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683Y1 -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 Google Patents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683Y1
KR200268683Y1 KR2020010038863U KR20010038863U KR200268683Y1 KR 200268683 Y1 KR200268683 Y1 KR 200268683Y1 KR 2020010038863 U KR2020010038863 U KR 2020010038863U KR 20010038863 U KR20010038863 U KR 20010038863U KR 200268683 Y1 KR200268683 Y1 KR 200268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expansion
leaf spring
buck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식 filed Critical 윤정식
Priority to KR2020010038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683Y1/ko
Priority to US10/278,381 priority patent/US6658705B2/en
Priority to CNB021504121A priority patent/CN1181770C/zh
Priority to EP02257799A priority patent/EP1319348A3/en
Priority to JP2002007441U priority patent/JP3094235U/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44B11/008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exten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4Combined diverse multipart fasteners
    • Y10T24/3427Clasp
    • Y10T24/3428Clasp having pivoted members
    • Y10T24/3437Coil spring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2Pivote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2Pivoted lever
    • Y10T24/4074Hook attached

Landscapes

  • Buck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한 복부운동에도 자동신축장치에 의해 혁대가 적절하게 신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유행에 따라 버클을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혁대와 버클 사이에 자동신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미세한 복부운동에도 신축적으로 가변되어 복부에 압박감이 가해지는 것을 해소시킴과 아울러, 벨트가 느슨해져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시로 변화하는 유행에 따라 여러종류의 버클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혁대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탄성체인 판스프링이 편심되지 않게 자동신축장치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일측이 혁대의 종단부를 물려 연결되고, 타측이 버클에 연결되어 신축 가변되는 혁대의 자동신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50)의 후방부에 구비된 버클걸쇠(51)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후크 형상의 커버걸쇠(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저부의 소정위치에 판스프링걸쇠턱(11)이 돌출된 신축장치 커버(10)와;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에 슬라이딩 되게 안착되며 저부에 롤러(70)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롤러고정축(23)이 굴곡 성형되고, 저부의 양측에 힌지홀(22)과 착탈돌기(21)가 각각 돌출된 신축장치 본체(20)와; 상기신축장치 본체(20)의 착탈돌기(2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에 착탈편(33)이 형성되고, 타측의 양단에 상기 힌지홀(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돌기(32)가 돌출형성된 신축장치 바닥판(30)과; 상기 신축장치 바닥판(30)의 힌지돌기(32)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되, 종단부를 상기 혁대(60)가 물릴 수 있도록 스파이크 형상으로 성형한 혁대물림돌기(31)와;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의 판스프링걸쇠턱(11)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판스프링걸쇠(41)가 굴곡성형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70)에 수회 권취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판스프링(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The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of a belt}
본 고안은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한 복부운동에도 자동신축장치에 의해 혁대가 적절하게 신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유행에 따라 버클을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 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996-0000072호(등록일:1996년 01월 04일)의 "요대길이 신축가변대"를 개량한 출원이다.
상기 요대길이 신축가변대는, 일측이 일반 요대(104)를 물려 고정하고, 타측은 일반 버클(105)에 나사고정하여 사용하는 신축가변대 본체(10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 일측에는 요대(104) 일단을 고정하도록 요대물림편(111)이 고정핀(124)으로 유설되고, 중앙편의 스틸테잎수납실(125) 중앙부 스틸테잎고정축(126)에는 스틸테잎(118)이 고정되며, 이측의 신축안내가죽케이스점착대(127)의 스틸테잎나선안내로(123)을 통하여 유도된 신축요대편(103)의 양접합부에 삽입고정되도록 상기의 스틸테잎(118)단부의 스틸테잎고정공(119)을스틸테잎고정실(120)로 꿰멘 후, 상기본체(101) 중앙편에 신축가변대 배면커버(114)을 씌워 신축가변대 배면커버고정나사(110)로 본체나사공(122)에 맞춰 나사조립하는 반면, 신축안내가죽케이스(102)을 상기 신축요대편(103)에 끼워넣어 이 신축안내가죽케이스(102) 일측단을 상기의 본체(101) 이측의 가죽케이스점착대(127)에 접착한후 상기 신축요대편(103) 이측을 버클(105)과 버클외장커버(106)사이에 놓고 요대고정버클부나사(109)로 고정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요대길이 신축가변대는 도 5와 같이, 요대 착용전에 본체(101) 일측의 신축안내가죽케이스(102)내에 안내 구지된채, 공지의 형상인 버클(105)과 버클외장커버(106)에 의해 나사고정된체로 긴축된 신축요대편(103)이 신장되므로써, 요대(104)길이 전체가 신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틸테잎수납실(125) 중앙부의 스틸테잎고정축(126)에 고정된 스틸테잎(118)이 상기 스틸테잎수납실(125)을 빠져 나올 때는 본체(101) 이측의 신축안내가죽케이스점착대(127)내에 형성된 스틸테잎나선안내로(123)에 의하여 상기 스틸테잎고정축(126)에 최초 감긴 상태에서 90° 비틀려 나오게 되므로써, 스틸테잎(118)의 납작한 면이 신축요대편(103)의 납작한 면과 평행으로 위치되므로, 본체(101)와 신축요대펀(103) 사이에유설된 스틸테잎(118)이 착용상태에서도 부드럽게 굴곡 연신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틸테잎(118)에 의해 상기 본체(101)와 상기 신축요대편(103)이 고정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본체가 손상되더라도 교체가 불가능하여 일체형으로 구비된 상기 요대를 재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틸테잎(118)이 스틸테잎고정축(126)에 최초 감긴 상태에서 90°로 비틀려 나오게 하는 것은, 상기 스틸테입(118)의 강성도로 인해서 결국 스틸테입(118)의 인출이 불가능하여 실제적인 제품에 적용할 수 없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스틸테잎(118)이 상기 본체(101)와 상기 신축요대편(103)의 중앙부에 각각 연결되지 않고 편심되게 고정되어 있어, 신축이동시 상기 신축요대편(103)이 편심되어 인출됨으로써 인출동작이 원활하지 못하였고, 또한 신축요대편(103)의 실제 작동시 신축요대편(103)이 주로 가죽으로 된 연성 재질이어서 신축작용시 쉽게 구부러져서 신축장치의 슬라이드 기능을 수행함이 지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혁대와 버클 사이에 자동신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미세한 복부운동에도 신축적으로 가변되어 복부에 압박감이 가해지는 것을 해소시킴과 아울러, 벨트가 느슨해져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시로 변화하는 유행에 따라 여러종류의 버클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혁대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탄성체인 판스프링이 편심되지 않게 자동신축장치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일측이 혁대의 종단부를 물려 연결되고, 타측이 버클에 연결되어 신축 가변되는 혁대의 자동신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50)의 후방부에 구비된 버클걸쇠(51)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후크 형상의 커버걸쇠(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저부의 소정위치에 판스프링걸쇠턱(11)이 돌출된 신축장치 커버(10)와;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에 슬라이딩 되게 안착되며 저부에 롤러(70)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롤러고정축(23)이 굴곡 성형되고, 저부의 양측에 힌지홀(22)과 착탈돌기(21)가 각각 돌출된 신축장치 본체(20)와; 상기 신축장치 본체(20)의 착탈돌기(2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에 착탈편(33)이 형성되고, 타측의 양단에 상기 힌지홀(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돌기(32)가 돌출형성된 신축장치 바닥판(30)과; 상기 신축장치 바닥판(30)의 힌지돌기(32)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되, 종단부를 상기 혁대(60)가 물릴 수 있도록 스파이크 형상으로 성형한 혁대물림돌기(31)와;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의 판스프링걸쇠턱(11)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판스프링걸쇠(41)가 굴곡성형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70)에 수회 권취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판스프링(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신축장치 커버와 신축장치 본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축장치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축장치의 동작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축장치의 동작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혁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신축장치 10 : 신축장치 커버
11 : 판스프링걸쇠턱 11a : 걸쇠홈
12 : 커버걸쇠 13 : 걸림턱
20 : 신축장치 본체 21 : 착탈돌기
22 : 힌지홀 23 : 롤러고정축
30 : 신축장치 바닥판 31 : 혁대물림돌기
32 : 힌지돌기 33 : 착탈편
40 : 판스프링 41 : 판스프링걸쇠
50 : 버클 51 : 버클걸쇠
52 : 버클끼움돌기 60 : 혁대
61 : 혁대삽입공 70 : 롤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신축장치 커버와 신축장치 본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축장치의 동작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축장치의 동작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신축장치(1)는 좌우로 이동되는 신축장치 커버(10)와,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의 저부에 끼워지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신축장치 본체(20)와, 상기 신축장치 본체(20)의 저부의 일측과 힌지돌기(32)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신축장치 바닥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장치 커버(10)는 전방부에 후크(hook) 형상으로 구비되어 버클(50)의 후방부에 구비된 버클걸쇠(51)에 끼워지는 커버걸쇠(12)와, 저부의 일측으로 부터 돌출시키되, 그 중앙부에 걸쇠홈(11a)을 형성한 판스프링걸쇠턱(11)과, 후방부의 양측에 "ㄴ" 형상으로 밴딩된 걸림턱(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장치 본체(20)는 전방부의 양측으로부터 저부로 돌출 형성된 착탁돌기(21)와, 저부의 중앙부에 "」" 형상으로 밴딩된 롤러고정축(23)과, 후방부의 양측으로부터 저부로 돌출 형성된 힌지홀(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장치 본체(20)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의 저부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걸림턱(13)에 의해 후방부가 지지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신축장치 바닥판(30)은 전방부가 90°로 밴딩되어 상기 신축장치 본체(20)의 착탈돌기(21)에 끼움방식으로 착탈되는 착탈편(33)과, 후방부를 수직하게 밴딩시키되, 그 종단부에 상기 혁대(60)가 물릴 수 있도록 스파이크(spike) 형상으로 성형한 혁대물림돌기(31)와, 상기 혁대물림돌기(31)의 양측으로 돌출되게형성되어 상기 신축장치 본체(20)의 힌지홀(22)에 삽입되는 힌지돌기(3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탄성체인 판스프링(40)은 태엽형상으로 롤러(70)에 수회 권취되어 있고, 종단부가 "U" 형상으로 판스프링걸쇠(41)가 밴딩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40)이 권선된 롤러(70)는 상기 신축장치 본체(20)의 롤러고정축(2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걸쇠(41)는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의 저부에 형성된 판스프링걸쇠턱(11)의 걸쇠홈(11a)에 삽입/고정되어 있다.
상기 버클걸쇠(51)에 상기 커버걸쇠(12)를 걸고, 상기 혁대(60)를 상기 혁대물림돌기(31)로 물려 일체형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혁대(60)를 잡고 상기 버클(50)을 당기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40)의 종단부가 연결된 상기 신축장치 커버(10)가 탄력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신축장치고정부재(20)의 롤러고정축(23)에 안착된 롤러(70)가 회전되면서 상기 롤러(70)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판스프링(40)이 신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고정축(23)을 원기둥 현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판스프링(40)의 신축시, 회전되는 상기 롤러(70)의 중심부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40)은 상기 롤러(70)와 판스프링걸쇠턱(11)으로 부터 분리할 수 있어, 상기 판스프링(40)이 이완되어 원활한 작동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4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일반적인 혁대(60)에 본 고안의 자동신축장치(1)를 결합하기 위해 먼저 신축장치 바닥판(30)을 힌지돌기(32)를 축으로 수직하게 회전시키고, 상기 혁대(60)의 종단부를 삽입한 후, 다시 상기 신축장치 바닥판(30)을 수평하게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신축장치 바닥판(30)의 혁대물림돌기(31)가 상기 혁대(60)를 물게되어 유동없이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신축장치 커버(10)의 전방부에 형성된 커버걸쇠(12)를 버클(50) 후방부의 버클걸쇠(51)에 끼워 연결한다.
이 상태로 사용자는 바지 요대부에 착용하기 위해 버클끼움돌기(51)를 혁대삽입공(61)에 끼우게 되는데, 도 4a와 같이 그 위치가 정확하게 맞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버클(50)을 당겨 일정길이 만큼 이동시켜줌으로써, 상기 버클끼움돌기(51)를 상기 혁대삽입공(61)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클(50)을 당기게 되면, 판스프링(40)의 종단부가 연결된 신축장치 커버(10)가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신축장치 고정부재(20)의 롤러고정축(23)에 안착된 롤러(70)가 회전되면서 상기 판스프링(40)이 탄력적으로 신장되는 것이다.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의 이동되는 범위는 상기 상부커버체(10)의 걸림턱(13)에 의해 한정되는데, 상기 걸림턱(13)은 상기 신축장치 고정부재(20)의 힌지홀(22)과 착탈돌기(21)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판스프링(40)의 인출되는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상기판스프링(40)이 과대하게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40)은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와 신축장치 고정부재(20)의 중앙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신축장치 커버(10)를 편심되지 않게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혁대(6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식후 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복부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40)이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복부에 압박감이 가해지는 것과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자동신축장치(1)와 상기 버클(50)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유행에 따라 여러 종류의 버클(50)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통상적인 버클과 혁대 사이에 본 고안의 자동신축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식후나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복부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경우, 판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복부에 압박감이 가해지는 것을 해소시킬 수 있어 복부내의 장기능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운동시 벨트가 느슨해져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이 신축장치 커버와 신축장치 본체의 중앙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자동신축장치를 편심되지 않게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롤러고정축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하고 롤러를 끼움으로써 판스프링의 회전시, 롤러가 마모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신축장치와 버클이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수시로 변화하는 유행에 따라 버클을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일측이 혁대의 종단부를 물려 연결되고, 타측이 버클에 연결되어 신축 가변되는 혁대의 자동신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50)의 후방부에 구비된 버클걸쇠(51)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후크 형상의 커버걸쇠(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저부의 소정위치에 판스프링걸쇠턱(11)이 돌출된 신축장치 커버(10)와;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에 슬라이딩 되게 안착되며 저부에 롤러(70)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롤러고정축(23)이 굴곡 성형되고, 저부의 양측에 힌지홀(22)과 착탈돌기(21)가 각각 돌출된 신축장치 본체(20)와;
    상기 신축장치 본체(20)의 착탈돌기(2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에 착탈편(33)이 형성되고, 타측의 양단에 상기 힌지홀(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돌기(32)가 돌출형성된 신축장치 바닥판(30)과;
    상기 신축장치 바닥판(30)의 힌지돌기(32)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되, 종단부를 상기 혁대(60)가 물릴 수 있도록 스파이크 형상으로 성형한 혁대물림돌기(31)와;
    상기 신축장치 커버(10)의 판스프링걸쇠턱(11)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판스프링걸쇠(41)가 굴곡성형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70)에 수회 권취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판스프링(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KR2020010038863U 2001-12-17 2001-12-17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KR200268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63U KR200268683Y1 (ko) 2001-12-17 2001-12-17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US10/278,381 US6658705B2 (en) 2001-12-17 2002-10-23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for use in belt
CNB021504121A CN1181770C (zh) 2001-12-17 2002-11-08 腰带的交换型自动伸缩部件
EP02257799A EP1319348A3 (en) 2001-12-17 2002-11-13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for use in belt
JP2002007441U JP3094235U (ja) 2001-12-17 2002-11-22 ベルトの交換型自動伸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63U KR200268683Y1 (ko) 2001-12-17 2001-12-17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683Y1 true KR200268683Y1 (ko) 2002-03-16

Family

ID=1971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863U KR200268683Y1 (ko) 2001-12-17 2001-12-17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58705B2 (ko)
EP (1) EP1319348A3 (ko)
JP (1) JP3094235U (ko)
KR (1) KR200268683Y1 (ko)
CN (1) CN1181770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46B1 (ko) 2006-12-08 2008-01-03 김상구 기능성 혁대
KR20150037793A (ko) * 2015-03-19 2015-04-08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WO2019212118A1 (ko) * 2018-04-30 2019-11-07 Kim Yongki 신축 가능한 교환식 버클 결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066B2 (ja) * 1992-01-14 1995-05-10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血液成分分離バッグ及び血液成分の分離方法
US7950072B1 (en) 2005-06-03 2011-05-31 Violet Hanson Reversible belt with slide buckle
EP2010017A2 (en) * 2006-04-03 2009-01-07 X-Ray Management & Licensing Ltd. Buckle mechanism
ITBG20060035U1 (it) * 2006-12-06 2008-06-07 Four R Srl Fibbia per cintura
US20130167288A1 (en) * 2011-12-28 2013-07-04 Lippert Components, Inc. Belt adjustment system
CN114747815A (zh) * 2022-04-06 2022-07-15 大连大杨服装定制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收腰的男士西裤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5441A (en) * 1926-02-04 1926-11-02 Jardin Yter Belt buckle
US2156647A (en) * 1938-07-07 1939-05-02 Swank Products Inc Belt buckle
GB873847A (en) * 1956-11-28 1961-07-26 Agostino Ceruti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elt buckles
KR910005376Y1 (ko) * 1989-07-07 1991-07-25 금학영 버클의 신축장치
JPH0793887B2 (ja) * 1990-10-11 1995-10-1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ベルトの長さ調節具
US5291638A (en) * 1993-03-09 1994-03-08 Huang Han Ching Tightening up device
US5920963A (en) * 1998-06-17 1999-07-13 Chou; An-Chuan Rope fastener
US6101689A (en) * 1999-09-01 2000-08-15 Jo; Alejandro Double clip with self-adjusting jaw
US6393671B1 (en) * 2000-05-26 2002-05-28 Sin-Hsing Chen Elastic belt buck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46B1 (ko) 2006-12-08 2008-01-03 김상구 기능성 혁대
KR20150037793A (ko) * 2015-03-19 2015-04-08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KR101671181B1 (ko) 2015-03-19 2016-11-01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WO2019212118A1 (ko) * 2018-04-30 2019-11-07 Kim Yongki 신축 가능한 교환식 버클 결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9348A3 (en) 2004-11-24
JP3094235U (ja) 2003-06-13
CN1181770C (zh) 2004-12-29
EP1319348A2 (en) 2003-06-18
US6658705B2 (en) 2003-12-09
US20030110597A1 (en) 2003-06-19
CN1426710A (zh)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140B1 (ko) 보철 및 장구의 자동 폐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603786B2 (en) Belt for effective wearing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70973B1 (ko) 척추보조기
KR200268683Y1 (ko)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US7950072B1 (en) Reversible belt with slide buckle
US20150190262A1 (en) Straps for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20190283235A1 (en) Leg belt to effectively support the leg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the same
US10391349B2 (en) Muscle stretching apparatus
KR20190108386A (ko)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신발 고정 유닛을 구비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200486673Y1 (ko)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US4942988A (en) Device to aid in putting on elastic hose
KR20080092203A (ko)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KR101847716B1 (ko) 자동 신장 버클
KR101873676B1 (ko)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KR20120117619A (ko) 파워 워킹 보조기
KR101780497B1 (ko)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427532Y1 (ko) 탄력 신축구조를 가진 허리 벨트용 버클
KR20210006179A (ko) 벨트 고정 장치 및 그 장치가 구비된 버클
CN210698686U (zh) 一种泳镜
KR102263189B1 (ko) 사용자 맞춤형 줄길이 조절장치 및 그 장착방법
KR200208913Y1 (ko)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KR200165804Y1 (ko)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KR101912448B1 (ko) 신축 가능한 교환식 버클 결합 장치
KR200411415Y1 (ko) 우산 착용구
KR200208621Y1 (ko) 허리단용 신축 가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121

Effective date: 2011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