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160Y1 -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160Y1
KR200269160Y1 KR2020010031949U KR20010031949U KR200269160Y1 KR 200269160 Y1 KR200269160 Y1 KR 200269160Y1 KR 2020010031949 U KR2020010031949 U KR 2020010031949U KR 20010031949 U KR20010031949 U KR 20010031949U KR 200269160 Y1 KR200269160 Y1 KR 200269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frame
rotating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상
Original Assignee
무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성산업(주) filed Critical 무성산업(주)
Priority to KR2020010031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1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160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자동차의 조수석에 해당하는 시트나 중앙측의 시트를 좌우 양측방으로 일정 각도로 각 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장거리 운행시나 운행도중 자동차의 내부에서 다양한 형식의 시트를 배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11) 상부에 회전판(13)이 개재되어 상기 회전판(13)의 모서리부에는 시트가 결합될 수 있는 조립공(16)을 형성하고, 중앙 내부에는 고정판(12)이 하부의 프레임(11)과 고정리벳(14)으로 설치되어 프레임(11)과 고정판(1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회전판(13)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13)과 프레임(11)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볼(15)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고정리벳(14)은 프레임(11)과 고정판(12) 및 상기 고정판(12)의 상부 양측방에서 대향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걸림편(30)을 각각 고정하되, 걸림편(30)의 외측끝단으로는 요홈(3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요홈(31)이 형성된 걸림편(30)에는 회전판(13)이 180°초과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턱(32)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12)과 프레임(11)에 고정된 고정리벳(14)이 설치된 걸림편(30) 하단부의 회전판(13) 중앙에는 장공(26)을 형성하여 핀축(24)에 의해 회전에 의한 각운동이 가능한 작동판(20)을 비틀림스프링(25)에 의해 외향 탄지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작동판(20)에는 회전판(13)의 장공(26) 내에서 이동가능한 고정핀(22)을 축설하여 걸림편(30)과 고정판(12) 및 작동판(20) 전체가 회전하여 각운동이 가능하게 회전판(13)을 구성하며,
상기 작동판(20)의 고정핀(22)이 축설된 측방에는 테이퍼형 스토퍼(23)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고정판(1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27)에 걸리거나 이탈되면서 록킹 또는 해리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A revolution apparatus for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자동차의 조수석에 해당하는 시트나 중앙측의 시트를 좌우 양측방으로 일정 각도로 각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장거리 운행시나 운행도중 자동차의 내부에서 다양한 형식의 시트를 배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되어 주로 전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시트의 경우는 주로 고정타입으로 설치되어 있고, 주로 대형차나 승합차 등의 경우는 양측방에서 마주보도록 시트가 배치되어 편안한 자세로 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용 시트는 고정타입으로 설치되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이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측방으로 이동하거나 회전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여 운행중 마주보고 대화를 하거나 후방을 주시하면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주로 장거리 여행시나 운행중 후방의 탑승자와 편안한 상태에서 대화하거나 각종 놀이를 즐기기가 어려웠고, 또한 편안한 자세에서 음식 등을 먹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형차나 승합차 또는 고급열차등의 경우는 자동차의 시트에 해당하는 등받이의 설치위치를 반대로 바꾸어서 후방으로 앉을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적용하여 장거리 여행시 서로 마주보며 대화를 나누거나 음식 등을 먹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탑승자가 지루하지 않도록 각종 놀이 등을 즐길수 있도록 한 것이 안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시트는 주로 열차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대형차나 승합차 등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일반 승용차 등에는 설치의 공간이 협소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시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변형함에 있어서, 하부의 바디부는 고정되어 있고, 후방의 등받이만을 이동하는 구조로서 이루어져 있으므로 등받이의 위치를 변화하게 되면 신체의 체형에 맞도록 형성된 시트의 라인이 체형의 라인과 불일치하게 되어 안락감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시트 자체가 회전의 기능이 부재하여 방향을 변경할 수가 없으므로 장거리 여행시나 운행중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기가 어려워 전방을 향한 자세에서 고개만 후방으로 돌려서 대화를 나누게 되므로 불량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면 목에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칫 운전자에 방해요소를 제공하게 되므로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가중되었다.
대부분의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는 공간이 협소하므로 인해 회전의 기능을 부가하기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시트는 주로 고정타입으로 구성되어 여건에 따라 시트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여 다소 불편한 점이 상존하더라도 전체를 변경하기가 어려워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시트는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부합되게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경우는 전후방의 이동만 가능하고 좌우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 방향의 전환이 불가능하여 안락한 자세로 여행을 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를 고정타입으로 구성하지 않고 전후방과 양측방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회전타입으로 구성하므로서 장거리 여행이나 여행도중 후방의 탑승자와 대화를 나눌 경우는 간단하게 시트를 회전시켜 후방을 향하도록 앉은 자세에서 편안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하며, 불필요할 경우는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시트의 하부측에 취부되는 고정 프레임은 통상의 자동차 시트와 동일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는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고정된 고정판이 취부되고, 이의 중앙에는 자체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판이 축설되어 별도 설치된 작동레버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판이 작동하게 되어 스토퍼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중앙측의 회전판이 아이들링 상태로 되어 회전판의 상부에 취부된 시트 전체가 각운동하게 되어 탑승자의 탑승위치를 180°회전하게 되어 후방을 주시하면서 뒷자리의 탑승자와 마주보게 하므로서 장거리 여행시나 운행도중 놀이나 오락 등을 즐기면서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장치 11 : 프레임
12 : 고정판 13 : 회전판
14 : 고정리벳 15 : 볼
16 : 조립공
20 : 작동판 21 : 작동레버
22 : 고정핀 23 : 스토퍼
24 : 핀축 25 : 비틀림스프링
26 : 장공 27 : 걸림홈
28 : 절곡부
30 : 걸림편 31 : 요홈
32 : 정지턱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인 평면도로서,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10)를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 프레임(11) 상부에 회전판(13)이 개재되어 상기 회전판(13)의 모서리부에는 시트를 결합할 수 있는 조립공(16)이 형성되고, 중앙 내부에는 고정판(12)이 하부의 프레임(11)과 고정리벳(14)에 의해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프레임(11)과 고정판(12)에 대해 회전판(13)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회전판(13)과 프레임(11)의 사이에는 적정의 간격으로 회전을 원할하게 하는 다수 개의 볼(15)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리벳(14)은 프레임(11)과 고정판(12) 및 상기 프레임(11)과 고정판(12)에 대향되도록 설치된 걸림편(30)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걸림편(30)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요홈(31)을 각각 형성하여 어느 일측방으로는 180°초과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턱(32)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고정판(12)과 프레임(11)에 고정된 고정리벳(14)이 설치된 걸림편(30)이 조립되는 하단부의 회전판(13) 중앙에는 적정의 유격을 갖는 장공(26)을 형성하여 하부에는 핀축(24)에 의해 각운동가능한 작동판(20)을 비틀림스프링(25)에 의해 외향 탄지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작동판(20)에는 회전판(13)의 장공(26) 내에서 이동가능한 고정핀(22)을 축설하여 장공(26)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걸림편(30)의 요홈(31)에 걸리거나 이탈되므로서 회전판(13) 전체가 좌우측방으로 회전하면서 각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작동판(20)의 고정핀(22)이 축설된 측방에는 테이퍼형 스토퍼(23)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고정판(1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27)에 걸리거나 이탈되면서 록킹 또는 해리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스토퍼(23)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항상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상기 걸림편(30)이 취부되는 하부측의 회전판(13)은 적정의 높이를 갖는 절곡부(28)를 형성하여 걸림편(30)이 조립되는 위치보다 약간 높게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회전판(13)이 고정판(12)에 대해 회전한 후 절곡부(28)에 결합될 시 밀착력을 증대하고 유격을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이나 유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형상을 변화하거나 그 구성물들을 단순한 등가물로 치환하는 등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설치위치 등을 변경하고, 또한 도면에서는 대략 180°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걸림편(30)을 직교방향으로 한쌍을 추가로 설치하여 시트의 회전각도를 90°로 변형하는 것 등의 변형 실시예 역시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를 고정타입으로 구성하지 않고 양측방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회전타입으로 구성하므로서 장거리 여행이나 여행도중 후방의 탑승자와 대화를 나눌 경우는 간단하게 시트를 회전시켜 후방을 향하도록 앉은 자세에서 편안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하며, 불필요할 경우는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시트의 하부측에 취부되는 고정 프레임(11)은 통상의 자동차 시트와 동일하게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1)의 상측에는 프레임(11)과 일체적으로 고정리벳(14)에 의해 고정된 고정판(12)이 취부되고, 이의 중앙에는 자체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15)이 결합되어 구성된 회전판(13)이 축설되어 별도 설치된 작동레버(21)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레버(21)의 작동판(20)이 작동하게 되어 핀축(24)을 기점으로 스토퍼(23)를 걸림홈(27)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중앙측의 회전판(13)이 아이들링 상태로 되어 회전판(13)의 상부에 취부된 시트 전체가 각운동하게 되어 탑승자의 탑승위치를 180°회전하게 되어 후방을 주시하면서 뒷자리의 탑승자와 마주보게 하므로서 장거리 여행시나 운행도중 놀이나 오락 등을 즐기면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프레임(11)과 회전판(13) 및 고정판(12)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회전장치(10)를 자동차의 실내측에 일반적인 시트와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자동차의 실내측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바디부에 프레임(11)을 조립하게 되면 설치가 완료되고, 상기 회전판(13)의 사방 가장 자리부에 각각 천설된 조립공(16)을 통해 시트를 조립하게 되면 자동차용 시트가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자동차용 시트가 설치되어 시트의 설치방향을 반대로 할 경우는 작동레버(21)를 잡고 도 3 과 같은 상태에서 도 4 와 같은 상태로 당기면 상기 작동레버(21)에 취부되어 있는 작동판(20)이 회전판(13)의 핀축(24)을 기점으로 빠져나가게 되어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21)를 작동하므로서 작동판(20)이 도 4 와 같은 상태로 핀축(24)을 기점으로 각운동하여 외측으로 나가게 되면 상기 작동판(20)의 고정핀(22)은 회전판(13)의 장공(26) 내부에서 각운동하여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22)이 회전판(13)의 장공(26) 내부에서 빠져나가게 되면 걸림편(30)의 요홈(31)으로부터 고정핀(22)이 분리되어 고정판(12)은 아이들링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11)과 회전판(13)의 사이에는 적정의 간격으로 수개의 볼(15)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판(13)의 회전시 회전이 원할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작동레버(21)를 외측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전을 시키게 되어 회전판(13)의 상부에 취부된 시트는 자연스럽게 180°회전을 하게 되어 시트의 설치방향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변화된다.
즉,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함에 있어서는 작동판(20)이 핀축(24)을 기점으로 분리될 경우 고정핀(22)이 결합된 측방에는 스토퍼(23)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있으므로 상기 스토퍼(23)가 고정판(12)의 저면부에 형성된 걸림홈(27)으로부터 이탈되면 회전판(13)이 아이들링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13)에 취부된 시트 전체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핀축(24)에는 비틀림스프링(25)이 장착되어 일단은 회전판(13)의 저면으로부터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핀축(24)을 중심으로 작동판(20)을 지지하고 있으면서 항상 내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21)를 작동하게 되면 이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작동판(20)이 핀축(24)을 기점으로 각운동하여 외향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와 같이 작동판(20)이 외향으로 나가게 되면 고정판(12)의 걸림홈(27)으로 부터 테이퍼형의 스토퍼(23)가 이탈되어 시트의 각도를 180°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이 작동판(20)의 테이퍼형 스토퍼(23)가 고정판(12)의 걸림홈(27)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작동판(20)에 축설된 고정핀(22)은 회전판(13)의 절곡부(28)측에 형성된 장공(26)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외측으로 나가게 되면서 아울러 걸림편(30)의 요홈(31)으로부터 이탈되어 결국 고정판(12)에 대해 회전판(13)은 간섭을 받지 않게 되므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를 180°회전하여 후방을 향하여 반대편의 걸림편(30)이 있는 위치로 이동되면 다시 작동레버(21)를 놓게 되면 핀축(24)에 걸려 있는 비틀림스프링(25)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작동판(20)에 지지된 비틀림스프링(25)에 의해 작동판(2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반대편의 고정판(12)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7)에 테이퍼형 스토퍼(23)가 결합되어 회전을 제어하므로 고정이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함에 있어서, 작동판(20)에 축설된 고정핀(22)은 장공(26)의 내부에서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발력이 발생하여 반대편에 있는 걸림편(30)의 요홈(31)측에 걸려서 탄지되어 고정판(12)에 대해 회전판(13)을 고정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시트는 양측방으로 180°회전시켜 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는 과정에서 걸림편(30)의 요홈(31)이 있는 외측에는 단일의 정지턱(32)을 대향으로 각각 형성하므로서 고정판(12)에 대해 회전판(13)이 회전할 경우에 180°초과나 미만으로 회전할 경우는 상기 정지턱(32)이 이를 제어하여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고, 한편으로는 180°미만일 경우는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여 항상 정확한 각도로 회전을 할 경우만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전문적인 숙련이 없는 경우도 정확하게 작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의 시트는 걸림편(30)의 요홈(31)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정지턱(32)에 의해 회전방향은 항상 일정각도인 180° 또는 90°의 범위내에서만 각 운동할 수 있게 하고, 연속적인 회전은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프레임(11)과 고정판(12) 및 걸림편(30)은 고정리벳(14)에 의해 고정상태로 설치되고, 중앙의 회전판(13)만이 일정각도로 각운동 가능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상기 회전판(13)의 가장자리부 모서리측의 조립공(16)에 의해 자동차용 시트를 결합함으로써 시트 전체를 180° 또는 90°의 각도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회전판(13)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증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수개의 볼(15)을 적정간격으로 개재하므로서 회전을 매우 원할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작동레버(21)를 작동하게 되면 작동판(20)이 핀축(24)을 기점으로 각운동하여 상기 작동판(20)의 고정핀(22)이 회전판(13)의 절곡부(28)에 천설된 장공(26)내에서 이동하므로서 걸림편(30)의 요홈(31)에 걸리거나 분리되어 회전판(13)에 취부된 시트 전체를 회전하거나 고정하게 되는 바, 작동판(20)에 형성된 테이퍼형의 스토퍼(23)가 고정판(12)의 걸림홈(27)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일단 방향전환이 완료된 후에 작동레버(21)를 놓게 되면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작동판(20)에 형성된 테이퍼형의 스토퍼(23)가 고정판(12)의 걸림홈(27)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는 작동판(20)이 핀축(24)을 기점으로 비틀림스프링(25)의 탄발력에 의해 복귀하게 되고, 이는 고정핀(22)이 회전판(13)의 절곡부(28)에 형성된 장공(26)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측의 걸림편(30)에 형성된 요홈(31)에 결합되므로 완전히 고정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회전을 하여 시트를 후방으로 위치하게 되면 탑승자는 후방을 주시하면서 오락이나 대화 또는 다과 등을 즐기면서 여행할 수 있게 되는 바,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작동레버(21)를 당기면 작동판(20)이 핀축(24)을 기점으로 각운동하여 고정핀(22)을 회전판(13)의 장공(26) 내부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걸림편(30)의 요홈(31)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회전판(13)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작동판(20)의 고정핀(22)이 설치된 측방에는 테이퍼형 스토퍼(23)가 형성되어 고정판(12)의 걸림홈(27)으로 부터 이탈되어 회전을 할 수 있게 되므로 걸림편(30)의 정지턱(32)이 없는 쪽으로 회전을 하여 설치방향을 반대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이 완료된 후 작동레버(21)에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핀축(24)에 의해 회전판(13)과 작동판(20)에 탄설된 비틀림스프링(25)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판(20)이 내측으로 밀려가게 되어 테이퍼형 스토퍼(23)는 고정판(12)의 걸림홈(27) 내부로 결합되어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판(13)의 장공(26) 내부의 외측에 있던 고정핀(22)은 하부의 비틀림스프링(25)의 탄발력에 의해 장공(26)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걸림편(30)의 요홈(31)과 일체적으로 고정을 하게 되어 시트는 임의로 회전하거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일반적인 시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됨과 동시에 전방을 향하게 된다.
본 고안의 테이퍼형 스토퍼(23)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고정판(12)의 걸림홈(27)에 의해 자주 접촉되어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23)의 형상이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마모가 되더라도 고정판(27)의 걸림홈(27)에 긴밀히 결합되어 유격이나 유동의 문제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소음 등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회전판(13)의 장공(26)이 천설된 부분에는 약간 높게 절곡부(28)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장공(26)의 절곡부(28)에 의해 회전판(13)이 회전할 경우는 절곡부(28)를 벗어나기 때문에 용이하게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이 완료되어 걸림편(30)이 고정되는 위치의 절곡부(28)가 걸림편(30)의 하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편(30)과 절곡부(28)에 틈새가 없어지게 되고, 오히려 절곡부(28)가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고정후 유격의 발생이 방지되어 소음이 발생하거나 유동이 방지되어 견고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따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를 고정타입으로 구성하지 않고 전후방과 양측방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회전타입으로 구성하므로서 장거리 여행이나 여행도중 후방의 탑승자와 대화를 나눌 경우는 간단하게 시트를 회전시켜 후방을 향하도록 앉은 자세에서 편안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하며, 불필요할 경우는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으로, 즉 본 고안은 시트의 하부측에 취부되는 고정 프레임(11)은 통상의 자동차 시트와 동일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1)의 상측에는 프레임(11)과 일체적으로 고정된 고정판(12)이 취부되고, 이의 중앙에는 자체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판(13)이 축설되어 별도 설치된 작동레버(21)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레버(21)의 작동판(20)이 작동하게 되어 스토퍼(23)를 걸림홈(27)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중앙측의 회전판(13)이 아이들링 상태로 되어 회전판(13)의 상부에 취부된 시트 전체가 각운동하게 되어 탑승자의 탑승위치를 180°회전하게 되어 후방을 주시하면서 뒷자리의 탑승자와 마주보게 하므로서 장거리 여행시나 운행도중 놀이나 오락 등을 즐기면서 주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어 각종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10)로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11) 상부에 회전판(13)이 개재되어 상기 회전판(13)의 모서리부에는 시트가 결합될 수 있는 조립공(16)을 형성하고, 중앙 내부에는 고정판(12)이 하부의 프레임(11)과 고정리벳(14)으로 설치되어 프레임(11)과 고정판(1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회전판(13)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13)과 프레임(11)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볼(15)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고정리벳(14)은 프레임(11)과 고정판(12) 및 상기 고정판(12)의 상부 양측방에서 대향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걸림편(30)을 각각 고정하되, 걸림편(30)의 외측끝단으로는 요홈(3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요홈(31)이 형성된 걸림편(30)에는 회전판(13)이 180°초과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턱(32)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12)과 프레임(11)에 고정된 고정리벳(14)이 설치된 걸림편(30) 하단부의 회전판(13) 중앙에는 장공(26)을 형성하여 핀축(24)에 의해 회전에 의한 각운동이 가능한 작동판(20)을 비틀림스프링(25)에 의해 외향 탄지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작동판(20)에는 회전판(13)의 장공(26) 내에서 이동가능한 고정핀(22)을 축설하여 걸림편(30)과 고정판(12) 및 작동판(20) 전체가 회전하여 각운동이 가능하게 회전판(13)을 구성하며,
    상기 작동판(20)의 고정핀(22)이 축설된 측방에는 테이퍼형 스토퍼(23)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고정판(1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27)에 걸리거나 이탈되면서 록킹 또는 해리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30)이 취부되는 하부측의 회전판(13)은 적정의 높이를 갖는 절곡부(28)를 형성하여 걸림편(30)이 조립되는 위치보다 약간 높게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회전판(13)이 고정판(12)에 대해 회전한 후 절곡부(28)에 결합될 시 밀착력을 증대하고 유격을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이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KR2020010031949U 2001-10-19 2001-10-19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KR200269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49U KR200269160Y1 (ko) 2001-10-19 2001-10-19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49U KR200269160Y1 (ko) 2001-10-19 2001-10-19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160Y1 true KR200269160Y1 (ko) 2002-03-21

Family

ID=7306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949U KR200269160Y1 (ko) 2001-10-19 2001-10-19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1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828A (ko) *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다온티앤티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828A (ko) *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다온티앤티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KR102332001B1 (ko) 2020-04-28 2021-11-26 주식회사 다온티앤티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5498B2 (ja) 子供用座席装置
US9108540B2 (en) Power fold with lock for vehicle seat
US7963607B2 (en) Reclining device for seats in vehicles
KR101034307B1 (ko) 자동차의 파워 롱 슬라이드 리어시트
JP4863051B2 (ja) 車両用ウォークイン装置
JP2008114830A (ja) 自動車用リアシートのリクライナー調節構造
EP1003404A1 (en) 30/40/30 split seat with adjustable center portion
KR101987003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101761841B1 (ko) 차량용 보조발판
JP2009029272A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92880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269160Y1 (ko)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JPH1085260A (ja) 車椅子搭乗用輸送装置
KR102332001B1 (ko)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KR200264154Y1 (ko)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KR100291936B1 (ko) 승합차량용좌석의리클라이너닝과회전연동장치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JP3723758B2 (ja) 座席回転装置
JPS635944Y2 (ko)
JPS6324019Y2 (ko)
JP2009149219A (ja) 乗り物用シート
JPS5851065Y2 (ja) 座席装置
KR20230155088A (ko)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KR100534257B1 (ko) 자동차용 보관형시트 홀더
KR100401662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