형단자(412)에 삽입되며 암형단자(412)가 하측으로 밀릴 수 있다. 한편, 암형단자(412)가 밀려 수형단자(421)와의 결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션블록(410) 바디 내측에는 걸림턱(4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암형단자(412)가 과도하게 밀리는 경우 걸림턱(411)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곧 암형단자(412)의 이탈 및 릴레이(420) 연결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100)에 유동방지패드(200)를 포함하며, 유동방지패드(200)는 탄성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암형단자(412)와 리테이너(100) 사이의 유격에 따라 탄력적으로 암형단자(412)를 지지하거나 가압함은 물론, 마찰계수 또한 높아 리테이너(100)가 정션블록(4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8은 도 4의 리테이너에 커넥터를 결합한 사시도, 도 9는 제1락킹돌기 및 제2락킹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제1락킹돌기 및 제2락킹돌기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리테이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리테이너와 결합 가능한 본 발명의 커넥터 및 리테이너와 커넥터를 결합 시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300)는 일면에 리테이너(100)의 슬라이딩돌기(13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332)이 형성된 슬라이딩레일(330)을 포함한다. 따라서 리테이너(100)의 슬라이딩돌기(132)가 커넥터(300)의 슬라이딩레일(3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함으로써 리테이너(100)와 커넥터(3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300)의 일면에 제2락킹돌기(133)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락킹돌기(133)는, 상기 리테이너(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락킹돌기(133)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커넥터(300)가 리테이너(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락킹돌기(133)의 일측은 커넥터(300)의 일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되어 제2경사면(334)이 형성되고, 제2락킹돌기(133)의 반대측은 턱이 형성된다. 제2경사면(334)은 상기 리테이너(100)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락킹돌기(133) 및 제2락킹돌기(133)가 제1경사면(134) 및 제2경사면(334)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커넥터(300)가 용이하게 삽입될수 있으며, 삽입된 이후에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경사면 반대측에 형성된 턱에 의하여 커넥터(300)가 리테이너(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양날형 리테이너 및 이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11자형 리테이너 및 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테이너에는 커넥터 결합부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양날형 리테이너(1100) 및 11자형 리테이너(2100)를 개시한다.
양날형 리테이너(1100)는 양날형 커넥터 고정부(1130)를 포함하며, 양날형 커넥터 고정부(1130)는, 두 개의 커넥터(300)를 맞대어 결합할 수 있도록 상술한 커넥터 결합부(130)가 패널(131) 부분이 맞대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커넥터(300)가 베이스(111)를 덮어 와이어(413)가 베이스(111)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본 리테이너(100)는 릴레이 미사용부에 적용 가능하며, 차량 엔진룸에 커넥터(300)가 두 개 필요할 때 엔진룸 정션블록(410)에 동시에 장착하여 원가 및 품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11자형 리테이너(2100)는 11자형 커넥터 고정부(2130)를 포함하며, 11자형 커넥터 고정부(2130)는, 두 개의 커넥터(300)를 이격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상술한 커넥터 결합부(130)가 베이스(111)의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와이어(413)가 베이스(111)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본 리테이너(100)는 릴레이 사용부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차량 엔진룸에 커넥터(300)가 두 개 필요할 때 엔진룸 정션블록(410)에 동시에 장착하여 원가 및 품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릴레이 리테이너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커넥터를 결합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리테이너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리테이너 110 : 단자밀림 방지부
111 : 베이스 112 : 가압돌기
113 : 제1보강리브 120 : 정션블록 고정부
121 : 바디삽입부재 122 : 걸림부
123 : 제2보강리브 130 : 커넥터 결합부
131 : 패널 132 : 슬라이딩돌기
133 : 락킹돌기 134 : 제1경사면
200 : 유동방지패드 300 : 커넥터
330 : 슬라이딩레일 332 : 슬라이딩홈
333 : 제2락킹돌기 334 : 제2경사면
410 : 정션블록 411 : 걸림턱
412 : 암형단자 413 : 와이어
420 : 릴레이 421 : 수형단자
1100 : 양날형 리테이너 1130 : 양날형 커넥터 고정부
2100 : 11자형 리테이너 2130 : 11자형 커넥터 고정부

Claims (14)

  1. 정션블록에 삽입되는 리테이너에 있어서,
    중앙부가 관통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단자밀림 방지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정션블록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정션블록 고정부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넥터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일면 및 가압돌기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유동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면의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1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로로부터 상기 베이스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바디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삽입부재에는, 상기 바디삽입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2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베이스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바디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삽입부재의 외측면에는, 턱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일면에는, 제1락킹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돌기는 상기 패널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되어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패널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복수 개이며,
    복수 개의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패널의 타면을 서로 맞댄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복수 개이며,
    복수 개의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12. 커넥터에 있어서,
    제9항의 리테이너와 결합되며,
    일면에 슬라이딩레일이 장방형의 홈인 슬라이딩홈이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리테이너의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된 면에 제2락킹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락킹돌기는,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락킹돌기에 걸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돌기는 상기 커넥터의 일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되어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80121587A 2018-10-12 2018-10-12 리테이너 및 커넥터 KR102088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87A KR102088325B1 (ko) 2018-10-12 2018-10-12 리테이너 및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87A KR102088325B1 (ko) 2018-10-12 2018-10-12 리테이너 및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325B1 true KR102088325B1 (ko) 2020-03-12

Family

ID=6980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87A KR102088325B1 (ko) 2018-10-12 2018-10-12 리테이너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3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731A (ja) * 1995-08-23 1997-03-07 Yamaichi Electron Co Ltd Icキャリア
KR20080086582A (ko) * 2007-03-23 2008-09-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조립체
KR20090001733U (ko) * 2007-08-20 2009-02-25 경신공업 주식회사 멀티브라켓장치
KR20170002165U (ko) *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731A (ja) * 1995-08-23 1997-03-07 Yamaichi Electron Co Ltd Icキャリア
KR20080086582A (ko) * 2007-03-23 2008-09-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조립체
KR20090001733U (ko) * 2007-08-20 2009-02-25 경신공업 주식회사 멀티브라켓장치
KR20170002165U (ko) *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3364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lide clip attachment
US9281619B2 (en) Vibration resistant connector system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5789165B2 (ja) 物品と部品と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KR102426325B1 (ko) 케이블 변형 완화부
JP200121834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保持具
US20180022289A1 (en) Assembly-type vehicle component
KR102088325B1 (ko) 리테이너 및 커넥터
JP6064844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部材及び固定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6091970A (ja) ソケット端子構造
US779884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jumper device
WO2014175372A1 (ja) コネクタ
JP6788556B2 (ja) 電子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17163717A (ja) 結束バン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KR101716635B1 (ko) 전선 연결단자
JP7207937B2 (ja) 係合部材
JP2019061744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カバー体、及びコネ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348191B1 (ko) 체결확인 가능한 커넥터
JP5703011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アース接続構造
KR100848693B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786334B1 (ko) 조인트 커넥터
KR101342166B1 (ko) 커넥터
JP4398559B2 (ja) 筐体の結合と共に嵌合されるコネクタ装置
JP4042291B2 (ja) 電子機器のリード線引出し装置
CN215343224U (zh) 快速连接器
CN111371048B (zh) 电缆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