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667Y1 - 모피원단소재 - Google Patents

모피원단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667Y1
KR200270667Y1 KR20010040162U KR20010040162U KR200270667Y1 KR 200270667 Y1 KR200270667 Y1 KR 200270667Y1 KR 20010040162 U KR20010040162 U KR 20010040162U KR 20010040162 U KR20010040162 U KR 20010040162U KR 200270667 Y1 KR200270667 Y1 KR 200270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ur
mesh
unit
stri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40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삼양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양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양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40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10Cutting furs; Making fur plate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앞, 뒤면의 모피털이 동일하게 풍성한 모피원단이 개시된다. 그러한 모피원단은 기준사 및 상기 기준사들의 인접위치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사 및 제2 사와, 상기 기준사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1 사 및 제2 사에 순차적으로 엮임으로써, 상기 기준사와 제1 사 및 제2 사의 사이에 다수의 공간영역과 일정 폭 및 면적을 갖는 유닛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결속사와, 그리고 상기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통과함으로써 일정 면적만큼 노출되고, 연속하여 상기 공간영역을 수평 사선방향으로 가로질러 진행함으로써 공간영역을 밀폐하여 일정면적만큼 노출되고, 다시 다른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통과하는 스트립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피원단소재{MATERIAL OF FUR YARN}
본 고안은 모피원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피원단소재의 구조를개선함으로써, 이 모피원단소재에 스트립 부재를 엮는 경우, 모피원단소재의 앞, 뒷면에 노출되는 스트립 부재의 노출면적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앞, 뒷면의 모피털이 동시에 풍성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모피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피는 보온성이 좋고 외관이 미려하여, 고급의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피 의류는 주로 여우, 밍크, 비버 등으로부터 얻으며, 가죽과 가죽을 횡으로 재봉하여 서로 연결한 것을 소재로 사용하여 제조한다.
모피 원단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한 소량 생산 방식으로써, 모피 의류를 제조할 때 모피 소요량이 많고 생산 효율이 낮아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제조단가를 낮추면서 중량이 적은 가벼운 모피 의류를 만들기 위하여 원피를 가늘고 길게 절취하여 모피 끈을 만들고 이 모피 끈을 망사 등의 모피원단소재에 직조함으로써 모피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이러한 모피원단 직조방법에 의하여 직조되는 종래의 모피원단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피원단(1)은 제1사(2)와 제2사(3) 및 기준사(8)가 서로 엮임으로써 이루어지는 모피원단소재(이하,망사;4)와, 상기 망사(4)에 결속되며 털이 풍성한 결속사(6)와, 상기 망사(4) 및 결속사(6)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함으로써 모피층을 형성하는 스트립 부재(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모피원단(1)은 스트립 부재(5)를 엮는 경우, 스트립 부재(5)가 망사(4)와 결속사(6)의 틈새를 통과하게 됨으로, 이 과정에서 스트립 부재(5)에 부착된 모피털(7)이 망사(4)와 털이 풍성한 결속사(6)의 비좁은 틈새에걸리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 부재(5)가 망사(4)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하여 엮이는 경우, 모피가 망사(4)의 틈새에 걸려서 하부로 통과하지 못하고 상부방향에 다량 노출되고, 하부방향에는 모피가 소량만 노출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 부재(5)가 망사를 통과하는 경우 제1 사와 제2 사가 이루는 구석부에 일정면적을 갖는 스트립 부재(5)가 소정의 장력으로 접촉하게 됨으로 스트립 부재(5)가 접혀짐으로서 모피털이 완전히 노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모피원단(1)의 앞면에는 다수의 모피털부(9a,9b)가 약간의 간격(D1)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반면, 모피원단(1)의 뒷면에는 모피털부(9c,9d)의 사이에 간격(D2)이 넓게 형성됨으로 모피털(15)이 풍부하게 노출되지 못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피원단의 앞, 뒷면에 모피털이 동일하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은 모피원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피원단소재에 의하여 직조된 모피의 앞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피의 뒷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피의 "A-A 선"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피원단소재에 의하여 직조된 모피의 앞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피의 뒷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8에 도시된 모피의 "B-B 선"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모피원단소재에 스트립 부재가 직조되는 것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스트립 부재에 부착된 털은 생략함)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모피원단소재에 스트립 부재가 직조된 것을 도시하는 상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준사 및 상기 기준사들의 인접위치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사 및 제2 사와; 상기 기준사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1 사 및 제2 사에 순차적으로 엮임으로써, 상기 기준사와 제1 사 및 제2 사의 사이에 다수의 공간영역과 일정 폭및 면적을 갖는 유닛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결속사와; 그리고 상기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통과함으로써 일정 면적만큼 노출되고, 연속하여 상기 공간영역을 수평 사선방향으로 가로질러 진행함으로써 공간영역을 밀폐하여 일정면적만큼 노출되고, 다시 다른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통과하는 스트립 부재를 포함하는 모피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은 결속사가 기준사를 중심으로 제1 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1 사에 감겨진 후, 다시 기준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에 감겨지고, 다시 제1 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1 사에 감겨지고, 다시 기준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에 감겨짐으로써 하나의 유닛이 직조되고, 연속하여 상기 기준사에 감겨진 결속사가 제2 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2 사에 감겨진 후, 다시 기준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에 감겨지고, 다시 제2 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2 사에 감겨지고, 다시 기준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에 감겨짐으로써 다른 유닛이 직조되고, 상기 직조공정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 부재는 상기 망사의 공간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망사의 하부면으로 돌출된 후, 상기 유닛을 폭방향으로 통과하여, 다른 공간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망사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후, 또 다른 공간영역을 수평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여 공간영역을 밀폐시키고, 또 다른 공간영역을 통하여 망사의 하부로 돌출됨으로서 직조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피원단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모피원단(10)은 모피원단소재(이하,망사;12)와, 상기 망사(12)에 엮여짐으로써 모피층을 형성하는 스트립 부재(1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모피원단(10)에 있어서, 상기 망사(12)는 다수의 공간영역(16;도7)이 형성된 구조를 갖으며, 상기 스트립 부재(14)가 상기 공간영역 (16;도7)을 통과함으로써 모피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망사(12)의 공간영역 (16;도7)이 비교적 넓게 형성됨으로써 모피털(15)이 눈에 걸리지 않고, 또한 상기 스트립 부재(14)가 망사(12)의 폭부분(W;도7)을 통과하여 엮임으로써 모피털(15)이 외부에 충분히 노출된다. 따라서, 모피원단(10)의 앞면 및 뒷면에는 모피털(15)이 동일하게 노출됨으로써 모피층이 풍성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망사(12)의 구조를 도 7 및 도 8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12)는 기준사(18)와, 상기 기준사(18)의 앞뒤에 배치되는 제1 사(20) 및 제2 사(22), 그리고, 제1 사(20) 및 제2 사(22)를 서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엮는 결속사(24)를 포함한다.
상기한 망사(12)에 있어서, 상기 결속사(24)는 제1 사(20), 기준사(18), 그리고 제2 사(22)에 순차적으로 감겨진다. 즉, 상기 결속사(24)는 기준사(18)를 중심으로 제1 사(20)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1 사(20)에 감겨진 후, 기준사(18)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기준사(18)에서 감겨진 후, 다시 제1 사(20)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1 사(20)에 감겨지고, 다시 기준사(18)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18)에 감겨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직조방법에 의하여 제1 사(20)와 기준사(18)의 사이에는 결속사(24)에 의하여 "W"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면적(S)을 갖는 유닛(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유닛(26)은 결속사(24)가 기준사(18)와 제1 사(20)의 사이를 2회 이상 왕복함으로써 소정 폭(W)이 형성되는 면적(S)을 갖는다. 따라서, 스트립 부재(14)가 망사(12)에 엮이는 경우, 상기 유닛(26)을 폭방향으로 감싸도록 통과하고, 이때 스트립 부재(14)가 유닛(26)의 면적(S)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스트립 부재(14)의 털이 보다 풍성하게 보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닛(26)이 직조된 후, 기준사(18)에 감겨진 결속사(24)를 제2 사(22)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2 사(22)에 감는다. 제2 사(22)에 감은 후, 상기 결속사(24)를 다시 기준사(18)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18)에 감고, 다시 제2 사(22)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2 사(22)에 감게된다. 그리고, 다시 기준사(18) 방향으로 진행하여 결속사(24)를 기준사(18)에 감는다. 따라서, 소정 폭(W) 및 면적(S)을 갖는 또 하나의 다른 유닛(28)이 직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속사(24)를 기준사(18)를 중심으로 제1 사(20) 및 제2 사(22)에 순차적으로 감음으로서 다수개의 유닛(26,28,36)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직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사(18)와 제1 사(20)의 사이, 혹은 기준사(18)와 제2 사(22)의 사이에는 상기 유닛(26,28,36)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영역(16,16a,16b)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조된 망사(12)에 도7 및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부재(14)를 엮어서 모피원단(10)을 직조하게 된다.
상기 스트립 부재(14)는 대략 짐승의 가죽을 펼쳐 놓은 원피로부터 긴 스트립(Strip)형태로 절취한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 부재(14)는 그 일측면에 모피털 (15)이 상부로 뻗어 있게 된다.
이러한 스트립 부재(14)를 상기 망사(12)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망사(12)의 전면에 일체로 엮어서 모피원단(10)을 직조하게 된다.
먼저, 상기 스트립 부재(14)는 망사(12)의 상부로부터 한 공간영역(16)을 통과하여 하부로 진행한 후, 첫째 유닛(26)의 후면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통과한 후 맞은편 공간영역(16a)을 통하여 다시 망사(12)의 상부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첫째 유닛(26)은 소정 폭(W)과 면적(S)을 갖음으로 이 유닛(26)을 감싸도록 통과하는 스트립 부재(14) 또한 유닛(26)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소정 면적만큼 망사(12)의 후면에 노출된다. 따라서, 모피털(15)이 외부로 보다 넓게 노출됨으로써 풍성하게 보인다.
상기 과정에서 망사(12)의 상부방향으로 진행한 스트립 부재(14)는 다른 공간영역(16b)의 전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진행한 후, 다시 다른 공간영역을 통하여 망사(12)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 부재(14)는 다른 공간영역 (16b)을 수평방향으로 통과하게 됨으로 공간영역(16b)을 거의 밀폐시킨다. 따라서, 상기 공간영역(16b)의 면적(S) 만큼 상기 스트립 부재(14)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털이 보다 풍성하게 보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공간영역(16b)을 통과한 스트립 부재(14)는 또 다른 공간영역을 통하여 망사(12)의 후면으로 진행한 후, 다른 유닛(36)을 좌측에서 후측으로 감싸듯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첫째 유닛(26)의 경우와 같이 스트립 부재(14)가 다른 유닛(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일정 면적(S)만큼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보다 풍성하게 보인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스트립 부재(14)를 다수의 유닛(26,28,36)과 공간영역(16,16a,16b)의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모피원단(10)을 직조하게 된다.
직조된 모피원단(10)은 도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앞면은 다수의 모피털부(30,31)가 약간의 간격(D3)을 유지한 상태로 형성되고, 그 뒷면 또한 다수의 모피털부(32,33)가 약간의 간격(D4)을 유지한 상태로 형성된다. 즉, 스트립 부재(14)가 망사(12)에 소정 크기로 형성된 공간영역(16,16a,16b)을 통과하는 경우 모피털(15)이 공간영역(16,16a,16b)에 걸리지 않음으로써 모피털(15)이 그대로 하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모피털(15)이 망사(1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일한 분량으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간격(D3,D4)은 모피털(15)에 의하여 가려짐으로 외부에 노출되지는 않고 다만 모피털부(30,31,32,33)의 경계를 인식하게 한다.
그리고, 망사(12)에 형성된 다수의 유닛(26,28,36)이 소정 폭(W)과 면적(S)을 갖음으로써, 스트립 부재(14)가 망사(12)에 엮이는 경우, 이 다수의 유닛 (26,28,36)을 감싸도록 통과하게 됨으로 스트립 부재(14)가 다수의 유닛(26,28,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유닛(26,28,36)의 면적(S)만큼 노출된다. 따라서, 노출되는 스트립 부재(14)의 면적(S)이 넓어지게 됨으로 모피털(15)이 풍성하게 보인다.
또한, 상기 스트립 부재(14)가 공간영역들을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간영역(16,16a,16b)을 거의 밀폐시킴으로써 공간영역(16,16a,16b)의면적(S)만큼 지지되어 노출된다. 따라서, 모피털이 풍성하게 보인다.
한편, 상기 스트립 부재(14)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유닛(26,28,36)과 공간영역(16,16a,16b)을 연속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직조할 수도 있고, 또한 한 칸씩 건너띄어 통과시킬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방법으로도 직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스트립 부재(14)가 진행하는 방향도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도 있고, 대각선 방향 등으로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망사(12)에 스트립 부재(14)를 관통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모피털(15)이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는 모피원단(10)을 직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피원단은 망사에 소정 크기의 공간영역이 형성되도록 직조하고, 스트립 부재가 이 공간영역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모피털이 공간영역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망사의 뒷면에 노출됨으로써 망사의 앞면과 뒷면에 동일한 분량의 모피털이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망사의 직조시, 소정 면적과 폭을 갖는 다수의 유닛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립 부재가 망사를 통과하는 경우, 이러한 유닛을 감싸도록 통과함으로써, 유닛의 면적 및 폭만큼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모피털이 풍성하게 보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 부재가 다수의 공간영역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동안, 공간영역의 면적만큼 지지되어 노출됨으로 외관상 모피털이 보다 풍성하게 보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3)

  1. 기준사 및 상기 기준사들의 인접위치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사 및 제2 사와;
    상기 기준사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1 사 및 제2 사에 순차적으로 엮임으로써, 상기 기준사와 제1 사 및 제2 사의 사이에 다수의 공간영역과 일정 폭 및 면적을 갖는 유닛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결속사와; 그리고
    상기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통과함으로써 일정 면적만큼 노출되고, 연속하여 상기 공간영역을 수평 사선방향으로 가로질러 진행함으로써 공간영역을 밀폐하여 일정면적만큼 노출되고, 다시 다른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통과하는 스트립 부재를 포함하는 모피원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은 결속사가 기준사를 중심으로 제1 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1 사에 감겨진 후, 다시 기준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에 감겨지고, 다시 제1 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1 사에 감겨지고, 다시 기준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에 감겨짐으로써 하나의 유닛이 직조되고, 연속하여 상기 기준사에 감겨진 결속사가 제2 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2 사에 감겨진 후, 다시 기준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에 감겨지고, 다시 제2 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2 사에 감겨지고, 다시 기준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준사에 감겨짐으로써 다른 유닛이 직조되고, 상기 직조공정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되는 모피원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부재는 상기 망사의 공간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망사의 하부면으로 돌출된 후, 상기 유닛을 폭방향으로 통과하여, 다른 공간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망사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후, 또 다른 공간영역을 수평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여 공간영역을 밀폐시키고, 또 다른 공간영역을 통하여 망사의 하부로 돌출됨으로서 직조되는 모피원단.
KR20010040162U 2001-12-26 2001-12-26 모피원단소재 KR200270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0162U KR200270667Y1 (ko) 2001-12-26 2001-12-26 모피원단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0162U KR200270667Y1 (ko) 2001-12-26 2001-12-26 모피원단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667Y1 true KR200270667Y1 (ko) 2002-04-03

Family

ID=4150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40162U KR200270667Y1 (ko) 2001-12-26 2001-12-26 모피원단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6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450A (ko) * 2002-01-28 2003-08-02 홍기철 모피 원단
WO2006006763A1 (en) * 2004-07-08 2006-01-19 Jae-Kyun Lee Fur and fur lace made of artificial or natural fur and the product method thereof
KR101154045B1 (ko) * 2010-02-04 2012-06-07 삼양모피 주식회사 모피니트원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450A (ko) * 2002-01-28 2003-08-02 홍기철 모피 원단
WO2006006763A1 (en) * 2004-07-08 2006-01-19 Jae-Kyun Lee Fur and fur lace made of artificial or natural fur and the product method thereof
KR101154045B1 (ko) * 2010-02-04 2012-06-07 삼양모피 주식회사 모피니트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689B2 (ja) 織機上の不可視のバーコードを備えたラベル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形式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ラベル
JP5939782B2 (ja) 凹凸模様装飾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11684B1 (ko) 가발용웨빙의웨프트형성장치
WO2018157548A1 (zh) 一种用作内衣肩带的透气渔网带及其编织方法
KR200270667Y1 (ko) 모피원단소재
JP4486124B2 (ja) 天然毛皮製の毛皮及び毛皮レース、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291731B1 (ko)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254201Y1 (ko) 모피니트원단
KR101171376B1 (ko) 모피실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모피실과 이 모피실을 이용한 편물
KR200242718Y1 (ko) 모피원단
JP2004068196A (ja) 部分かつら
KR20020069569A (ko) 모피니트의류 및 그 직조방법
JPS60181343A (ja) 高級感効果のある毛皮様布帛
JPH0649755A (ja) バイアステープ
KR200375173Y1 (ko) 인조 또는 천연모피로 이루어진 모피 레이스와 모피 제품
KR20040020620A (ko) 모피 니트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3022836U (ja) 細切り毛皮による毛皮生地
KR102307143B1 (ko) 멀티 단 분할을 이용한 헤어라인 슬림핏 가발
KR200496513Y1 (ko) 모자 겸용 손수건
KR960003558B1 (ko) 직물의 초음파 컷팅 봉합물로 된 레이스상 악세서리 소품
JP3177774U (ja) スカーフ
JPS624237Y2 (ko)
CN213370311U (zh) 一种新型飞织鞋面
KR200268766Y1 (ko) 포장용 망사 직물
CN1146339C (zh) 组合式被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