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884Y1 - 주화 카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주화 카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884Y1
KR200269884Y1 KR2020010005793U KR20010005793U KR200269884Y1 KR 200269884 Y1 KR200269884 Y1 KR 200269884Y1 KR 2020010005793 U KR2020010005793 U KR 2020010005793U KR 20010005793 U KR20010005793 U KR 20010005793U KR 200269884 Y1 KR200269884 Y1 KR 200269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s
turntable
positioning element
counting device
coin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남 첸
Original Assignee
치-남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남 첸 filed Critical 치-남 첸
Priority to KR2020010005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884Y1/ko

Links

Landscapes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게임에 사용되는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들을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동 요소는 간단히 조립될 수 있는 전기 모터의 스핀들 상에 설치된 구동 블럭과 턴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턴테이블은 깔때기 모양의 장치인 호퍼(hopper)의 가로대(a ledge of a hopper) 한계 내에서 작동되므로 나사 홈 연결(threading connections)은 생략될 수 있으며 작동 중에 호퍼로부터 턴테이블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에서는 홀더(holder)상에 멈춤 손잡이(stop lever)가 있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턴테이블로 다시 되돌아가는 수송 통로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준다. 턴테이블은 복수 개의 플랜지로 설계되어 그러한 플랜지들은 턴테이블 표면으로부터 통합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는 설치된 사이사이에 복수 개의 채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홀더 블럭의 지침(指針)(finger) 부위(fingers of a block of the holder)는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매끄럽게 수송하기 위하여 채널에 이르기까지 확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화 카운팅 장치{APPARATUS FOR COUNTING COINS}
본 발명은 주화(鑄貨) 또는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 등을 위해 나르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셈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동되는 요소가 구동 블럭과 전기 모터의 스핀들(spindle) 상에 설치된 턴테이블(turntable)로 구성되어 간단히 조립할 수 있고 상기 턴테이블이 호퍼의 가로대(a ledge of a hopper) 한계 내에서 작동되어 제조 중에 나사 홈 연결을 생략할 수 있고 회전 중에 턴테이블이 호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어 있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는 대개 도박장에서 행하는 게임에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대만에서 공시된특허(번호 267595)를 살펴보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의 수량을 파악하기 위해 셈하는 기존의 장치에는 턴테이블이 있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나르기 위해 전기 모터가 연결되어 있고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포함하는 호퍼가 함께 구비되어 있다. 턴테이블은 자체 표면 위에 복수 개의 오목히 들어간 부위(recess)를 가지고 있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 복수 개의 맞물림용 그리퍼 장치(gripper)가 각각 턴테이블 주변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어 테이블의 반경 방향을 따라 턴테이블의 표면 밑에서 상하 좌우로 경사지게 움직이게 된다. 각 그리퍼는 인접하여 위치한 오목히 들어간 부위들 사이에 놓여있다. 호퍼와 홀더 사이에, 개구부가 있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다. 한 쌍의 자키 풀리(jockey pulley)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어 있어 자키 풀리와 연결된 한 쌍의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턴테이블로부터 호퍼로 안내하게 된다.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이러한 종류의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는 수많은 요소들을 필요로 하므로 조립 작업이 골칫거리이다. 게다가, 토큰을 나르는 작업이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요소들의 작동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짐으로써 장치안의 어디에선가 동전이 걸리거나 막힐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언급된 것과 같은 문제점들을 완화시켜 제거하고자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장치의 구동 요소는 구동 블럭과 전기 모터의 스핀들 상에 설치된 턴테이블로 구성되어 쉽게 조립될 수 있고 턴테이블이 호퍼의 가로대 한계 내에서 작동되므로 제조 과정 중에 나사 홈 연결 등은 생략될 수 있어 회전 중에 턴테이블을 호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장치에는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후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장치의 홀더 상에 설치된 멈춤 손잡이(stop lever)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 상에 경사지게 설치된 홀더, 그리고 상기 홀더에는 하우징의 상단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지침(指針)(finger)이 포함된다. 턴테이블은 홀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턴테이블은 구동 블럭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그 중앙에 슬롯을 정해준다. 각각 복수 개의 볼 레이스(ball race)를 포함하기 위하여 슬롯 주위에 복수 개의 덕트들이 환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덕트 주변에 복수 개의 오목한 부위가 환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턴테이블에는 복수 개의 플랜지가 포함되어 있어 각각 인접해 있는 오목한 부위 사이의 표면으로부터 통합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침(指針)(finger) 들은 인접해 있는 오목한 부위 사이의 표면 바깥쪽으로 반경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홀더의 플랜지가 그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서 복수 개의 채널을 구성하게 된다. 위치선정 요소(locating member)가 홀더 위에 설치되어 있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그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며 턴테이블과 통신할 수 있게 해 주는 제 1 통로(a first passage)를 정해준다. 안내를 위한 요소(guide member)가 위치선정 요소 위에 설치되어 있어 제 1 통로와 통신하며 제 2 통로를 정해 준다.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포함하고 있기 위한 호퍼가 턴테이블 상의 홀더에 설치되어 있고, 그 호퍼는 턴테이블과 연동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의 것보다 다소 더 큰 직경을 갖는 중앙 구멍(central hole)을 정해준다. 호퍼 중앙 구멍의 주변부에는 주변부 상단으로부터 통합되어 연장되어 있는 가로대가 포함되어 턴테이블을 유지시켜준다. 전기 모터가 하우징 뒤에 설치되어 턴테이블이 회전하도록 하는데, 이때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는 턴테이블로부터 호퍼로 하나씩 차례로 수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위치선정 요소는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익은 덮개판과 운반판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위치하며, 그 사이에 제 1 통로를 정해주기 위해 상기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은 서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장치는 추가로 멈춤 손잡이(stop lever)로 구성되며 그 멈춤 손잡이(stop lever)에는 제 1 끝단과 제 2 끝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 1 끝단은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선정 요소 위에 피봇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끝단은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후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위치선정 요소의 입구에서 막고 있는 유연성 있는 부위(flexible portion)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 관점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익과 상기 위치선정 요소의 덮개 판은 통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 장점 및 최신 특징들은 아래 도면들과 연계시켜 살펴보면 다음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 및 셈하고 분배하기 위하여 개량된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 및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의 턴테이블 바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 및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를 결합시킨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 및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제 1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 및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제 2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10 하우징
11 홀더
14 턴테이블
20 위치선정 요소
30 안내 요소
15 호퍼
12 전기 모터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하고, 셈하여 분배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가 제시되어 있다. 이 장치(1)는 하우징(10)과 홀더(11)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홀더(1)는 경사지게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다. 홀더(11)는 열 소산(heat dissipation)을 위하여 그 표면에 복수 개의 틈새(112)(aperture)를 정하며 블럭(16)의 지침(指針)(finger) (161)이 삽입되어 있는 부위로부터 홀더의 상단 부에 복수 개의 구멍(111)(hole)을 정해준다. 홀더(11)는 추가로 복수 개의 위치선정 구멍(113)을 자체 표면의 적당한 위치에서 정하고 있으며, 그 표면에 의하여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받아들이기 위한 호퍼(15)가 홀더(11)상에 설치된다. 홀더(11)의 중앙을 통하여연장되어 있는 스핀들(121)과 함께 전기 모터(12)가 홀더(11)뒤에 설치되어 있다.
곡면 처리된 한 쌍의 측면(a pair of curved sides)을 갖는 긴 줄기(long stem)와 같은 형상의 구동 블럭(13)이 홀더(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블럭(13)은 중앙에 구멍(131)을 정해주고 있는데, 그 구멍은 전기 모터의 스핀들(121)을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 전기 모터(12)의 스핀들(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턴테이블(14)이 홀더(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14)의 표면은 그 중심에 돌출부(141)(boss)가 구성되어 있다. 그 돌출부(141)는 스핀들(121)을 위한 구멍(144)을 정하고 있어 그곳을 통해 더 확장되어 있다. 턴테이블(14)의 하단표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되어 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14)은 구동 블럭(13)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그 중앙에 슬롯(143)을 정하고 있으며, 복수 개의 볼 레이스(ball races)들을 개별적으로 포함하기 위하여 슬롯(143) 주위에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덕트(146)들을 정해주고 있으며, 상기 덕트에서 볼 레이스들이 롤러 또는 볼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덕트 주위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오목한 부위(142)(recess)도 정해주고 있다. 턴테이블(14)은 추가로 복수 개의 플랜지(145)를 가지고 있으며, 그 플랜지들은 표면으로부터 각각 인접해있는 오목한 부위(142) 사이에 통합되어 상방을 향하여 확장되어 있다. 그 플랜지들(145)은 인접해 있는 오목한 부위(142) 사이에서 플랜지 표면의 바깥쪽으로 반경 방향 위치에 공간이 떨어져 있게 위치하며 배열되어 있어 그들 사이에서 복수 개의채널(147)을 구성하며 그 채널을 통하여 홀더(11)의 블럭(16)에 있는 지침(指針)(finger) (161)들이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호퍼(15)는 그 최상단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턴테이블(14) 위에서 맞추기 위하여(for fitting) 그 바닥 부위에 턴테이블(14)의 것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중앙 구멍(151)을 정해주고 있다.
151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주변부(151)는 가로대(152)가 있고 그 가로대는 상기 주변부의 상단부위로부터 통합되어 연장되어 있어 턴테이블(14)의 주변부를 유지시켜주고 있다. 추가로 호퍼는 상단부에서 그곳을 가로지르고 있는 이동 가능한 격벽 판(153)(baffle plate)과 개별적으로 구멍을 정해주며 그 바닥으로부터 통합되어 확장되어 있어 바로 이 돌기부에 의해 호퍼(15)가 홀더(11)로 설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돌기부(154)(lug)들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선정 요소(20)(locating member)가 홀더(11) 위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선정 요소(20)에는 덮개판(21)과 제 1 운반판(24) 사이에 제 1 안내익(22)과 제 2 안내익(23)이 샌드위치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제 1 안내익(22)과 제 2 안내익(23)은 각각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의 것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그 내부에 복수 개의 틈새(번호가 매겨져 있지는 않음)를 정해주고 있다. 제 1 안내익(22)과 제 2 안내익(23)은 동일평면상에 있으며(coplanar)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한다. 또한, 제 1 안내익(22) 및 제 2 안내익(23)은 각각 그 반대편에 반원형 아치(221, 231)를 정해주고 있어 그 사이에 제 1 통로(25)(도 3 및 도 4 참조)가 정해진다. 이때, 제 1 안내익(22) 및 제 2 안내익(23)이 단일품(singleintegral unit)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안내 요소(30)(guide member)가 위치선정 요소(20) 위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 요소(30)는 제 1 평삭반(31), 제 2 평삭반(32),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평삭반(31과 32)들을 보조하는 제 2 운반판(33)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평삭반(31)과 제 2 평삭반(32)은 각각 복수 개의 틈새(313)를 정해주며 위치선정 요소(20)와 연동되기 위하여 그 하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있는 돌출부(311, 32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 평삭반(31)과 제 2 평삭반(32)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반대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312, 322)를 각각 가지고 있는데, 상기 플랜지는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의 두께보다 다소 두꺼운 폭을 갖는다. 제 1 평삭반과 제 2 평삭반(31, 32)들은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으며 위치선정 요소(20)의 제 1 통로(25)와 통신하며(도 3 및 도 4 참조) 제 2 통로(35)를 정해주고 있다. 제 2 운반판(33)은 평삭반(31, 32)들 상의 틈새(313, 323)에 관하여 복수 개의 틈새(332)를 정해주고 있으며, 내부에 구멍이 뚫려 있는 하단부로부터 통합되어 연장되어 있는 세트 조각(331)(set piece)을 가지고 있다.
추가로 도 4를 살펴보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통로(25, 35)들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더(11) 상에 멈춤 손잡이(stop lever)(17)가 제공되어 있다. 멈춤 손잡이(stop lever)(17)는 적절한 위치에서 홀더(11) 상에 피봇으로 설치되어 갈고리(hook) 모양을 하고 있는 첫번째 끝단과, 제 1 통로(25)의 입구에서 막고 있는 유연한 부위(flexible portion)를 갖는 두번째 끝단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셈하기 위한 장치를 결합한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조립 시, 간격 띄우개 장치(122)(spacer)(도 2 참조)가 홀더(11)를 통해 삽입된 스핀들(121)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구동 블럭(13)이 홀더(11)에 설치되고 스핀들(121)로 조여진다. 그 다음, 복수 개의 볼 레이스들이 턴테이블(14)의 바닥에 있는 덕트(146) 내부에 배치되고 턴테이블(14)의 슬롯(143)이 구동 블럭(13) 상에 고정되어 스핀들(121)과 연동되는데, 이때 턴테이블(14)은 전기 모터(12)의 스핀들(121)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멈춤 손잡이(stop lever)(17)의 갈고리 부위가 나사(screw)에 의하여 홀더(11) 상으로 체결된다. 덮개 판(21)과 제 1 운반판(24) 사이에 제 1 안내익(22)과 제 2 안내익(23)이 샌드위치처럼 위치하여 위치선정 요소(20)를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멈춤 손잡이(stop lever)(17)의 두번째 끝단은 제 1 안내익(22)과 제 2 안내익(23)에 의하여 정해진 제 2 통로(25)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위치선정 요소(20)는 덮개판(21)과 운반판(24)의 돌출부(241)를 상기 부위(14)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설치함으로써 홀더(10) 상의 부위(114)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면, 제 1 평삭반(31)과 제 2 평삭반(32)이 그 들 사이에 제 2 통로(35)를 정해줄 수 있는 방식으로 제 2 운반판(33)에 각각 설치된다. 제 1 카운터(34)가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셈하기 위하여 제 2 통로(35)의 출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제 1 평삭반과 제 2 평삭반(31, 32)의 플랜지(311, 321)들이 덮개판(21)과 위치선정 요소(20)의 제 1 운반판(24)에 의해정해지는 공간 사이에 각각 삽입된 후 설치되므로 안내 요소(30)의 제 2 통로는 위치선정 요소(20)의 제 1 통로와 통신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호퍼(15)는 턴테이블(14) 상에 고정된 중앙 구멍(151)을 가지고 있으며 홀더(11)의 틈새(113)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는데, 돌기(154)(lug)의 구멍과 함께 개별적으로 정렬됨으로써 나사가 관통하여 확장될 수 있다. 호퍼(15)의 가로대(152)는 턴테이블(14)의 주변부를 정확히 유지하고 있으므로 호퍼(15)로부터 분리되지 않고도 턴테이블(14)이 가로대(152)의 한계 내에서 작동될 수 있다. 추가로, 돌출판(153)(baffle plate)이 턴테이블(14)의 돌출부(141)(boss) 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스핀들(121)을 직접 압박하는 것은 방지되며 이로 인해 전기 모터(12)상에 작용되는 부하가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홀더(11)의 측면으로부터 전달하기 위하여 제 2 카운터(18)와 제 2 안내 요소(도시 안됨)가 홀더(11) 상의 부위(114)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살펴보면, 동전의 수량을 셈을 하기 위한 장치(1)에 전원이 들어와 작동될 때에, 전기 모터(12)에 의하여 턴테이블(11)이 회전하기 시작하고 회전 중에 턴테이블(14)의 표면상으로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이 하나씩 차례로 오목하 곳(142) 내에 정렬된다. 회전 중에 플랜지(145)들 사이에서 블럭(16)이 이동하기 때문에,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이 직진 방향으로 멈춤 손잡이(stop lever)(17)를 통하여 위치선정 요소(20)의 제 1 통로(25) 안으로 차례대로 안내된다. 턴테이블(14)이 지속적으로 회전하여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나르기 때문에, 이전의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은 제 1 및 제 2 통로(25, 35) 안으로 밀려지게 될 것이다. 셈 장치(1)가 작동을 멈출 때, 일부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이 통로(25)와 통로(35) 내에 남아 있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멈춤 손잡이(stop lever)(17)에 의해 이러한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이 턴테이블(14)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러나, 주지해야할 사실은 발명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지금까지의 기술 사항 내에서 본 발명에 관한 수많은 특성들과 장점들이 공시되어 있으나, 공개된 내용들은 설명을 위해 열거하였을 뿐, 기술된 사항들은 아래 청구항들이 기술하고 있는 광의의 일반적 의미에 의해 지적되고 있는 전체 범위로까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그 형상, 크기 및 배치와 같은 것들을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는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기존의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서 수많은 요소들을 필요로 하므로 조립 작업 시 부딪히는 어려움이나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나르는 작업이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요소들의 작동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짐으로써 장치 내 어디에선가 동전이 걸리거나 막히는 등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을 정렬시켜 셈하고 분배하기 위한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로서, 이 장치는 하우징, 그 하우징 상에 경사지게 설치된 홀더, 그 홀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 그 홀더 상에 설치된 위치선정 요소, 그 위치선정 요소 위에 설치된 안내 요소, 상기 턴테이블 위에서 홀더에 설치되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를 포함하게 되는 호퍼, 그리고 전기 모터로 구성되는 바, 상기 홀더는 상단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지침(指針)(finger) 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턴테이블은 구동 블럭을 받아들이기 위해 중앙에 슬롯, 개별적으로 복수 개의 볼 레이스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슬롯 주위에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덕트, 그리고 상기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덕트 주위에 환형으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 개의 오목한 부위을 정해주고 있으며, 상기 턴테이블은 추가로 복수 개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그 플랜지들은 인접하게 위치해 있는 오목하게 들어간 곳들 사이에서 그 표면 바깥쪽으로 반경 방향 위치에서 떨어져 배치되어 있어 그 내부로 확장되어 있는 홀더의 지침(指針)(finger) 들을 위하여 복수 개의 채널을 그 사이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위치 선정 요소는 턴테이블과 통신하여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그 통로를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 1 통로를 정해주고 있으며, 상기 안내 요소는 상기 제 2 통로와 통신하며 제 2 통로를 정해주고 있으며, 상기 호퍼는 턴테이블과 연동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의 것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중앙의 구멍을 정해주고 있으며, 상기 중앙의 구멍은 턴테이블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 주변의 상단부로부터 통합되어 확장된 가로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전기 모터는 턴테이블을 회전하기 위하여 하우징 뒤에 설치되어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들이 하나씩 차례로 턴테이블로부터 위치 선정 요소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볼 레이스들이 롤러의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 요소가 덮개판과 운반판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놓여있는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은 서로 떨어져 위치하여 그 사이에 상기 제 1 통로를 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 요소가 덮개판과 운반판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놓여있는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은 서로 떨어져 위치하여 그 사이에 상기 제 1 통로를 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선정 요소 상에 피봇으로 설치되어있는 첫번째 끝단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선정 요소의 입구를 막고 있는 유연성 있는 부위를 갖는 두번째 끝단을 포함하는 멈춤 손잡이(stop lever)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선정 요소 상에 피봇으로 설치되어 있는 첫번째 끝단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선정 요소의 입구를 막고 있는 유연성 있는 부위를 갖는 두번째 끝단을 포함하는 멈춤 손잡이(stop lever)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선정 요소 상에 피봇으로 설치되어 있는 첫번째 끝단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선정 요소의 입구를 막고 있는 유연성 있는 부위를 갖는 두번째 끝단을 포함하는 멈춤 손잡이(stop lever)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선정 요소 상에 피봇으로 설치되어 있는 첫번째 끝단과 토큰과 같은 대용화폐(代用貨幣)(token)가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선정 요소의 입구를 막고 있는 유연성 있는 부위를 갖는두번째 끝단을 포함하는 멈춤 손잡이(stop lever)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9. 청구항9는 삭제 되었습니다.
  10. 청구항10는 삭제 되었습니다.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 그리고 위치선정 요소의 상기 덮개판이 통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 그리고 위치선정 요소의 상기 덮개판이 통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13. 청구항13는 삭제 되었습니다.
  14. 청구항14는 삭제 되었습니다.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 그리고 위치선정 요소의 상기 덮개판이 통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익과 제 2 안내익, 그리고 위치선정 요소의 상기 덮개판이 통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鑄貨) 카운팅(counting) 장치.
KR2020010005793U 2001-03-05 2001-03-05 주화 카운팅 장치 KR200269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93U KR200269884Y1 (ko) 2001-03-05 2001-03-05 주화 카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93U KR200269884Y1 (ko) 2001-03-05 2001-03-05 주화 카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884Y1 true KR200269884Y1 (ko) 2002-03-27

Family

ID=7309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793U KR200269884Y1 (ko) 2001-03-05 2001-03-05 주화 카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563B1 (ko) 2009-11-18 2011-10-05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563B1 (ko) 2009-11-18 2011-10-05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053B1 (ko) 코인배분장치
EP0461889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US20020061724A1 (en) Disk for coin hopper
US5688166A (en) Apparatus for counting coins
JP2006230541A (ja) 紙幣識別装置および遊技媒体の貸し出し機
JPH1153610A (ja) コイン揚送機構
JPH1131248A (ja) 円板体の揚送装置
KR200269884Y1 (ko) 주화 카운팅 장치
CN107341905B (zh) 一种传输通道板结构、介质传输装置及金融自助终端
JPS6318793B2 (ko)
EP0690419B1 (en) Coin delivering apparatus
CA2154088C (en) Coin escalator for gaming devices
JPH0637497Y2 (ja) 硬貨振分け装置
JP4040859B2 (ja) コイン繰出装置
US20220005305A1 (en)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coin lifting device, and coin lifting device of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JP2782570B2 (ja) コイン送出装置
JP2017151518A (ja) 硬貨処理装置
GB2260206A (en) Sheet counting machine
JP3950949B2 (ja) コインの金種振り分け装置
JP2003070979A (ja) 遊技メダルの投入装置
JP2004348354A (ja) 紙幣処理装置
JP5211094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2504840Y2 (ja) 硬貨処理機の硬貨搬送装置
JP2931827B2 (ja) 遊戯機用の紙幣取扱い装置
MY121020A (en) Sheet material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