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913Y1 -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913Y1
KR200208913Y1 KR2020000016225U KR20000016225U KR200208913Y1 KR 200208913 Y1 KR200208913 Y1 KR 200208913Y1 KR 2020000016225 U KR2020000016225 U KR 2020000016225U KR 20000016225 U KR20000016225 U KR 20000016225U KR 200208913 Y1 KR200208913 Y1 KR 200208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ders
bag
main body
presen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형
Original Assignee
이동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형 filed Critical 이동형
Priority to KR2020000016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913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멜빵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하지 않을 경우 멜빵이 늘어지지 않는 상태로 단정히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멜빵에 따른 거추장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21)의 후면에 멜빵(22)이 설치되고, 상기 멜빵(22)은 견착부(22a)와 조절부(22b) 및 조절구(22c)로 이루어지는 멜빵가방(20)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22c)가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끈(22d)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구(22c)를 통해 견착부(22a)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견착부(22a)의 타단에 조절부(22b)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22b)의 타단이 탄성적으로 감아 설치되도록 본체의 하단 내부에 출몰장치(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INSTITUTION STRUCTURE FOR SHOULDER STRAP}
본 고안은 멜빵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하지 않을 경우 멜빵이 늘어지지 않는 상태로 단정히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멜빵에 따른 거추장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멜빵가방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멜빵가방(10)은 수납실이 마련된 본체(11)와 그 후방에 설치되는 2개의 멜빵(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멜빵(12)은 그 끝단이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견착부(12a)와, 그 끝단이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조절부(12b), 및 상기 견착부(12a)의 타단에 설치되어 조절부(12b)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구(12c))로 이루어진다.
상기 견착부(12a)는 착용감을 도모하기 위해 보다 두꺼운 쿳션재로 제조되고, 조절부(12b)는 멜빵길이 조정이 자유롭도록 여유있는 길이로 제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멜빵가방(10)을 착용하게 되면 멜빵의 견착부(12a)가 어깨에 안착되는 상태가 되고,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구(12c)를 사용하여 조절부(12b)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착용할 때와는 달리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멜빵(12)은 착용상태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여 늘어진 상태가 되는 까닭에 매우 거추장스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체(11) 상단에 설치된 걸이구(11a)를 사용하여 걸어둘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그러한 환경하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결국 바닥에 비치되는 상태가 되어 거추장스럽게 되고, 외관을 해치게 되며, 나아가 늘어진 멜빵에 발이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하지 않을 경우 멜빵이 늘어지지 않는 상태로 단정히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멜빵에 따른 거추장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는, 그 끝단이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견착부와, 그 끝단이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조절부, 및 멜빵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포함하는 멜빵가방의 멜빵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조절구와, 조절구를 통해 조절되어 남은 견착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견착부상에 형성되는 포켓과, 상기 견착부에 연결된 조절부의 끝단을 감아 탄성적으로 출몰시키도록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출몰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멜빵길이를 상단에서 조절하고 남은 부위는 견착부에 형성된 포켓으로 수용되도록 하여 간단히 하고,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출몰장치의 감개작용에 의해 늘어진 조절부 끈이 감기게 되어 늘어지지 않는 단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착용시에는 출몰장치로 부터 멜빵끈이 인출됨으써 착용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멜빵가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멜빵가방의 후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멜빵가방 21: 본체
22: 멜빵 22a: 견착부
22b: 조절부 22c: 조절구
22d; 설치끈 30,30': 출몰장치
31: 몸체 31a: 출몰홈
32: 고정축 33: 비틀림스프링
34: 회전축 40: 포켓
22b':신축밴드 50: 벨크로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멜빵가방의 후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는, 본체(21)의 후면에 멜빵(22)을 설치되고, 상기 멜빵(22)은 견착부(22a)와 조절부(22b) 및 조절구(22c)로 이루어지는 멜빵가방(20)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22c)가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끈(22d)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구(22c)를 통해 견착부(22a)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견착부(22a)의 타단에 조절부(22b)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22b)의 타단이 탄성적으로 감아져 설치되도록 본체의 하단 내부에 출몰장치(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견착부(22a)의 소정 위치에 포켓(40)이 형성되어 조절구(22c)를 통해 조절되고 남는 견착부(22a)의 길이를 수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몰장치(30)는 본체(21)의 원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외부로 노출되는 출몰홈(31a)이 형성된 몸체(31)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는 고정축(32)과, 상기 고정축에 감합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33),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멜빵의 조절부(22b) 타단을 설치시키는 회전축(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멜빵의 견착부(22a)는 착용감을 도모하기 위해 보다 두꺼운 쿳션재로 제조되고 멜빵길이 조정이 자유롭도록 여유있는 길이로 제조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멜빵가방(20)을 착용하려면 먼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구(22c)를 사용하여 견착부(22a)의 길이를 조절하고, 그 남은 길이의 견착부를 상기 견착부(22a)상에 형성된 포켓(40)으로 수용시킨다.
그런 상태에서 멜빵(22)을 잡아당기게 되면 출몰장치(30)에 이미 감겨져 있는 조절부(22b)가 완전히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착용상태의 멜빵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부(22b)는 출몰장치(30)의 비틀림스프링(33)의 작용으로 회전축(34)에 이미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그 멜빵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회전축(34)에 감긴 조절부(22b)는 비틀림스프링의 텐션력을 극복하면서 출몰홈(31a)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멜빵길이를 늘려 착용하게 되면 멜빵의 견착부(22a)는 포켓(40)으로 수납된 상태가 되어 거추장스럽지 않는 단정한 상태가 되고, 멜빵 자체는 출몰장치(30)의 텐션력에 의해 당겨지는 상태가 되어 보다 안정된 착용감을 얻게 된다.
한편, 착용하지 않을 경우 멜빵가방(20)을 벗어놓게 되면 착용상태로 늘어졌던 멜빵(22)의 길이는 출몰장치(30)를 통해 다시 감겨지게 되어 멜빵이 늘어지게 되는 데서 따르게 되는 제반 문제점이 해소된다.
즉, 멜빵가방(20)을 벗어놓게 되면 착용상태로 늘어졌던 멜빵(22)은 출몰장치(30)의 비틀림스프링(33)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34)이 복귀되는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34)에 설치된 멜빵의 조절부(22b)가 다시 감기게 되어 상기 멜빵은 가방 본체의 후면에 바싹 달라붙는 상태가 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따른 출몰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에 따른 출몰장치(30')는 출몰홈(31a)이 형성된 몸체(31) 내부에 고정축(32)만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축(32)으로 감아지는 멜빵의 조절부는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신축밴드(22b')로 제조되어 상기 고정축(32)을 통해 미리 감아진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착용시 멜빵을 잡아당기면 상기 신축밴드(22b')가 고정축(32)으로 부터 늘어나 풀어지는 상태가 되고, 착용하지 않을 경우 멜빵은 상기 고정축(32)으로 다시 감아지는 상태가 되어 본 고안의 목적을 동일하게 달성하게 된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에 따르면 멜빵의 견착부(22a) 끝단과 소정의 아래 지점에 암수의 벨크로지(50)를 부착시킴으로써 조절구(22c)를 통해 조절되고 남은 상기 견착부(22a)의 여유부가 마무리 처리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조절구(22c) 및 포켓(40) 또는 벨크로지(50)는 멜빵의 견착부(22a)에 설치될 수 있으나, 멜빵의 조절부(22b)상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는, 멜빵길이를 상단에서 조절하고 남은 부위는 견착부에 형성된 포켓으로 수용되도록 하고,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출몰장치의 감개작용에 의해 늘어진 조절부 끈이 감기게 되어 늘어지지 않는 단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늘어지는 멜빵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본체(21)의 후면에 멜빵(22)이 설치되고, 상기 멜빵(22)은 견착부(22a)와 조절부(22b) 및 조절구(22c)로 이루어지는 멜빵가방(20)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22c)가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끈(22d)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구(22c)를 통해 견착부(22a)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견착부(22a)의 타단에 조절부(22b)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22b)의 타단이 탄성적으로 감아 설치되도록 본체의 하단 내부에 출몰장치(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22a)의 소정 위치에 포켓(40)이 형성되어 조절구(22c)를 통해 조절되고 남는 견착부(22a)의 길이가 수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장치(30)는 본체(21)의 원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출몰홈(31a)이 형성된 몸체(31)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는 고정축(32)과, 상기 고정축에 감합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33),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멜빵의 조절부(22b) 타단을 고정 설치시키는 회전축(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KR2020000016225U 2000-06-08 2000-06-08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KR200208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25U KR200208913Y1 (ko) 2000-06-08 2000-06-08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25U KR200208913Y1 (ko) 2000-06-08 2000-06-08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913Y1 true KR200208913Y1 (ko) 2001-01-15

Family

ID=7308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225U KR200208913Y1 (ko) 2000-06-08 2000-06-08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9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36B1 (ko) 2005-08-22 2006-11-23 거화아이엔씨 주식회사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KR100856454B1 (ko) * 2007-01-12 2008-09-04 김문수 배낭용 끈 길이 조절장치
KR102375178B1 (ko) * 2020-12-22 2022-03-15 이현승 보조 결합끈이 구비되는 백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36B1 (ko) 2005-08-22 2006-11-23 거화아이엔씨 주식회사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KR100856454B1 (ko) * 2007-01-12 2008-09-04 김문수 배낭용 끈 길이 조절장치
KR102375178B1 (ko) * 2020-12-22 2022-03-15 이현승 보조 결합끈이 구비되는 백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152B1 (ko) 끈 길이 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마스크
US7848512B2 (en) Personal audio device accessory
JP3965446B2 (ja) 調節式耳掛け用ループと垂下バンドの組合せを備えた顔面マスク
JP3136570U (ja) マスクホルダー
CN111758608A (zh) 隐藏式调节宠物项圈及宠物牵引器
US5116306A (en) Adjustable clavicle strap and orthotic device using same
WO2010098213A1 (ja) 衣装
KR200208913Y1 (ko)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JPH11206896A (ja) 着装帯付顔面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5839628A (en) Folding attachment for shirt backs
WO2014098404A1 (ko) 운동보조기구
JP4368696B2 (ja) マスク
JP2000054208A (ja) 釣 服
JPH0746292Y2 (ja) サポータ
CN211794517U (zh) 可调式口罩固定器
US11766359B1 (en) Sleep mask having ear loops
CN212165033U (zh) 一种小儿上肢骨折手术衣
JP2001060997A (ja) 携帯通信機収納ケース
CN113349476B (zh) 一种腰部和帽口部松紧可调的服装
CN212971730U (zh) 一种改良型成人围嘴
KR200493861Y1 (ko) 아기띠 고정끈이 구비된 육아용품 휴대 가방
CN210642577U (zh) 一种能够灵活调节束紧的儿童服装
KR20120001410U (ko) 목둘레 조절이 가능한 셔츠
JP4901240B2 (ja) 背負い鞄の上部カバーおよび背負い鞄
JP3124300U (ja) エプ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