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746B1 - 기능성 혁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746B1
KR100789746B1 KR1020060124695A KR20060124695A KR100789746B1 KR 100789746 B1 KR100789746 B1 KR 100789746B1 KR 1020060124695 A KR1020060124695 A KR 1020060124695A KR 20060124695 A KR20060124695 A KR 20060124695A KR 100789746 B1 KR100789746 B1 KR 100789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ist band
belt
plat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김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구 filed Critical 김상구
Priority to KR102006012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부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됨과 아울러 가변시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이 회전되므로 흥미를 유발시켜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이고 나아가 회전력을 이용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혁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혁대에 의하면, 착용자의 복부압에 따라 허리밴드의 길이가 가변됨과 아울러 가변시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의 회전판이 회전되고, 이 회전은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흥미를 크게 유발시켜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되는 회전판에 구비된 무게추를 균형이 맞지 않도록 구현하여 불균형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복부 운동에 더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본체에 발광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을 구비하되 회전판의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발광시킬 수도 있으므로 착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혁대, 버클, 허리밴드, 구동판, 리턴스프링, 회전판, 와이어

Description

기능성 혁대{A functionality bel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혁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횡단도이며, "나"는 회전수단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혁대의 분리 횡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횡단면도이며, "다"는 결합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혁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능성 혁대 110 : 버클
120 : 본체 121 : 몸체
122 : 장착부 124 : 제 1중심축
125 : 투시창 126 : 제 1체결부
128 : 제 2체결부 129a : 제 1소공
129b : 제 2소공 130 : 덮개
132 : 제 2중심축 134 : 나사부
140 : 회전수단 142 : 구동판
144 : 나사부 146 : 풀리부
148 : 마찰부 150 : 와이어부재
150a : 제 1와이어 150b : 제 2와이어
152 : 결속단자 154 : 리턴스프링
156 : 회전판 158 : 중심축
160 : 무게추 162 : 마찰부재
170 : 허리밴드 172 : 체결홈
174 : 절개홈 200 : 복부
본 발명은 기능성 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부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됨과 아울러 가변시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이 회전되므로 흥미를 유발시켜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이고 나아가 회전력을 이용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혁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혁대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버클의 종류에 따라 자동식 과 수동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혁대의 착용자는 식전/식후 혹은 호흡의 변화에 따라 복부의 둘레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의 경우 복부가 팽창하게 되면 허리밴드의 일측단부를 고정 해제하여 느슨하게 한 후 다시 고정시켜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조정방법은 사용상 번거로울 뿐 아니라 변화되는 복부의 팽창에 적절히 대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복부압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는 혁대가 종래에도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즉,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9-0006084호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92972호가 그 대표적인 일예이다.
상기 두 종래기술에 의하면, 버클이 복부압에 따라 길이가 자동으로 변화되므로 복부압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는 단점과 함께 운동효과를 나타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부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됨과 아울러 가변시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이 회전되므로 흥미를 유발시켜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혁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수단의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능성 혁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버클; 및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을 통해 내부에 구비된 상기 회전수단과 결합되어 복부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회전수단을 회전시키되, 적어도 일측은 본체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허리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1중심축이 중앙에 구비된 장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허리밴드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 1체결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허리밴드의 타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체결부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후방에 부착되되, 내면 중앙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 2중심축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본체의 덮개에 형성된 제 2중심축의 외주면으로 나사 결합되며, 풀리부와 마찰부로 형성되는 구동판; 상기 풀리부의 우측상단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풀리부의 하면을 따라 본체의 제 1체결부로 돌출되어 허리밴드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와이어와, 상기 풀리부의 좌측하단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풀리부의 상면을 따라 본체의 제 2체결부로 돌출되어 허리밴드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와이어로 구성되어 당김 작동에 의해 구동판을 회전시키는 와이어부재; 상기 구동판과 본체의 덮개 사이에 개재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구동판의 전방에 위치되어 구동판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 1,2중심축 상에 자전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전면부는 회전수단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투시창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판의 마찰부 일면과 이와 접하는 회전판의 일면에는 마찰력이 우수한 마찰부재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원심력이 우수하도록 다수의 무게추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혁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혁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혁대(100)는 크게 버클(110) 및 허리밴드(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클(110)은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20)의 전방에는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140)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투시창(12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허리밴드(170)는 상기 본체(120)의 양 측면으로 각각 결합되어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140)과 각각 연결되되, 적어도 일측은 본체(120)에서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일측이 본체(120)에서 착탈이 되어져야 착용자가 쉽게 혁대(100)를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통상의 혁대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기 허리밴드(170)는 회전수단(140)을 연결한 후 좌우 슬라이딩이 되어야 되므로 이를 구현함에 있어 체결 방법이 종래와 상이함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횡단도이며, "나"는 회전수단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버클(110)은 크게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20)는 다시 몸체(121) 및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몸체(121)는 중앙에 장착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제 1체결부(126)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2체결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22)에는 후방 즉, 내부로 제 1중심축(124)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체결부(126)에는 장착부(122)와 연통되는 제 1소공(129a)이 형성되어 있고, 제 2체결부(128)에는 장착부(122)와 연통되는 제 2소공(129b)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할 회전수단(140)의 제 1,2와이어(150a)(150b)가 돌출될 수 있게끔 구현한 것으로서, 제 1와이어(150a)는 제 1소 공(129a)을 통해 돌출되고, 제 2와이어(150b)는 제 2소공(129b)을 통해 각각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체결부(126)는 허리밴드(170)의 일측이 삽입된 후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 2체결부(128)는 허리밴드(170)의 타측이 삽입되어 좌우 슬라이딩 가능함과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면과 측면이 동시에 개방되어 있다.
상기 덮개(130)는 상기 몸체(121)의 후방에 부착되어 내부를 커버토록 되는데, 내면 중앙에는 외주면에 나사부(134)가 형성되어 있는 제 2중심축(132)이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121)와 덮개(130)에 형성되어 있는 제 1,2중심축(124)(132)의 중앙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도 3의 "가"참조)
상기 회전수단(140)은 크게 구동판(142), 와이어부재(150), 리턴스프링(154) 및 회전판(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판(142)의 중심부는 관통됨과 동시에 나사부(144)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서부터 풀리부(146)와 마찰부(14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풀리부(146)는 단면이 대략 ㄷ자인 통상의 풀리와 유사한 형상이고, 마찰부(148)는 상기 풀리부(146)의 전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원판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148)의 일면 즉, 전면에는 마찰력이 우수한 마찰부재(16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찰부재(162)라 함은 부직포, 고무재질 혹은 엠보싱 등을 포함한다.(도 3의 "나"참조)
상기 와이어부재(150)는 제 1와이어(150a)와 제 2와이어(1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와이어(150a)는 상기 풀리부(146)의 우측상단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풀리부(146)의 하면을 따라 감기되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2와이어(150b)는 상기 풀리부(146)의 좌측하단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측은 풀리부(146)의 상면을 따라 감기되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 1와이어(150a) 및 제 2와이어(150b)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의 풀리부(146)에 감기게 되므로 쉽게 이탈하지 못할 것이며, 외측으로 당기면 구동판(14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와이어(150a)(150b)의 끝단에는 허리밴드(17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속단자(15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도 3의 "나"참조)
상기 리턴스프링(154)은 상기 구동판(142)과 본체(120)의 덮개(130) 사이에 개재된다. 즉, 상기 리턴스프링(154)은 덮개(130)의 제 2중심축(132) 외주면으로 끼움되어 일단은 덮개(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구동판(142)에 고정 부착됨이 바람직하다.(도 3의 "나"참조)
상기 회전판(156)은 상기 구동판(142)의 전방에 위치되며, 전 후방으로 형성된 중심축(158)을 매개로 상기 본체(120)에 형성된 제 1,2중심축(124)(132) 상에 자전력을 가지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156)의 자전력이 우수하도록 중심축(158)과 제 1,2중심축(124)(132)의 결합부에 소형 볼베어링을 추가로 구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56)의 일면 즉, 후면에는 마찰력이 우수한 마찰부재(16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동판(142)에는 전면에 마찰부재(16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56)에는 후면에 마찰부재(162)가 형성되므로 상호 접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판(156)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무게추(160)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무게추(160)는 회전판(156)에 원심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도 3의 "나"참조)
여기서, 도 4를 참조로 하면, 허리밴드(170)의 양단이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허리밴드(170)의 일측은 몸체(121)의 제 1체결부(126)로 삽입되되 돌출되는 회전수단(140)의 제 1와이어(150a)의 결속단자(152)를 체결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체결홈(172)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몸체(121)의 제 2체결부(128)의 상면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현되는데, 제 2체결부(128)에 돌출되어 있는 제 2와이어(150b)의 결속단자(152)를 체결하거나 체결 해제할 수 있도록 끝단부에는 하면이 개방된 절개홈(17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홈(174)은 제 2와이어(150b)의 결속단자(152)를 용이하게 체결함과 동시에 체결된 후에는 그 결속력이 우수하도록 하광상협한 형상으로 형성됨 이 바람직하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혁대의 분리 횡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횡단면도이며, "다"는 결합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체(120)가 몸체(121)와 덮개(130)로 분리되어 있으며, 몸체(121)의 제 1체결부(126) 옆에는 허리밴드(170)의 일측이 구비되어 있고, 제 2체결부(128) 옆에는 허리밴드(170)의 타측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21)와 덮개(130) 사이에는 회전수단(140)이 분리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리턴스프링(154), 구동판(142) 및 회전판(15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판(142)에는 와이어부재(150)의 제 1,2와이어(150a)(150b)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감겨져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기능성 혁대(100)의 결합관계를 설명토록 하겠다.
"나"를 참조로 하면, 먼저, 리턴스프링(154)을 덮개(130)의 제 2중심축(132) 외주면에 끼움하고, 상기 구동판(142)을 덮개(13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중심축(132)에 나사 결합시킨 뒤 리턴스프링(154)의 일단은 덮개(130)에 고정하고, 타단은 구동판(142)에 고정한다. 그리고, 회전판(156)을 제 1중심축(124)과 제 2중심축(132)에 지지되도록 구비시킨 뒤 덮개(130)를 몸체(121)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판(142)과 회전판(156)은 일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음을 인지하여 야 된다.
또한, 구동판(142)에 감겨져 있는 제 1와이어(150a)는 제 1소공(129a)을 통해 제 1체결부(126)로 돌출시키고, 제 2와이어(150b)는 몸체(121)의 제 2소공(129b)을 통해 제 2체결부(128)로 돌출시킨다. 여기서, 제 1,2와이어(150a)(150b)의 돌출 방법을 살펴보면, 조립이 편리하도록 결속단자(152)를 분리한 후 제 1,2와이어(150a)(150b)를 제 1,2소공(129a)(129b)으로 각각 돌출시킨 후 그 끝단부에 결속단자(152)를 부착하거나 혹은 반대로 몸체(12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결속단자(152)가 구비된 제 1,와이어(150a)(150b)를 미리 설치한 후 구동판(142)에 부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허리밴드(170)의 일측과 제 1와이어(150a)의 끝단부를 결속하게 되는데, 제 1와이어(150a)의 결속단자(152)를 제 1체결부(126)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후 허리밴드(170)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72)에 끼워 결속한 후 다시 제 1체결부(126) 내부로 허리밴드(170)의 일측과 함께 삽입된다. 이러한, 결속방법 또한 아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욱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를 참조로 하면, 최종적으로 허리밴드(170)의 타측을 몸체(121)에 형성되어 있는 제 2체결부(128)의 상면을 통해 하향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허리밴드(170)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홈(174)은 제 2와이어(150b)의 결속단자(152)를 체결하게 될 것이다. 물론, 반대로 허리밴드(170)의 타측을 상승시키게 되면 제 2 체결부(128)에서 탈착됨과 동시에 결속했던 제 2와이어(150b)에 대해서도 결속 해제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착용자의 착용이 편리하도록 허리밴드(170)의 타측은 본체(12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되면, 상기 허리밴드(170)의 양 측은 와이어부재(150)의 결속단자(152)를 각각 결속한 채 몸체(121)의 제 1체결부(126) 및 제 2체결부(128) 내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기능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혁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작동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혁대(100)는 착용자의 복부에 통상의 혁대와 마찬가지로 착용되어 있다.
여기서, "나"를 참조로 하면, 착용자가 호흡을 흡입하거나 혹은 강제로 복부(200)를 팽창시키게 됨에 따라 복부(200)가 팽창됨을 알 수 있다. 복부(200)의 팽창에 의해 허리밴드(170)의 양 측면은 외측면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 1와이어(150a) 및 제 2와이어(150b)를 동시에 당기게 될 것이다. 그러면, 와이어부재(150)의 당김 작동에 의해 구동판(14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구동판(142)은 덮개(130)의 제 2중심축(132) 상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함 과 동시에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판(142)과 덮개(1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리턴스프링(154)은 구동판(142)의 전진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
이제, 전진하는 구동판(142)은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판(156)에 일정 거리 이동한 후 밀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판(142)은 회전되고 있으므로 회전판(156)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판(142)과 회전판(156)이 밀접하는 면에는 마찰부재(16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마찰력이 우수하여 구동판(142)은 회전판(156)을 보다 쉽게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고, 아울러 상기 회전판(156)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무게추(16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원심력에 의해 더욱 회전이 잘 될 것이다.
계속해서, "다"를 참조로 하면, 이번에는 착용자의 복부(200)가 "가"의 경우처럼 수축되어 있다. 즉, 복부(200)가 수축하게 되면 허리밴드(170)를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켰던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이번에는 덮개(130)와 구동판(142)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리턴스프링(154)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판(142)은 역회전하면서 덮개(1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판(142)은 비록 후퇴하였지만 이 힘을 전달 받은 회전판(156)은 미약하나마 회전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 뒤, 다시 착용자가 복부(200)를 팽창하게 되면 다시 구동판(14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하여 회전판(156)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상기 회전판(156)은 더욱 강하게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연속 반복하면 상기 회전판(156)은 마치 팽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처음에는 회전판(156)을 쉽게 회전시킬 수 없을 것이지만 지속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 쉽게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회전판(156)의 회전은 몸체(121)에 형성되어 있는 투시창(125)을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혁대(100)에 의하면, 착용자의 복부압에 따라 허리밴드(170)의 길이가 가변됨과 아울러 가변시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140)의 회전판(156)이 회전되고, 이 회전은 투시창(125)을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흥미가 유발되어 지속적으로 회전판(156)을 회전시키고자 복부 팽창 운동을 연속 반복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착용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되는 회전판(156)에 구비되는 무게추(160)를 균형이 맞지 않도록 구현하여 불균형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복부 운동에 더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본체(120)에 발광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을 구비하되 회전판(156)의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발광시켜 착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본체(120) 내에 굴절체 혹은 열에 의해 변하는 색소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회전판(156)의 회전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판(156)과 구동판(142)의 위치를 변경하여 회전되는 회전 판(156)이 복부 가까이서 회전되도록 하여 복부 운동에 더욱 무게를 줄 수 있는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혁대에 의하면, 착용자의 복부압에 따라 허리밴드의 길이가 가변됨과 아울러 가변시 내부에 구비된 회전수단의 회전판이 회전되고, 이 회전은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되는 회전판에 구비되는 무게추를 균형이 맞지 않도록 구현하여 불균형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복부 운동에 더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본체에 발광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을 구비하되 회전판의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발광시켜 착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도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혁대에서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버클; 및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을 통해 내부에 구비된 상기 회전수단과 결합되어 복부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회전수단을 회전시키되, 적어도 일측은 본체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허리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혁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1중심축이 중앙에 구비된 장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허리밴드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 1체결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허리밴드의 타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체결부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후방에 부착되되, 내면 중앙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 2중심축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혁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본체의 덮개에 형성된 제 2중심축의 외주면으로 나사 결합되며, 풀리부와 마찰부로 형성되는 구동판;
    상기 풀리부의 우측상단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풀리부의 하면을 따라 본체의 제 1체결부로 돌출되어 허리밴드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와이어와, 상기 풀리부의 좌측하단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풀리부의 상면을 따라 본체의 제 2체결부로 돌출되어 허리밴드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와이어로 구성되어 당김 작동에 의해 구동판을 회전시키는 와이어부재;
    상기 구동판과 본체의 덮개 사이에 개재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구동판의 전방에 위치되어 구동판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 1,2중심축 상에 자전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혁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부는 회전수단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투시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혁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의 마찰부 일면과 이와 접하는 회전판의 일면에는 마찰력이 우수한 마찰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혁대.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원심력이 우수하도록 다수의 무게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혁대.
KR1020060124695A 2006-12-08 2006-12-08 기능성 혁대 KR100789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695A KR100789746B1 (ko) 2006-12-08 2006-12-08 기능성 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695A KR100789746B1 (ko) 2006-12-08 2006-12-08 기능성 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746B1 true KR100789746B1 (ko) 2008-01-03

Family

ID=3921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695A KR100789746B1 (ko) 2006-12-08 2006-12-08 기능성 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04B1 (ko) 2012-01-30 2012-11-01 박태교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83Y1 (ko) 2001-12-17 2002-03-16 윤정식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KR200324333Y1 (ko) 2003-05-27 2003-08-25 고영호 허리착용 벨트
KR20030076462A (ko) * 2003-05-12 2003-09-26 김병갑 자가발전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갖는 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83Y1 (ko) 2001-12-17 2002-03-16 윤정식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KR20030076462A (ko) * 2003-05-12 2003-09-26 김병갑 자가발전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갖는 벨트
KR200324333Y1 (ko) 2003-05-27 2003-08-25 고영호 허리착용 벨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04B1 (ko) 2012-01-30 2012-11-01 박태교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2328B2 (en) Accessory for glasses
CN203663324U (zh) 蹦床跳布与框架的连接结构及使用该结构的蹦床
US8108973B2 (en) Side buckle of swimming goggles
BR112013000585B1 (pt) Unidade de aperto para uma faixa de suporte de um capacete de proteção, particularmente para engenheiros florestais
US20120058864A1 (en) Physical Work-Out Device with Adjustable Elastic Bands
US11340655B2 (en) Electronic device
KR100789746B1 (ko) 기능성 혁대
US20080229481A1 (en) Decorative Mask
US9814923B2 (en) Wearable device for guiding a line of a fitness apparatus
WO2009075398A1 (en) A functionality belt
KR101304007B1 (ko)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CN104882732B (zh) 一种可穿戴设备
CN205266071U (zh) 一种连接件及可穿戴式电子设备
CN114948641A (zh) 一种用于麻醉科术后快速康复训练装置
CN210924958U (zh) 可穿戴设备
KR20080092203A (ko)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CN210672107U (zh) 一种可调节松紧度的塑身衣
KR101246533B1 (ko) 제자리 뛰기 운동기구
CN216456791U (zh) 一种便于佩戴的游泳眼镜
CN108136250A (zh) 具有调节系统的护目镜
CN108066952B (zh) 带长度调节件
TWM496944U (zh) 可調式鞋
KR200411415Y1 (ko) 우산 착용구
CN220308576U (zh) 一种跑步训练感测装置以及系统
CN218832081U (zh) 一种方便快速穿戴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