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229Y1 - 공기조화기의급기필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급기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229Y1
KR200272229Y1 KR2019960036728U KR19960036728U KR200272229Y1 KR 200272229 Y1 KR200272229 Y1 KR 200272229Y1 KR 2019960036728 U KR2019960036728 U KR 2019960036728U KR 19960036728 U KR19960036728 U KR 19960036728U KR 200272229 Y1 KR200272229 Y1 KR 200272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air conditioner
air
filter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340U (ko
Inventor
김준봉
조광연
권두건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6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2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3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22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급기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사각형 메쉬(1)주위에 테두리(13)를 설치한 구성을 갖고 공기조화기(200)에 설치된 한쌍의 "ㄱ "형 레일(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급기필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쉬(1)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 절반으로 절단하여 제 1 및 제 2 메쉬(11,12)로 형성하되, 각각의 메쉬(11,12)둘레에는 철판을 "ㄷ"자로 절곡하여서 된 테두리(131,13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쉬(11,12)의 테두리(131,132) 중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는 수개의 힌지(14)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쉬(11,12)의 테두리(131,132) 중 상기 레일(2)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엠보싱돌기(13A)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메쉬(11)의 테두리(131) 중 상부 또는 일측부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손잡이부(15)를 일체로 절곡 형성시켜 주므로써, 첫째로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고, 둘째로 필터와 본체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먼지등의 유입을 완벽히 방지시킬 수 있고, 세째로 급기필터의 착탈시 손잡이를 잡고 실시하므로 메쉬에 손가락이 전혀 닿지 않게 되어 먼지를 직접 만짐으로 인한 보건위상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급기필터
본 고안은 온풍기와 냉,온풍기 및 에어콘등과 같은 공기조화기의 급기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등이 공기조화기내로 유입되지 않토록 하는 급기필터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고 원할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 급기필터의 구조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를 일정온도이내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연료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온풍만을 발생시키는 온풍기와, 온풍 또는 냉풍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주는 냉,온풍기 및 냉풍만을 발생시키는 에어콘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송풍기의 작동시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등이 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기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급기필터(100)는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세로의 길이가 소정길이를 갖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시킨 메쉬(1)의 네변에 금속철판을 "ㄷ"자 형태로 절곡시켜 전체적으로는 "ㅁ "자의 형상을 갖는 테두리(13)를 설치하여 공기조화기(200)의 후면등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설치한 "ㄱ "형 레일(2)과 공기조화기 본체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공기조화기(200)를 실내에 설치하다 보면 실내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조화기 자체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걸리적거리지 않토록 대부분 벽체에 근접되게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고, 또 급기필터(100)가 설치된 부분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토록 설치하게 된다.
또한, 때로는 건물에서 움푹들어간 곳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 급기필터를 착탈시켜야 하는 부위에 제 6 도와 같이 걸림턱(13)등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방향으로 급기필터를 착탈시킬 수 없다.
즉, 종래의 급기필터(100)는 하나의 메쉬(1) 판체에 테두리(13)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급기필터를 착탈시킬 수 있는 방향(예를들어 공기 조화기(200)의 상방향 또는 일측방향)에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야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급기필터를 착탈시켜야 하는 부위에 걸림턱(3)등이 형성되어 있으면 정기적으로 청소를 실시해야 하는 급기필터는 그 방향으로는 착탈시킬 수 없어 공기조화기 자체를 움직여 공간부를 충분히 확보한 다음 급기필터를 착탈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급기필터를 착발시켜야 하는 부위에 걸림턱(3)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공기조화기 자체를 벽체로 부터 할 수 없이 멀리 떨어지게 설치해야 하므로 실내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걸리적거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급기필터가 메쉬 주변에 테두리만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급기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공기조화기로 부터 분리시키거나 청소 후 다시 장착할시 비교적 좁은 폭을 갖는 테두리 부분을 잡고 착탈시켜야만 하는데,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먼지가 묻은 메쉬부분을 잡게될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보건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급기필터(100)의 착탈이 용이토록 하기 "ㄱ "형 레일(2)을 공기조화기의 소정부위에 설치할시 테두리(13)의 두께보다 충분히 넓은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레일(2)의 높이를 크게 형성시켜 주게 되는데, 이와같이 레일(2)의 높이가 메쉬(1)를 감쌓고 있는 테두리(13)의 두께 보다 크면 급기필터(100)의 착탈시 큰마찰력이 없이 슬라이딩되므로 급기필터의 착탈은 용이할지 모르나, 급기필터가 설치되었을시 그의 테두리 내측면과 공기조화기 본체 사이에 비교적 큰 틈새가 발생되므로 이 틈새를 통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필터링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유입되어 실내로 송풍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급기필터의 중심선상을 중심으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급기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급기필터의 테두리상에는 틈새발생 방지용 엠보싱돌기를 형성시켜 공기조화기의 본체에 설치된 레일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하므로써, 필터의 착탈은 원할하면서도 필터와 본체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이를 통한 먼지등의 유입을 완벽히 방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급기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급기필터의 상단부 또는 일측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손잡이를 형성시켜 급기필터의 착탈시 메쉬에 손가락이 전혀 닿지 않토록 하므로써, 먼지를 직접 만짐으로 인한 보건위상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급기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소정면적의 직사각형 메쉬(1) 주위에 테두리(13)를 설치한 구성을 갖고 공기조화기(200) 본체의 후면등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한쌍의 "ㄱ "형 레일(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급기필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쉬(1)를 소정방향에 대해 절반으로 절단하여 제 1 및 제 2 메쉬(11,12)로 형성하되, 각각의 메쉬(11,12) 둘레에는 철판을 "ㄷ"자로 절곡하여서 된 테두리(131,13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쉬(11,12)의 테두리(131,132) 중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는 수개의 힌지(14)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쉬(11,12)의 테두리(131,132) 중 상기 레일(2)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엠보싱돌기(13A)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메쉬(11)의 테두리(131) 중 상부 또는 일측부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손잡이부(15)를 일체로 절곡 형성시킨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메쉬(1)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 및 제 2 메쉬(11,12)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메쉬(11)의 테두리(131) 중 상부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손잡이부(15)를 일체로 절곡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메쉬(1)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 및 제 2 메쉬(11,12)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메쉬(11)의 테두리(131) 중 일측부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손잡이부(15)를 일체로 절곡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200) 본체의 후면등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한쌍의 "ㄱ "형 레일(2)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설치한 것과동일한 크기 및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레일(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급기필터(100)를 구성할시에는 레일(2)의 간격과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절단된 본래의 메쉬(1)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대해 절반이 되도록 절단하므로써 두개의 메쉬 즉, 제 1 및 제 2 메쉬(11,12)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기존의 메쉬(1)를 절반으로 절단시킨 상기 제 1 및 제 2 메쉬(11,12)의 둘레에는 철판을 "ㄷ"자로 절곡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ㅁ "자를 갖는 테두리(131,132)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테두리(131,132) 중 상기 레일(2)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위(즉, 좌,우측 또는 상,하측)의 외측에는 제 2도와 같이 소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엔보싱돌기(13A)를 형성시켜 준다.
물론, 상기 엠보싱돌기(13A)의 높이는 테두리(131,132)의 전체두께에 상기 엠보싱돌기(13A)의 높이를 더한 값이 레일(2)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급기필터(100)를 공기조화기(200) 본체와 레일(2) 사이에 끼웠을시 테두리(131,132)의 좌,우측 또는 상,하부에 형성된 엠보싱돌기(13A)들이 상기 레일(2)의 내면에 맞닿고 엠보싱돌기(13A)의 반대면은 본체와 면접촉 되므로 공기조화기의 본체와 급기필터(100)의 테두리(131,132) 사이에서 전혀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이를 통한 먼지등의 유입을 완벽히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메쉬(11,12)의 테두리(131,132) 중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는 수개의 힌지(14)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므로써, 두 메쉬(11,12)를 상호 접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200)를 설치한 후 그 상방 또는 일측방의 공간이 적어도 즉, 상기 급기필터(100)를 빼야할 공간이 비교적 적어도 급기필터를 착탈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급기필터(100)를 착달시킬시에는 그 중간부가 힌지(14)를 중심으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꺽이게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급기필터(100)를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 1 및 제 2 메쉬(11,12)를 전당시키는 방향은 공기조화기(200) 본체에 설치되는 레일(2)의 방향에 의해 결정되는데, 제 1 도 내지 제 4 도와 같이 레일(2)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는 상기 메쉬(1)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 및 제 2 메쉬(11,12)로 형성하고, 이들 메쉬(11,12)들을 감쌓고 있는 테두리(131,132)의 접촉부에는 힌지(14)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고, 제 5 도와 같이 레일(2)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는 상기 매쉬(1)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 및 제 2 메쉬(11,12)로 형성하고, 이들 메쉬(11,12)들을 감쌓고 있는 테두리(131,132)의 접촉부에는 힌지(14)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물론, 상기 급기필터(100)는 일 실시예의 경우 상부로 잡아당기거나 하부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착찰시키면 되고,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급기필터(100)를 좌,우측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는 방식을 통해 착탈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제 1 메쉬(11)의 테두리(131) 중 상부 또는 일측부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손잡이부(15)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기필터(100)를 착탈시킬시 이 손잡이부(15)를 잡고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면 되므로 메쉬에 손가락이 전혀 닿지 않게 되어 먼지를 직접 만짐으로 인한 보건위상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로 급기필터를 착탈시킬시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대한 중심선상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절첩시킬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고, 둘째로 급기필터의 테두리상에는 수개의 틈새발생 방지용 엠보싱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터와 본체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먼지등의 유입을 완벽히 방지시킬 수 있고, 세째로 급기필터의 상단부 또는 일측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기필터의 착탈시 메쉬에 손가락이 전혀 닿지 않게 되어 먼지를 직접 만짐으로 인한 보건위상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 중 A부의 일부 절취 확대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일부 확대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제 6도는 종래의 급기필터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측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11, 12 : 메쉬 2 : 레일
13, 131, 132 : 테두리 13A : 엠보싱돌기
14 : 힌지 15 : 손잡이부
100 : 급기필터 200 : 공기조화기

Claims (1)

  1. 소정면적의 직사각형 메쉬(1) 주위에 테두리(13)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메쉬(1)를 소정방향에 대해 절반으로 절단하여 제 1 및 제 2 메쉬(11,12)로 형성하되, 각각의 메쉬(11,12) 둘레에는 철판을 "ㄷ"자로 절곡하여서 된 테두리(131,13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쉬(11,12)의 테두리(131,132) 중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는 수개의 힌지(14)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구성을 갖고 공기조화기(200) 본체의 후면 등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한쌍의 "ㄱ"형 레일(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용 급기필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쉬(11,12)의 테두리(131,132) 중 상기 레일(2)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엠보싱돌기(13A)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급기필터.
KR2019960036728U 1996-10-31 1996-10-31 공기조화기의급기필터 KR200272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728U KR200272229Y1 (ko) 1996-10-31 1996-10-31 공기조화기의급기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728U KR200272229Y1 (ko) 1996-10-31 1996-10-31 공기조화기의급기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340U KR19980023340U (ko) 1998-07-25
KR200272229Y1 true KR200272229Y1 (ko) 2002-09-13

Family

ID=5398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728U KR200272229Y1 (ko) 1996-10-31 1996-10-31 공기조화기의급기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2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48B1 (ko) * 2002-08-1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340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0660A (en) Protective cover for a heat register
US7811346B1 (en) Filter housing
KR200272229Y1 (ko) 공기조화기의급기필터
US20040074214A1 (en) Filter housing
JP4216389B2 (ja) 表皮材付きパネル
JP2502703Y2 (ja) レンジフ―ド用フィルタ
JP3488519B2 (ja) 換気扇フードへのフィルター材の装着方法および換気扇用フィルター装置
CN210320539U (zh) 一种出风口的防护组件及空调器
JPS6027327Y2 (ja) 製氷機のグリル構造
CN216481297U (zh) 一种挂壁式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JPH0244819Y2 (ko)
JPH01164413A (ja) 換気扇のフィルター取付装置
JP3613607B2 (ja) 空気清浄器
JPH08152167A (ja) 換気扇用フィルタ−
JPS6227778Y2 (ko)
JPH0894135A (ja) 換気扇用フィルタ−カバ−
JPH0513375Y2 (ko)
JP2529194Y2 (ja) 温風暖房機のフィルタ構造
JPH0543507Y2 (ko)
JPH076697B2 (ja) 温風暖房機
JPH023067Y2 (ko)
JPH1119440A (ja) グリスフィルタ−構造及びその取付構造
JPH0131875Y2 (ko)
JPH04340028A (ja) 電気採暖具のコントローラ
JPH0243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