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958Y1 - 배선닥트 - Google Patents

배선닥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958Y1
KR200150958Y1 KR2019960025572U KR19960025572U KR200150958Y1 KR 200150958 Y1 KR200150958 Y1 KR 200150958Y1 KR 2019960025572 U KR2019960025572 U KR 2019960025572U KR 19960025572 U KR19960025572 U KR 19960025572U KR 200150958 Y1 KR200150958 Y1 KR 200150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bottom plate
wiring
duct
al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684U (ko
Inventor
이용백
Original Assignee
이용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백 filed Critical 이용백
Priority to KR2019960025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958Y1/ko
Publication of KR960035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배선 작업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을 덮어서 보호하는 배선닥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실내에서의 바닥 또는 벽면 등에 대한 배선 작업시에 전선을 덮어서 보호하는 배선닥트의 경우 다수개의 전선을 덮어서 보호하고자 할 때 상기 다수개의 전선이 바닥판에서 서로 엇갈린 상태로 위치해 있으므로 닥트커버를 덮을 경우 상기 서로 엇갈린 상태의 전선에 의해 닥트커버가 덮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닥트커버를 바닥판에 덮을 때 일일이 서로 엇갈린 상태의 전선을 엇갈리지 않도록 상기 다수개의 전선을 정렬시키면서 닥트커버를 덮아야만 하므로서 배선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이 위치하는 배선닥트의 바닥판중심에 다수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돌기부를 길게 형성시켜 작업자가 벽면에 다수개의 전선을 배선작업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체결밴드를 상기 돌기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체결시켜 정렬된 다수개의 전선이 바닥판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벽면에 다수개의 전선을 배선작업시 혼자서도 손쉽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배선닥트에 적용한다.

Description

배선닥트
제1도는 본 고안 배선닥트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제2(a)도는 배선닥트에 전화선과 전선이 접촉되지 않게 정렬된 상태를 보인 상세도.
(b)는 본 고안 배선닥트에 전선이 엇갈리게 정렬된 상태를 보인 상세도.
(c)는 본 고안 배선닥트에 전선이 정렬된 상태의 구조를 보인 상세도.
제3도는 본 고안 배선닥트에 전선이 정렬되게 결합된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배선닥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선 2 : 바닥판
4 : 닥트커버 5 : 돌기부
6 : 체결구멍 7 : 체결밴드
본 고안은 실내 배선 작업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을 덮어서 보호하는 배선닥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선닥트의 바닥판 중심에 다수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돌기부를 형성시켜 별도의 체결밴드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전선이 서로 엇갈리지 않게 정렬된 상태로 돌기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내에서의 바닥 또는 벽면 등에 대한 배선작업시에 전선을 덮어서 보호하는 배선닥트의 경우 다수개의 전선을 덮어서 보호하고자 할 때 상기 다수개의 전선이 바닥판에서 서로 엇갈린 상태로 위치해 있으므로 닥트커버를 덮을 경우 상기 서로 엇갈린 상태의 전선에 의해 닥트커버가 덮이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닥트커버를 바닥판에 덮을 때 일일이 서로 엇갈린 상태의 전선을 엇갈리지 않도록 상기 다수개의 전선을 정렬시키면서 닥트커버를 덮어야만 하므로서 배선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이 위치하는 배선닥트의 바닥판 중심에 다수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돌기부를 길게 형성시켜 작업자가 벽면에 다수개의 전선을 배선작업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체결밴드를 상기 돌기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체결시켜 정렬된 다수개의 전선이 바닥판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벽면에 다수개의 전선을 배선작업시 혼자서도 손쉽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배선닥트는 제1도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이 위치하는 바닥판(2)과, 상기 바닥판(2)의 상면 좌우에 형성되어 닥트커버(4)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레일부(3)와 상기 바닥판(2)의 중심에 전화선(1-1) 또는 전선(1)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복수개의 전선(1)이 서로 엇갈리지 않게 정렬시키기 위해 돌출된 돌기부(5)와, 상기 바닥판(2) 정렬된 전선(1) 또는 전화선(1-1)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기부(5)에 다수개 형성된 체결구멍(6)과, 상기 체결구멍(6)에 체결시켜 서로 엇갈리지 않도록 정렬된 복수개의 전선(1)을 고정지지하는 별도의 체결밴드(7)와, 상기 바닥판(2)에 덮여져 정렬된 복수개의 전선(1)을 보호하는 닥트커버(4)와, 닥트커버(4)의 좌우 하측에 형성되어 바닥판(2)의 결합레일부 결합홈(8)에 체결고정되는 커버 결합돌기부(9)로 구성된 것으로서, 미설명부호 10는 바닥판을 벽면 등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테이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1도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실내의 배선작업을 위해서는 먼저 배선닥트의 바닥판(2)에는 접착테이프(1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건물바닥 또는 벽면 등에 상기 바닥판(2)을 부착시킨다.
이후 부착된 바닥판(2)에 전선(1)과 전화선(1-1)을 동시에 정렬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바닥판(2)의 상면 결합레일부(3)사이에 정렬시키고자 하는 전선(1)과 전화선(1-1)을 위치시킨후 닥트커버(4)의 좌우 하측에 형성된 커버 결합돌기부(9)를 결합레일부(3)에 형성된 레일부 결합홈(8)에 체결시키므로서 바닥판(2)에 정렬된 전선(1)과 전화선(1-1)을 보호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전선(1)과 전화선(1-1)을 정렬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바닥판(2)의 상면 중심에는 돌기부(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1)과 전화선(1-1)이 서로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바닥판(2)의 중심에 형성된 돌기부(5)의 좌우에 각각 전선(1)과 전화선(1-1)을 위치시켜 전선(1)과 전화선(1-1)을 정렬되게 배선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복수개의 전선(1)을 배선하고자 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전선(1)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바닥판(2)에 정렬되므로서 상기 엇갈린 전선(1)에 의해 전선(1)의 정렬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바닥판(2)에 닥트커버(4)를 체결할 수 없으므로 상기 엇갈린 상태로 위치한 전선(1)을 엇갈리지 않도록 정렬시킨후 닥트커버(4)를 체결해야만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벽면 등에 바닥판(2)을 부착시켜 복수개의 전선(1) 또는 전화선(1-1)과 전선(1)을 동시에 배선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바닥판(2)에 부착된 접착테이프(10)를 이용하여 바닥판(2)을 바닥 또는 벽면에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바닥판(2)의 상면 중심에는 다수개의 체결구멍(6)이 형성된 돌기부(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바닥판(2)의 일측에서 부터 복수개의 전선(1)이 엇갈리지 않은 상태로 정렬시킨후 별도의 체결밴드(7)를 돌기부(5)에 형성된 체결구멍(6)에 체결시켜 서로 엇갈리지 않은 상태로 정렬된 복수개의 전선(1)을 돌기부(5)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밴드(7)를 이용하여 바닥판(2)의 타측까지 복수개의 전선(1)를 정렬시켜 체결고정한다.
이후 상기 체결밴드(7)에 의해 복수개의 전선(1)이 서로 엇갈리지 않은 상태로 정렬되게 고정완료되었으면 바닥판(2)의 상면 좌우에 형성된 결합레일부(3)의 레일부 결합홈(8)에 닥트커버(4)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부(9)가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바닥판(2)에 정렬된 전선(1)이 보호되도록 닥트커버(4)를 덮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벽면등에서 복수개의 전선을 배선작업할 경우 별도의 체결밴드를 바닥판의 중심에 형성된 돌기부의 체결구멍에 체결시켜 복수개의 전선을 서로 엇갈리지 않도록 정렬시키므로서 작업자는 혼자서 손쉽게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선(1)이 위치하는 바닥판(2)과, 상기 바닥판(2)의 상면 좌우에 형성되어 닥트커버(4)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레일부(3)와, 상기 바닥판(2)에 덮여져 정렬된 복수개의 전선(1)을 보호하는 닥트커버(4)와, 닥트커버(4)의 좌우 하측에 형성되어 바닥판(2)의 결합레일부(3)에 형성된 레일부 결합홈(8)에 체결고정되는 커버 결합돌기부(9)로 이루어진 배선닥트에 있어서, 바닥판(2)의 중심에 돌출되어 전화선(1-1)과 전선(1)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복수개의 전선(1)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부(5)와, 상기 바닥판(2)에 정렬된 전화선(1-1)과 전선(1) 또는 복수개의 전선(1)이 서로 엇갈리지 않은 상태로 정렬된 고정시키기 위해 돌기부(5)에 다수개 형성된 체결구멍(6)과, 상기 체결구멍(6)에 체결시켜 정렬된 전선(1)과 전화선(1-1)또는 복수개의 전선(1)을 고정지지하는 별도의 체결밴드(7)로 구성된 배선닥트.
KR2019960025572U 1996-08-24 1996-08-24 배선닥트 KR200150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72U KR200150958Y1 (ko) 1996-08-24 1996-08-24 배선닥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72U KR200150958Y1 (ko) 1996-08-24 1996-08-24 배선닥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684U KR960035684U (ko) 1996-11-21
KR200150958Y1 true KR200150958Y1 (ko) 1999-07-15

Family

ID=1946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572U KR200150958Y1 (ko) 1996-08-24 1996-08-24 배선닥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9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71B1 (ko)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200466842Y1 (ko) 2009-03-10 2013-05-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및 배선덕트 덮개
KR20210001721U (ko) * 2020-01-16 2021-07-26 (주)메가이엔지 카페트용 전선보호덮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71B1 (ko)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200466842Y1 (ko) 2009-03-10 2013-05-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및 배선덕트 덮개
KR20210001721U (ko) * 2020-01-16 2021-07-26 (주)메가이엔지 카페트용 전선보호덮개
KR200495425Y1 (ko) * 2020-01-16 2022-05-20 (주)메가이엔지 카페트용 전선보호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684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609A (en) Lagging panel
KR940006485U (ko) 리드 노출형 반도체 조립장치
DE69523010D1 (de) Mittels automatischer Bandmontage hergestelltes Halbleitergehäuse
SE9604229D0 (sv) Anordning för sammanfogning
DE69838313D1 (de) Optoelektronische Halbleiteranordnung auf Basis einer Nitridverbindung der Gruppe III
NO20003478D0 (no) Isolasjonsbeskyttelsestape
US3520095A (en) Mounting means for tiles
KR200150958Y1 (ko) 배선닥트
JP2002291131A (ja) ケーブルプロテクタ及びケーブルプロテクタ用の台座
DE69837071D1 (de) ESD-Schutzbauteil
KR200495425Y1 (ko) 카페트용 전선보호덮개
JPH04114715U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DE69804161T2 (de) Bauteil für Halbleiterapparatur
DE69318346D1 (de) Schutzdiode für ein vertikales Halbleiterbauelement
KR940002346Y1 (ko) 배선 닥트
KR200273473Y1 (ko) 케이블몰딩 비직선 연결부 연결장치
JPH0441695Y2 (ko)
KR920003032Y1 (ko) 케이블 보호용 커버
IT1303019B1 (it)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lo stiro di un nastro tessile di carda
JPS6276700A (ja) 電子機器取付用ベ−ス
JPS6239255Y2 (ko)
JPH0713378Y2 (ja) 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KR19980021880U (ko) 전선
JPH0236715A (ja) アンダーカーペットケーブルの敷設工法
DE9419648U1 (de) Überlastsicherung für einen Bauaufz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