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793A -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793A
KR20150037793A KR20150038383A KR20150038383A KR20150037793A KR 20150037793 A KR20150037793 A KR 20150037793A KR 20150038383 A KR20150038383 A KR 20150038383A KR 20150038383 A KR20150038383 A KR 20150038383A KR 20150037793 A KR20150037793 A KR 2015003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elt
frame
hook
buck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3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1181B1 (ko
Inventor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Original Assignee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filed Critical 송광수
Priority to KR102015003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1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3Buckle with fixed prong fixed on a movable element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의 간극을 소거하여 의복 물림 현상을 방지하고,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할 필요가 없도록 벨트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버클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는 연결부재(N)가 형성된 버클(100); 상기 연결부재(N)에 갈고리형으로 연결되는 제1 부재(20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덮개로 결합하는 제2 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200)는 직사각 형상의 제1 면(210); 상기 제1면(210)과 대응하되 갈고리 형상으로 연장되어 면을 형성하는 제2 면(220); 옆면을 이루는 제3 면(230) 및 제4 면(240); 상기 제1면(21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Q)를 갖으며 옆면을 이루는 제5 면(250) 및 제6 면(2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부재(300)는 ㄷ자 형상의 제1 프레임(31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위에 안착되는 제2 프레임(3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상에 형성된 돌출부(Q)의 두께만큼 홈(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Buckle assembly for garments}
본 발명은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클과 벨트 고정부의 연결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도록 벨트 걸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벨트는 버클, 벨트, 벨트를 연결하는 벨트 고정부, 벨트 고정부에 설치된 벨트 걸이부로 이루어진다. 등록특허 10-1336334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버클구조는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벨트 고정부에 일일이 결합시켜야 하는 구조이며, 벨트 고정부를 버클에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을 말아서 형성하는 방식이였기 때문에 이로 인한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는 종래 버클의 제작을 위한 물품 구조를 도시하는데, 버클(10)의 연결부재(N)에 벨트 고정부(40)를 연결하기 위하여, 벨트 고정부(40)의 일면은 그림과 같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도 1의 (b)는 종래 버클(10)과 벨트 고정부(40)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벨트 고정부(40)의 연장된 면을 버클(10)의 연결부재(N)를 감싸도록 말아주며, 마는 과정이 종료된 후에는 벨트 걸이부(50)를 결합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즉, 벨트 걸이부(50)의 형성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비용상승 및 경쟁력 약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도 1의 (c), 도 2 및 도 7(b)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클(10)과 벨트 고정부(40) 사이에 간극(A)이 발생하게 되어 옷 물림현상의 문제가 생기며, 심미적인 면에서도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간극(A)이 발생하는 이유는 버클에 도금처리를 한 후에 조립을 하게 되는데, 도금된 벨트 고정부를 마는 과정에서 너무 강하게 말면 도금이 터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도금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강하게 말수가 없으므로 간극(A)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버클은 구조상 문제로 인하여 제조공정의 복잡화를 야기하여 제품 제조에 따른 비용을 증대시키고,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옷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간극으로 인하여 제품의 완결성을 저하시키므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요청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버클과는 달리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의 간극을 소거하여 의복 물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벨트 고정부 연결방식이 도금 후에 금속을 마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서 제조공정의 복잡화를 야기하므로, 이러한 공정을 단축시켜 제품의 제조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할 필요가 없도록 벨트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버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는 연결부재(N)가 형성된 버클(100); 상기 연결부재(N)에 갈고리형으로 연결되는 제1 부재(20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덮개로 결합하는 제2 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200)는 직사각 형상의 제1 면(210); 상기 제1면(210)과 대응하되 갈고리 형상으로 연장되어 면을 형성하는 제2 면(220); 옆면을 이루는 제3 면(230) 및 제4 면(240); 상기 제1면(21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Q)를 갖으며 옆면을 이루는 제5 면(250) 및 제6 면(2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부재(300)는 ㄷ자 형상의 제1 프레임(31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위에 안착되는 제2 프레임(3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상에 형성된 돌출부(Q)의 두께만큼 홈(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의 버클(100)의 연결부재(N)에 후크(H)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내지 제3 면(230) 및 상기 제2 부재(300)의 제2 프레임(320)상에 후크(H)가 안착될 공간에 해당하는 홈(R)이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부재(200)의 제4 면(240) 에는 벨트 고정부(400)가 연결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는 종래의 문제점인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해소함으로써, 버클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제품 불량률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종래의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공정을 최소화하여 제조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클 어셈블리는 종래의 후크형 버클 뿐만 아니라 자동형 버클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고정형 벨트고정부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한 리버시블 벨트 고정부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버클 제품의 활용도를 다양하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클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버클 어셈블리 사진이다.
도 3은 버클의 안쪽 방향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버클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발명을 버클의 바깥쪽 방향에서 도시한 버클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5는 버클의 안쪽 방향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버클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발명을 버클의 바깥쪽 방향에서 도시한 버클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을 촬영한 사진이고, (b)는 종래의 버클을 촬영한 사진으로서, 두 개의 버클 어셈블리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는 크게 버클(100),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300)로 분별된다. 이를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클(100)에는 연결부재(N)가 형성되는데, 자동형 버클일 경우에는 도 3과 같은 형상이, 후크형 버클일 경우에는 도 5와 같은 형상의 연결부재가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재(200)는 상기 버클(100)의 연결부재(N)에 갈고리형으로 연결된다. 즉, 제1 부재(200)에 형성된 갈고리형상이 버클의 연결부재(N)에 걸리도록한다. 제1 부재(200)는 6면이 모여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제1 면(210)은 직사각 형상이고, 제2 면(220)은 상기 제1면(210)과 마주보는 면으로서 제1 면과는 다르게 갈고리 형상으로 면이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제3 면(230) 및 제4 면(240)은 옆면을 이루는데, 제3 면(230)은 제2 면(220)과 함께 버클의 연결부재(N)를 감싸도록 결합한다. 제3 면(230)과 대응하는 면인 제4 면(240)은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 고정부(400)가 결합한다. 벨트 고정부(400)는 고정식일 수도 있으나, 360°로 회전이 가능한 리버시블 형태일 수도 있다. 제5 면(250)은 상기 제1면(21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Q)를 갖으며, 돌출부(Q)의 돌출높이는 후술할 제2 부재(300)의 두께에 상응한다. 제6 면(260)은 상기 제5 면(25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부재(300)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상에 덮개와 같이 안착되며, ㄷ자 형상의 제1 프레임(31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위에 안착되는 제2 프레임(320)으로 형성된다.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가 결합할 경우, 제2 부재(300)의 수컷이 제1 부재(200)의 암컷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이 제2 부재(300)의 제1 프레임(310)과 핀(P)결합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부재(300)는 몸체의 일부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벨트 걸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별도로 벨트 걸이부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상에 형성된 돌출부(Q)의 돌출높이만큼 홈(K)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버클(100)의 연결부재(N)에 후크(H)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내지 제3 면(230) 및 상기 제2 부재(300)의 제2 프레임(320)상에 홈(R)이 형성된다. 상기 홈(R)은 후크(H)의 두께만큼 절단된 것으로서 후크(H)가 차지하게 될 면적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벨트 고정부를 다른 구조로 제시함으로써 도 7(a)의 사진에서와 같이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벨트 옷 물림 현상이 소거되고, 제품의 심미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와 같이 도금 후 금속을 말아야 하는 과정을 소거함으로써 도금이 터지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게 되고, 상술한 효과를 갖는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벨트 걸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버클 200 : 제1 부재
210 : 제1 면 220: 제2 면
230 : 제3 면 240 : 제4 면
250 : 제5 면 260 : 제6 면
300: 제2 부재 310 : 제1 프레임
320 : 제2 프레임 400 : 벨트 고정부

Claims (3)

  1. 연결부재(N)가 형성된 버클(100);
    상기 연결부재(N)에 갈고리형으로 연결되는 제1 부재(20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덮개로 결합하는 제2 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200)는
    직사각 형상의 제1 면(210);
    상기 제1면(210)과 대응하되 갈고리 형상으로 연장되어 면을 형성하는 제2 면(220);
    옆면을 이루는 제3 면(230) 및 제4 면(240);
    상기 제1면(21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Q)를 갖으며 옆면을 이루는 제5 면(250) 및 제6 면(2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부재(300)는
    ㄷ자 형상의 제1 프레임(31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위에 안착되는 제2 프레임(3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상에 형성된 돌출부(Q)의 두께만큼 홈(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100)의 연결부재(N)에 후크(H)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제2 면(220), 제3 면(230) 및 상기 제2 부재(300)의 제2 프레임(320)에 후크(H)가 안착될 공간에 해당하는 홈(R)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00)의 제4 면(240)에는 벨트 고정부(40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KR1020150038383A 2015-03-19 2015-03-19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KR101671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83A KR101671181B1 (ko) 2015-03-19 2015-03-19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83A KR101671181B1 (ko) 2015-03-19 2015-03-19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793A true KR20150037793A (ko) 2015-04-08
KR101671181B1 KR101671181B1 (ko) 2016-11-01

Family

ID=5303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383A KR101671181B1 (ko) 2015-03-19 2015-03-19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470B1 (ko) * 2015-05-26 2016-08-30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948B1 (ko) * 2016-12-30 2018-05-24 송광수 버클 연결용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83Y1 (ko) * 2001-12-17 2002-03-16 윤정식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KR200314894Y1 (ko) * 1999-05-13 2003-05-27 이정오 혁대용 버클
JP3176744U (ja) * 2012-04-10 2012-07-05 株式会社ホット バックル脱着式連結金具
KR101336334B1 (ko) * 2012-10-04 2013-12-06 송광수 버클 연결용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894Y1 (ko) * 1999-05-13 2003-05-27 이정오 혁대용 버클
KR200268683Y1 (ko) * 2001-12-17 2002-03-16 윤정식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JP3176744U (ja) * 2012-04-10 2012-07-05 株式会社ホット バックル脱着式連結金具
KR101336334B1 (ko) * 2012-10-04 2013-12-06 송광수 버클 연결용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470B1 (ko) * 2015-05-26 2016-08-30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181B1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7801B (zh) 用於提升定位效果的隱形拉鍊頭組合結構及其滑動件
KR101671181B1 (ko)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RU147642U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борочный узел
US9770074B2 (en) Cap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breach hole features an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US9214793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9060574B2 (en) Cap structure having an inner surface concave feature an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TW201909783A (zh) 防水拉鍊布及其防水拉鍊
RU2558060C2 (ru) Зажи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JP5985069B2 (ja) 好ましくはテープ状材料を処理するためのヘル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15617B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covering device for opening of building
US9670987B1 (en) Chain link using a pressed-in member
KR101283420B1 (ko) 홀더핀을 적용한 도어용 윈도우 프레임
US10082165B2 (en) Fastener for bellows, having a male and a female end segment
KR20170114767A (ko) 프로파일 조립 블록
TWM544227U (zh) 拉鍊頭組合結構及其彈性件
JP6355391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KR101652470B1 (ko)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CN102188083B (zh) 用于拉链的下端部限位件
US20190195363A1 (en) Piston ring
CN105599722B (zh) 座椅安全带装置框板
JP2004107016A (ja) エレベーター乗場出入口装置
US20170037990A1 (en) Fastener having an inner undercut region
EP3316723A1 (en) Ring assembly
KR102454457B1 (ko) 미끄럼 베어링
JP2016211232A (ja) カウンターとシンク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