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154Y1 -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 Google Patents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154Y1
KR200264154Y1 KR2020010034223U KR20010034223U KR200264154Y1 KR 200264154 Y1 KR200264154 Y1 KR 200264154Y1 KR 2020010034223 U KR2020010034223 U KR 2020010034223U KR 20010034223 U KR20010034223 U KR 20010034223U KR 200264154 Y1 KR200264154 Y1 KR 200264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eat
flange
upper rail
bal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대부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부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부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4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1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154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찰력을 줄여 원활한 작동성을 가지도록 함은 물론, 시트레일에 발생하는 요잉현상을 저감시켜 파워시트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에 플랜지(33)를 가지는 로어레일(31)의 선측에는 스크류블럭(35)을 고정하고, 상기 스크류블럭(35)의 전방에는 모터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볼스크류(36)를 돌출시킨 감속수단(37)을 연결하고; 외측에 플랜지(34)를 가지는 어퍼레일(32)의 후방에는 볼스크류(36)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브라켓(38)을 고정하여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터가 감속수단(37)의 볼스크류(36)를 회전시킴으로서 어퍼레일(32)이 로어레일(31)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31)에 형성되는 플랜지(33)에 삽입되는 어퍼레일(32)의 플랜지(34)에 윤활패드(40)를 개재하여 시트레일(30)의 Z축(P)과의 거리(L)가 멀어지도록 하여 요잉현상을 억제하도록 하고; 상기 어퍼레일(32)의 플랜지(34)의 밑면(41)은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부(42)를 두어 상기 경사부(42)와 로어레일(31)의 양측면의 모서리(43) 상간에 볼(45)을 삽입하여 마찰을 줄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Seat real of power seat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레일의 구조를 개선하여 유격방지와 마찰계수를 줄여 시트레일의 이동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자동차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유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레일을 하방에 가지는 시트프레임 위에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가지는 구성이며, 시트레일과 시트프레임의 후미에는 운전에 적합한 자세를 유지와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장치와 리클라이닝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는 탑승자가 손으로 레버를 조작함으로서 이와 연결된 슬라이딩 및 리클라이닝장치가 작동하여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시트백을 전,후방향으로 각도조절하게 되는 매뉴얼타입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근자에 들면서는 승차자의 편익을 도모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장치들의 조작을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동으로 작동하도록 한 파워시트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파워시트의 시트레일의 종래기술이 적용된 구조를 도 4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시트레일(1)은 자동차의 바닥면과 고정할 수 있도록 브라켓을 저면에 가지는 로어레일(2)과 상기 로어레일(2)에 결합되고 상방에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시트를 고정하는 어퍼레일(3)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레일(2)과 어퍼레일(3)의 상,하단부는 각각 외측과 내측으로 절곡한 플랜지(4,5)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로어레일(2)의 선측에는 스크류블럭(6)을 고정하고, 상기 스크류블럭(6)의 전방에는 모터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볼스크류(7)를 돌출시킨 감속수단(8)을 연결한다.
상기 어퍼레일(3)의 후방에는 볼스크류(7)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브라켓이 고정되어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터가 감속수단(8)의 볼스크류(7)를 회전시킴으로서 어퍼레일(3)이 로어레일(2)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4,5)중 로어레일(2)의 플랜지(4)에는 윤활패드(10)를 결합하고 어퍼레일(3)의 플랜지(5)저면과 로어레일(2) 상간에는 로울러(11)를 개재하여 활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레일은 윤활패드가 어퍼레일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로어레일의 플랜지에 결합하기 때문에 시트레일의 Z축중심에 대한 요잉(Yawing)현상이 심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는 윤활패드와 어퍼레일의 플랜지가 가지는 유격에 의하여 유동하기 때문이며 특히 Z축중심으로 부터 윤활패드까지의 거리는 짧기 때문에 특히 심한 유동이발생하여 이음발생을 유발하는 등 승차감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어퍼레일의 플랜지 저면과 로어레일 상간에 활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재한 로울러는 어퍼레일 및 로어레일과 선접촉한 상태에서 활주하기 때문에 모터와 감속수단에 상당한 부하를 초래하므로 잦은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는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시트레일레 개재되는 볼시트와 어퍼레일의 플랜지부위를 개선하여 레일이 슬라이딩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여 원활한 작동성을 가지도록 함은물론, 시트레일의 길이방향(Z축 둘레) 좌,우측으로 발생하는 요잉(Yawing)현상을 억제하여 파워시트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시트레일
31; 로어레일
32; 어퍼레일
33,34; 플랜지
36; 볼스크류
37; 감속수단
40; 윤활패드
42; 경사부
43; 모서리
45; 볼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용 파워시트의 시트레일(30)은;
자동차의 바닥면과 고정할 수 있도록 브라켓을 저면에 가지는 로어레일(31)과 상기 로어레일(31)에 결합되고 상방에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시트를 고정하는 어퍼레일(32)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레일(31)과 어퍼레일(32)의 상,하단부는 각각 외측과 내측으로 절곡한 플랜지(33,34)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로어레일(31)의 선측에는 스크류블럭(35)을 고정하고, 상기 스크류블럭(35)의 전방에는 모터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볼스크류(36)를 돌출시킨 감속수단(37)을 연결한다.
상기 어퍼레일(32)의 후방에는 볼스크류(36)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브라켓(38)이 고정되어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터가 감속수단(37)의 볼스크류(36)를 회전시킴으로서 어퍼레일(32)이 로어레일(31)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플랜지(33,34)에 개재되는 윤활패드(40)와 어퍼레일(32)과 로어레일(31)의 플랜지(33,34)부위를 개선하여 요잉현상의 방지와 마찰력을 감소시켜 활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윤활패드(40)를 로어레일(31)에 형성되는 플랜지(33)에 삽입되는 어퍼레일(32)의 플랜지(34)에 개재하여 시트레일(30)의 Z축(P)과의 거리(L)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멀도록 한다.
상기 어퍼레일(32)의 플랜지(34)의 밑면(41)은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부(42)를 두어 상기 경사부(42)와 로어레일(31)의 양측면의 모서리(43) 상간에 볼(45)을삽입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모터와 연결되는 감속수단(37)에 의하여 볼스크류(36)가 회전하여 어퍼레일(32)을 로어레일(32)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히여 시트 전체의 전,후방향에 대한 포지션을 잡을 수 있게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퍼레일(32)의 플랜지(34)에 개재된 윤활패드(40)와 어퍼레일(32)의 경사부(42)와 로어레일(31)의 모서리(43) 상간에 개재된 볼(45)이 스무드한 작동이 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요잉현상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는 어퍼레일(32)의 경사부(42)와 로어레일(31)의 모서리(43) 상간에 개재된 볼(45)이 어퍼레일(32) 및 로어레일(31)간에 점접촉하게 되므로 마찰면적이 줄어들어 마찰력을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요잉현상의 저감은 윤활패드(40)를 어퍼레일(32)의 플랜지(34)에 개재함으로서 시트레일(30)의 Z축(P)과의 거리(L)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멀어짐으로서 종래와 동일한 유격을 가지더라도 시트레일(30)의 유동각이 작아져 요잉현상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마찰력의 저감으로 시트레일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감속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부하가 적어 고장의 원인을 줄일 수 있고, 요잉현상이 줄어듬으로서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시트레일레 개재되는 볼시트와 어퍼레일의 플랜지부위를 개선하여 레일이 슬라이딩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여 원활한 작동성을 가지도록 함은물론, 시트레일에 발생하는 요잉현상을 저감시켜 파워시트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외측에 플랜지(33)를 가지는 로어레일(31)의 선측에는 스크류블럭(35)을 고정하고, 상기 스크류블럭(35)의 전방에는 모터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볼스크류(36)를 돌출시킨 감속수단(37)을 연결하고;
    외측에 플랜지(34)를 가지는 어퍼레일(32)의 후방에는 볼스크류(36)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브라켓(38)을 고정하여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터가 감속수단(37)의 볼스크류(36)를 회전시킴으로서 어퍼레일(32)이 로어레일(31)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한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31)에 형성되는 플랜지(33)에 삽입되는 어퍼레일(32)의 플랜지(34)에 윤활패드(40)를 개재하여 시트레일(30)의 Z축(P)과의 거리(L)가 멀어지도록 하여 요잉현상을 억제하도록 하고;
    상기 어퍼레일(32)의 플랜지(34)의 밑면(41)은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부(42)를 두어 상기 경사부(42)와 로어레일(31)의 양측면의 모서리(43) 상간에 볼(45)을 삽입하여 마찰을 줄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KR2020010034223U 2001-11-08 2001-11-08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KR200264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23U KR200264154Y1 (ko) 2001-11-08 2001-11-08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23U KR200264154Y1 (ko) 2001-11-08 2001-11-08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154Y1 true KR200264154Y1 (ko) 2002-02-19

Family

ID=7307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23U KR200264154Y1 (ko) 2001-11-08 2001-11-08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1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689A (zh) * 2018-05-22 2018-09-21 盐城市九洲汽车配件有限公司 汽车座椅滑轨
KR20190057899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KR20220149138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899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KR102402992B1 (ko) 2017-11-21 2022-05-27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CN108556689A (zh) * 2018-05-22 2018-09-21 盐城市九洲汽车配件有限公司 汽车座椅滑轨
KR20220149138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8384B1 (en) Coupling structure between seatback and armrest for vehicle
JP2010502498A (ja) 車両座席
KR101046295B1 (ko) 차량용 시트
JP441951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264154Y1 (ko)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111204262B (zh) 配置有易进入系统的汽车座椅
JP4632158B2 (ja) ウイングミラーユニット
JP3738102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JP5110267B2 (ja) 走行車両
JP2001010378A (ja) 車両用座席
JPH0220101Y2 (ko)
JP2534103Y2 (ja) 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機構
JPH0628042Y2 (ja) 車両用シート
JP5182491B2 (ja) 走行車両
JP4098207B2 (ja) 乗り物用座席
JPS6132529Y2 (ko)
JPH0237628Y2 (ko)
JP2003146118A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KR20050045049A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JPS60193731A (ja) 自動車用シ−トのサイドサポ−ト
KR200269160Y1 (ko)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KR960007631Y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조절장치
JPH0565377B2 (ko)
JPH01279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