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410Y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410Y1
KR200272410Y1 KR2020010040718U KR20010040718U KR200272410Y1 KR 200272410 Y1 KR200272410 Y1 KR 200272410Y1 KR 2020010040718 U KR2020010040718 U KR 2020010040718U KR 20010040718 U KR20010040718 U KR 20010040718U KR 200272410 Y1 KR200272410 Y1 KR 200272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bbin
transformer
coil
loa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영
Original Assignee
정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영 filed Critical 정원영
Priority to KR2020010040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4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410Y1/ko

Links

Landscapes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력되는 전원을 자기유도 작용에 의하여 변성하여 외부 부하장치로 출력하게 되는 트랜스포머의 터미널에 상기 외부 부하장치를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임의로 기 설정된 케이스의 내부에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코일이 권선된 보빈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주위를 감싸고 있는 코아와; 상기 보빈에는 전원 및 외부 부하장치가 접속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는 삽입 결합되는 코일 접속단, 전원와 부하장치가 삽입 결합되는 단자편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절연 차폐하는 절연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전원을 자기유도 작용에 의하여 변성하여 외부 부하장치로 출력하게 되는 트랜스포머의 터미널에 상기 외부 부하장치를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포머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로 기 설정된 케이스(10)의 내부에 코일(11)이 권선되는 보빈(12)과; 상기 코일(11)이 권선된 보빈(12)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주위를 감싸고 있는 코아(13)와; 상기 코일(11)과 코아(13)간에 자기유도에 의하여 변성되는 신호를 외부장치와 접속하는 터미널(14)과; 상기 터미널(14)을 절연 차폐하는 절연커버(15)로 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트랜스포머는 상기 터미널(14)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터미널(14)은 상기 보빈(12)의 일측 상단에 권선된 코일(11)과 접속되는 단자편(16)으로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편(16)은 상기 보빈(12)상에 별도의 리벳으로 고정하거나, 상기 보빈(12)에 단자편(16)의 일측단을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1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빈(12)에 형성된 터미널(14)인 단자편(16)에는 상기 보빈(12)에 권선된 코일(11)의 끝단이 풀리 않도록 감고, 이어서 외부장치와 접속하게 되는 별도의 접속 리드선(17)을 감아준 후, 꺾어 접은 상태에서 납땜하여 줌으로써, 트랜스포머를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하게 트랜스포머는 작업자가 보빈(12)에 권선된 코일(11)을 터미널(14)인 단자편(16)에 일일이 권선하고, 이어서 외부장치와 접속하는 접속 리드선(17)을 일일이 다시 권선한 후 납땜하여야 하는 반복된 권선 작업으로 인한 제작에 복잡함이 있는가 하면, 상기 접속 리드선(17)을 별도로 마련하여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생산성 저하는 물론, 부품의 수 증가로 인하여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여러가지 제반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랜스포머에 외부 부하장치와 접속하는 별도의 접속리드선을 연결하지 않고, 상기 외부 부하장치의 접속단이 직접 접속될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포머에 외부 부하장치의 접속단이 직접 접속되는 터미널을 구성하여 줌으로써, 트랜스포머의 제작시 부품 및 작업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나아가서는 공정의 자동화를 기할 수 있어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임의로 기 설정된 케이스의 내부에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주위를 감싸고 있는 코아와; 상기 보빈의 일측 상면에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 결합되는 코일 접속단, 전원와 부하장치가 접속되는 단자편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절연 차폐하는 절연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빈에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걸림턱, 코일접속단 및 외부 부하장치가 접속되는 외측 접속핀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감기는 코일의 끝단이 결합되고 외부 부하장치가 접속되는 터미널을 보빈에 일체로 형성된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트랜스포머의 제작에 간소화 및 자동화를 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하고, 아울러 상기 트랜스포머에 별도의 접속리드선 없이 외부 부하장치를 직접 결합할 수 있어, 소규의 제품에 대한 제작 및 조립성 보다 간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트랜스포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트랜스포머의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트랜스포머의 요부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트랜스포머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1; 코일
12; 보빈 13; 코아
14; 터미널 15; 절연커버
16; 단자핀 17; 접속리드선
21; 홀더 30; 터미널
31; 코일접속단 32; 단자편
41; 삽입홀 51; 삽입결합단
52; 코일접속단 53; 외측접속핀
54; 걸림턱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 트랜스포머의 요부 사시도 이고, 도 3 은 본 고안 트랜스포머의 요부 종단면도 로서, 임의로 기 설정된 케이스(10)의 내부에 코일(11)이 권선되는 보빈(12)과; 상기 보빈(12)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주위를 감싸고 있는 코아(13)와; 상기 보빈(12)의 일측 상면에 한쌍의 홀더(21)와, 상기 홀더(21)에 삽입 결합되는 코일 접속단(31), 전원과 부하장치가 삽입 결합되는 단자편(32)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30)과: 상기 터미널(30)을 절연 차폐하는 절연커버(15)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21)는 단자편(32)이 용이한 이탈이 방지되도록 단면이 역오메가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30)의 단자편(32)은 상기 홀더(21)의 삽입이 용이하고, 이탈이 방지되는 외주벽이 절결된 환형의 탄성체로 구성한다.
도 4 는 본 고안 트랜스포머의 다른 실시예도 로서, 도 2 의 터미널(30)을 보빈(12)의 상면에 한쌍의 삽입홀(4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41)에는 삽입 결합단(51)과 코일접속단(52)와 외측 접속핀(53)이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 외측 접속핀(53)의 삽입 결합단(51)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림턱(54)을 일체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코일(11)이 감기는 보빈(12)의 일측 상면에 상부가 절결되고 단면이 역오메가 형상인 한쌍의 홀더(21)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2)에 삽입홀(41)을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홀더(21)의 내측 또는 삽입홀(41)에는 상기 보빈(12)에 권선된 코일(11)의 끝단이 접속되는 일단에 코일 접속단(31)과 타단에 외부 부하장치의 접속구가 삽입 결합되는 단자편(32) 또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 결합단(51)과 코일 접속단(52)및 외측 접속핀(53)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30)을 삽입하되, 상기 홀더(21)에는 상기 단자편(32)을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하여 터미널(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41)에는 외측 접속핀(53)의 삽입 결합단(51)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삽입 결합단(51)의 걸림턱(54)이 삽입홀(41)의 내부에 걸려 쉽게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터미널(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터미널(30)의 단자편(32)의 코일 접속단(31)과 외측 접속핀(53)의 코일접속단(52)각각에는 상기 코일접속단(31)(52)중 어느 하나로 부터 코일(11)을 권선한 후, 이어서 보빈(12)에 권선하여 코일(11)의 끝단을 상기 터미널(30)의 홀더(21)에 삽입된 다른 하나의 단자편(32)의 코일 접속단(31) 또는 외측 접속핀(53)의 코일접속단(52)에 감은 후 구부려 준 후, 납땜하여 줌으로써, 상기 단자편(32), 외측 접속핀(53)이 상기 홀더(21)로 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이어서 상기 보빈(12)에 코아(13)를 감싸아 결합한 후 케이스(1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트랜스포머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트랜스포머는 외부장치와 접속시 상기 보빈(12)에 형성된 터미널(30)인 홀더(21)의 단자편(32), 외측 접속핀(53)에 직접 외부 부하장치의 접속구를 삽입하는 것으로 외부장치와의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의 보빈에 홀더와, 코일이 권선되고, 외부 부하장치의 접속구가 접속되는 단자편을 갖는 터미널을 형성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의 터미널에 외부 부하장치의 접속구가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트랜스포머의 제작에 간소화 및 자동화를 기하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트랜스포머의 터미널에 별도의 접속리드선 없이 외부 부하장치를 직접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접속리드선 접속에 따른 부품의 수 및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기 설정된 케이스의 내부에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주위를 감싸고 있는 코아와; 상기 보빈의 일측 상면에 홀더와, 상기 홀더에 코일 접속단 및 전원와 부하장치가 접속되는 단자편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절연 차폐하는 절연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상기 단자편은 상기 홀더의 삽입이 용이하고, 이탈이 방지되는 외주벽이 절결된 통전이 가능한 탄성체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보빈의 일측 상면에 한쌍의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 결합단, 코일접속단 및 외측접속핀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결합단의 외주벽에는 다수의 걸림턱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2020010040718U 2001-12-28 2001-12-28 트랜스포머 KR200272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718U KR200272410Y1 (ko) 2001-12-28 2001-12-28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718U KR200272410Y1 (ko) 2001-12-28 2001-12-28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410Y1 true KR200272410Y1 (ko) 2002-04-15

Family

ID=7311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718U KR200272410Y1 (ko) 2001-12-28 2001-12-28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4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31B1 (ko) * 2018-04-16 2019-05-31 (주)테라비 변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31B1 (ko) * 2018-04-16 2019-05-31 (주)테라비 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475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with coaxial coils
US4027279A (en) Device for attaching leads to a transformer or the like
KR102023252B1 (ko) 보빈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및 와인딩 방법
JP2004521517A (ja) トランス
KR200272410Y1 (ko) 트랜스포머
JP2014053453A (ja) 電磁誘導器
JP2013168476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344954B2 (ja) ボビンと別体の端末ホルダを用いるコイル部品
JP2005086052A (ja) トランスおよびこのトランスを備えた電源装置
KR20190124167A (ko) 평판형 트랜스포머의 코일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S6123307A (ja) 電気巻線部品におけるピン状端子
KR20140145663A (ko) 스테이터 코어의 코일 결선구조
KR200312344Y1 (ko) 초크 코일
JPH0869923A (ja) トランス用コイル
JPH0864411A (ja) コイルボビン
JPS6290911A (ja) バランコイル
KR100545528B1 (ko) 칩 인덕터 제조용 프레임, 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프레임을 이용한 칩 인덕터 제조방법
JP2740037B2 (ja) インバータ電源装置
JPS62230014A (ja) トランス
KR200150621Y1 (ko) 트랜스포머의 절연형 보빈구조
JPH07283044A (ja) トランス
JP2006041390A (ja) コイ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H0322899Y2 (ko)
KR200267346Y1 (ko) 다용도 전류 검출용 트랜스포머
JPH04359502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