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736B1 -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 Google Patents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736B1
KR100647736B1 KR1020050076707A KR20050076707A KR100647736B1 KR 100647736 B1 KR100647736 B1 KR 100647736B1 KR 1020050076707 A KR1020050076707 A KR 1020050076707A KR 20050076707 A KR20050076707 A KR 20050076707A KR 100647736 B1 KR100647736 B1 KR 10064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uspenders
band
carrier
susp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897A (ko
Inventor
권진화
Original Assignee
거화아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화아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거화아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7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45C13/385Luggage carriers with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specially adapted for school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의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노출되는 캐리어 손잡이를 적용하고 멜빵이 있는 후방측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를 장착하여 끌고 다닐 수도 있도록 구성된 핸드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에 적용되는 멜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측단부 만을 가방에 고정시킨 멜빵의 내부에 일정 길이의 통로를 구성하되 이 통로의 내부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상태에서 양단이 가방의 상하부에 고정 봉착되는 신축밴드가 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축 밴드의 수축력을 통해 멜빵이 처지지 않고 상시 적절한 당김력과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캐리어로 가방을 끌고 이동하는 경우 가방이 기울어지더라도 멜빵이 지면에 닿아 오염되는 경우를 방지할 뿐 아니라 가방을 메는 타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멜빵의 늘어짐이 방지되어 외관의 간결함과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학생용 가방, 핸드캐리어, 멜빵, 신축밴드.

Description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A shoulder belt structure a carrier for school bag}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캐리어식 학생가방의 이동 시의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멜빵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축밴드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신축밴드가 신장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가방본체 2:캐리어 손잡이
3:이동용 바퀴 10:멜빵본체
11:통로 20:신축밴드
21:고무밴드 22:커버지
23:봉착선 24:상부고리
30:밴드 고정대 40:밴드안내고리
본 발명은 가방의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노출되는 캐리어 손잡이를 적용하고 멜빵이 있는 후방측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를 장착하여 끌고 다닐 수도 있도록 구성된 핸드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에 적용되는 멜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측단부 만을 가방에 고정시킨 멜빵의 내부에 일정 길이의 통로를 구성하되 이 통로의 내부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상태에서 양단이 가방의 상하부에 고정 봉착되는 신축밴드가 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축 밴드의 수축력을 통해 멜빵이 처지지 않고 상시 적절한 당김력과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캐리어로 가방을 끌고 이동하는 경우 가방이 기울어지더라도 멜빵이 지면에 닿아 오염되는 경우를 방지할 뿐 아니라 가방을 메는 타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멜빵의 늘어짐이 방지되어 외관의 간결함과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학생용 가방은 그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을 갖춘 형태로 제작 되고 있다.
이러한 학생용 가방의 공통적인 특징은 모두 들고 다니거나, 어깨에 메고 다녀야 하므로 손잡이 및 어깨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손잡이 및 어깨끈은 비교적 무거운 학생용 가방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학생용 가방은 근자에 들어서 대부분 어깨끈만으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고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거의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짧은 구간의 이동시에도 구지 어깨끈을 사용하여 등에 멘 상태로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교통수단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그대로 메고 있거나 손에 들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어깨와 팔에 많은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그 가방의 내부에 어깨에 부담을 줄 정도의 보관물을 수납하고 다니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이런 상태에서 장기적인 생활을 거듭하면 성장기중의 학생에게 발육을 저해하고 등이 굽는 등 신체발육에 커다란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통상의 학생용 가방의 저면 일측에 이동용 바퀴를 장착하고, 배면에는 상하 승강하는 삽탈식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가방의 이동 시에는 그 손잡이를 인출하여 하부 저면의 바퀴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어깨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대중 교통수단 내에서도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어 통로의 보행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가방을 취급할 수 있는 핸드 캐리어 타입의 학생용 가방이 제안된바 있으나,
그러나 이러한 캐리어식 가방을 끌고 다닐 때 가방이 기울어지는 경우, 등에 메고 다니기에 충분한 길이로 세팅해놓은 멜빵이 바닥으로 늘어져서 지면에 닿기 때문에 멜빵이 더럽혀지거나 면접되는 부분이 쉽게 마모되어 손상이 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 예방을 위해 번거롭게 일일이 멜빵이 지면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해 멜빵의 길이를 조정해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그 외에도 상기 멜빵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 손잡이와 이동용 바퀴를 가방의 멜빵 쪽이 아닌 전면부 쪽으로 배치시켜 가방을 끌고 다닐 때 멜빵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가 등록 실용 20-308823호로 이미 제한된바 있었으나 이는 가방을 끌고 다닐 때 멜빵이 위로 올라오게 되어 오염의 방지는 가능할지 몰라도 멜빵이 외부로 노출되고 멜빵을 탄성적으로 팽팽하게 유지하는 구조가 전혀 없어 멜빵이 자중에 의해 측면으로 처지게 되어 외관이 간결하지 못하게 되고 이동 중 외부의 물체가 멜빵에 걸리게 될 우려가 많아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멜빵이 처지지 않고 상시 적절한 당김력과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캐리어 손잡이로 가방을 끌고 이동하는 경우 가방이 기울어지더라도 멜빵이 지면에 닿아 오염되는 경우를 방지할 뿐 아니라 가방을 메는 타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멜빵의 늘어짐이 방지되어 외관의 간결함과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단부 만을 가방에 고정시킨 멜빵의 내부 에 일정 길이의 통로를 구성하되 이 통로의 내부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상태에서 양단이 가방의 상하부에 고정 봉착되는 신축밴드가 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캐리어식 학생가방의 이동 시의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멜빵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축밴드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책과 노트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가방본체(1)와, 상기 가방본체(1)의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는 캐리어 손잡이(2)와, 가방 본체(1)의 하단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3)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한 길이의 통로(11)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단부만을 상기 가방본체(1)에 고정시키고 하단은 비(非)고정시켜 자유단으로 구성하는 멜빵본체(10)와;
상단이 상부고리(24)를 통해 상기 가방본체(1)의 상단에 연결되고 하단은 가방본체(1)의 측면 하단에 봉착 고정되는 상태로 멜빵본체(10)의 통로(11)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신축밴드(2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신축밴드(20)는 자바라식으로 주름을 부여한 비신축성 직물소재의 커버지(22)의 내부에 고무밴드(21)를 수용하되 봉착선(23)을 통해 커버지(22) 와 고무밴드(21)를 결속하여서 구성되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가방본체(1)의 측면 하단에 봉착 고정되는 신축밴드(20)의 끝단은 가방본체(1)의 측면 하단 부분에 봉착 고정되는 삼각형 형태의 밴드 고정대(30)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가방본체(1)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멜빵본체(10)에서 밑으로 빠져나온 신축밴드(20)를 잡아 줌으로써 신축밴드(20)의 벌어짐이나 처짐을 제어하기 위한 밴드안내고리(40)가 설치된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50)는 신축밴드의 길이 조절구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방본체(1)의 후면부 상측단에 고정된 상부고리(24)를 통해 연결되는 신축밴드(20)는 길이 조절구(50)를 통해 적절한 길이로 즉 가방본체(1)를 끌고 가는 경우 멜빵본체(10)가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당겨지도록 길이가 세팅되어 지는 것이며,
또한 신축밴드(20)는 멜빵 본체(10)의 통로(11)를 빠져나와 밴드안내고리(40)를 거쳐 가방본체(1)의 측면 하단 중간에 봉착 고정되는 삼각형 형태의 밴드 고정대(30)에 봉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에서 신축밴드(20)의 하단을 밴드 고정대(30)고정시킴으로써 멜빵의 지지력이 가방본체(1)의 하단까지 부여되어 가방을 등에 메고 보행하는 경우 가방 하단이 등에 안정되게 밀착되어 유동이 방지됨으로 써 취급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밴드안내고리(40)가 신축밴드(20)를 잡아 지지하게 되는 바 상기 밴드안내고리(40)는 신축밴드(20)의 하단을 가방본체(1)의 측면으로 밀착시키는 기능을 부여하여 멜빵 본체(1)와 신축밴드(20)가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신축밴드(20)는 도 6에서와 같이 자바라식으로 주름을 부여한 비신축성 직물소재의 커버지(22)의 내부에 고무밴드(21)를 수용하고 중간부를 봉착선(23)을 통해 봉착하여서 된 것이어서 등에 메지 않는 경우에는 신장력을 받지 않게 됨으로 커버지(22)는 주름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무밴드(21)의 수축력으로 멜빵본체(10)를 가방본체(1)쪽으로 적절히 당겨줌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가방을 끌고 이동하더라도 멜빵이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가방을 등에 메는 경우 가방의 내용물에 의해 신축밴드(20)에 하중이 가해지면 도 7에서와 같이 하중에 의해 고무밴드(21)가 늘어나고 커버지(22)가 펴지면서 신축밴드(20)가 늘어나게 되지만 커버지(22)의 접혀진 주름이 완전히 펴지는 순간까지만 신장되고 그 이상의 외력은 완전히 펴져 더 이상 늘어날 수 없는 비신축성 소재인 커버지(22)에서 전담하게 되고 고무밴드(21)에는 당김력이 가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신축밴드(20)의 늘어남이 정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커버지(22)는 고무밴드(21)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고무밴드만 구성되는 것에 비해 신축밴드(20)의 미관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지(22)가 고무밴드(21)에 강도보강효과를 주어 멜빵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신축밴드(20)의 늘어남에 한계성을 부여하여 가방의 하중이 크더라도 고무밴드(21)가 과도하게 늘어나 필요한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신축밴드(20)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게 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신축성밴드(20)의 하단부분은 가방 본체의 측면부 끝단 부분에 고정대(30)를 통하여 고정되었기 때문에 가방의 수납부에 의한 하중에도 매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며 본 발명은 학생용 가방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용의 소위 배낭식 가방의 멜빵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신축밴드에 의해 멜빵이 처지지 않고 상시 적절한 당김력과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방을 끌고 이동하는 경우 가방이 기울어지더라도 멜빵이 지면에 닿지 않게 됨으로 오염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가방을 메는 타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멜빵의 늘어짐이 방지되어 외관의 간결함과 취급의 편의성은 물론, 수납부의 하중과는 무관하게 매우 안정성을 갖는 가방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책과 노트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가방본체(1)와, 상기 가방본체(1)의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는 캐리어 손잡이(2)와, 가방 본체(1)의 하단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3)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한 길이의 통로(11)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측단부 만을 상기 가방본체(1)에 고정시키고 하단은 비고정 상태로 구성하는 멜빵본체(10)와;
    상단이 상부고리(24)를 통해 상기 가방본체(1)의 상단에 연결되고 하단은 가방본체(1)의 측면부에 봉착 고정되는 상태로 멜빵본체(10)의 통로(11)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신축밴드(2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20)는 자바라식으로 주름을 부여한 비신축성 직물소재의 커버지(22)의 내부에 고무밴드(21)를 수용하되 봉착선(23)을 통해 커버지(22)와 고무밴드(21)를 일체로 결속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20)의 일단 부분을, 가방본체(1)의 측면부 하단부위에 봉착시킨 밴드 고정대(30)로 연결시킨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1)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멜빵본체(10)의 통로(11)의 하부로 빠져나온 신축밴드(20)를 잡아 줌으로써 신축밴드(20)의 벌어짐이나 처짐을 제어하기 위한 밴드안내고리(40)를 구비한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KR1020050076707A 2005-08-22 2005-08-22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KR10064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07A KR100647736B1 (ko) 2005-08-22 2005-08-22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07A KR100647736B1 (ko) 2005-08-22 2005-08-22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897A KR20050091897A (ko) 2005-09-15
KR100647736B1 true KR100647736B1 (ko) 2006-11-23

Family

ID=3727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707A KR100647736B1 (ko) 2005-08-22 2005-08-22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5441A (ja) * 2021-07-20 2023-02-01 岳峰 李 弾性肩掛けベル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913Y1 (ko) 2000-06-08 2001-01-15 이동형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KR200229142Y1 (ko) 2000-12-13 2001-07-03 주식회사 타이월드 하중 분산용 패드가 부착된 가방용 멜빵
KR200272846Y1 (ko) 2001-11-23 2002-04-20 박병무 핸드캐리어를 구비한 학생용 가방
KR200314779Y1 (ko) 2002-12-31 2003-05-27 옥윤선 가방 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913Y1 (ko) 2000-06-08 2001-01-15 이동형 멜빵가방의 멜빵설치구조
KR200229142Y1 (ko) 2000-12-13 2001-07-03 주식회사 타이월드 하중 분산용 패드가 부착된 가방용 멜빵
KR200272846Y1 (ko) 2001-11-23 2002-04-20 박병무 핸드캐리어를 구비한 학생용 가방
KR200314779Y1 (ko) 2002-12-31 2003-05-27 옥윤선 가방 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897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5428B2 (en) Portable container holder
US3860157A (en) Back pack and frame
US20110132708A1 (en) Flexible luggage organizer
KR102095161B1 (ko) 이중 손잡이 구조를 갖는 접이식 가방
US8123093B2 (en) Book sling
KR200490314Y1 (ko) 상체 착용식 다용도 스트랩 장치
KR100647736B1 (ko) 캐리어식 학생용 가방의 멜빵 구조
US20100314425A1 (en) Carrying strap
US20070142814A1 (en) Foldable garment storage
US9408457B2 (en) Hands-free bag carrying device
CN207100799U (zh) 一种拉杆箱
JP3199144U (ja) 車椅子用バッグ
KR20110011295A (ko) 우산 고정 기구
JP3228974U (ja) 傘ホルダー
KR200272846Y1 (ko) 핸드캐리어를 구비한 학생용 가방
US6484917B1 (en) Backpack assembly for carrying items externally
JP7130820B1 (ja) 腰荷物支え具
JP3157890U (ja) 提げ手付きバッグ
KR200362366Y1 (ko) 여행 가방
KR20110001974U (ko) 우산 고정 기구
KR200489710Y1 (ko) 지류보관용 케이스
JP2019069012A (ja) 運搬補助具
JP2013090749A (ja) 携行用小物入れ
JP2006174999A (ja) 搬送用具
KR20210062968A (ko) 탈부착형 가방 미끄럼 방지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