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497B1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0497B1 KR101780497B1 KR1020170050273A KR20170050273A KR101780497B1 KR 101780497 B1 KR101780497 B1 KR 101780497B1 KR 1020170050273 A KR1020170050273 A KR 1020170050273A KR 20170050273 A KR20170050273 A KR 20170050273A KR 101780497 B1 KR101780497 B1 KR 101780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p
- adjusting
- stator
- ball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2—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a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head; to the nec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06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sports articles, e.g. golf clu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조절끈을 수용하는 가이드가 스트랩에 부착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고정자를 이용하여, 단일층의 심재로 이루어지는 조절끈의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으므로 운동 기구의 활용도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공에 연결되는 줄을 간편하게 수납 및 인출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공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을 이용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공을 무릎이나 발의 안쪽으로 차는 경우에 조절끈, 조절끈에 배치되는 조절자 및 상기 조절끈의 끝단에 매달리는 형태의 공 등이 공을 차는 사람의 얼굴에 닿을 정도로 가까이 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타원형, 원통형, 사각형 등의 형상을 가진 공이 사용자의 얼굴에 부딛칠 정도로 튀어 으르기도 한다.
그러므로, 안전이 확보된 구조인 동시에 사용자의 눈에 부담감과 피로를 가하지 않을 정도로 설계되어져 사용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출원인은 2016년 8월 30일자의 특허출원 제10-2016-0110435호에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퍼슬라이더(20'), 연결자(30'), 고정자(40'), 조절끈(50') 및 공(B)을 포함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장치를 제안한 적이 있다.
그런데, 위 운동 장치는 우수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조절끈(50')에 고정자(40')가 누르는 흔적이 남거나 지퍼슬라이더(20')의 구조가 다소 복잡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또, 지퍼슬라이드(20')가 봉제되는 경우는, 상품 또는 상표의 로고를 외관에 부착하는 것이 어렵고 전체적으로 두께가 고르지 않으며 강도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트랩에 형성되는 다양한 가이드를 개시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조절끈을 위아래로 자유로이 이동시키고 제 자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고정자를 구비한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는, 인체의 목에 걸기 위한 탄력성 있는 재질의 스트랩; 공과 연결되며, 강도가 강하고 인장력이 우수한 심재를 포함하는 조절끈; 조절끈을 수용하며, 상기 스트랩을 둘러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를 고정하여 눌러 조절끈을 수용한 가이드가 스트랩에서 외부로 나올 때 안정되게 지지하는 연결자; 및 조절끈을 늘이거나 줄일 때 제자리에서 조절끈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고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내부가 빈 금속 재질의 파이프 스프링 또는 중공형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튜브이고, 스트랩의 전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안착되며, 가이드의 빈 공간을 통해 조절끈이 삽입되고, 가이드를 스트랩에 부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품이나 상표 로고가 인쇄된 접착층을 구비한 탄력성의 벨트층을 스트랩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인체의 목에 걸기 위한 탄력성 있는 재질의 스트랩; 공과 연결되며, 강도가 강하고 인장력이 우수한 심재를 포함하는 조절끈; 조절끈을 수용하며, 상기 스트랩을 둘러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를 고정하여 눌러 조절끈을 수용한 가이드가 스트랩에서 외부로 나올 때 안정되게 지지하는 연결자; 및 조절끈을 늘이거나 줄일 때 제자리에서 조절끈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고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스트랩의 내부에 직경이 작은 통과홈으로 상기 스트랩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고정자는 상면에는 대략 사각형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오목홈의 중간 부분에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입구부터 출구까지 전체 길이에 걸쳐 조절끈이 통과하는 경로가 바닥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하우징; 상기 통과홀을 통하여 강제로 압입되는 크기를 가지는 푸쉬플레이트; 하우징의 상기 오목홈을 폐쇄하며, 중앙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관통홀이 형성된 폐쇄플레이트; 및 다이얼과 다이얼의 중앙 부분에서 하향 연장된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푸쉬플레이트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조절다이얼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다이얼을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드가 푸쉬플레이트를 경유하여 조절끈을 눌러 조절끈의 위치를 고정하고, 제1방향과 반대의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드가 상승하여 상기 조절끈이 위아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 고정자에는 공을 찬 횟수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공 내부에는 공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고정자에는 조절끈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충격량과 회전 각도가 소정치 이상일 때 카운터를 계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동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절끈은 심재로 이루어지는 단일층의 구조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자는 본체, 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고정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본체 상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고정부의 일측 상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수직 관통홀 및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회전축 상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회전부, 중심회전부의 일측 상에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 및 중심회전부의 타측 상에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자는 길이 방향홈을 통해 조절끈이 통과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길이가 상이하도록 제작되어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누름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자는 고정자의 하우징의 홀의 일단부를 통해서 결합되며, 복수의 날개를 형성한 탄성편, 및 하우징의 홀의 타단부를 통해서 결합하며 내경이 빈 동공으로 되어 있는 회전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홀을 통해서 전진하여 상기 동공이 상기 탄성편의 날개를 외부에서 수용함으로써 조여 조절끈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로드가 상기 홀을 통해서 후퇴하면 상기 동공이 상기 탄성편의 날개에서 벗어남으로써 조절끈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자는 고정체와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는 플랜지와, 플랜지 앞의 나사산과, 나사산 전방의 통과홈이 형성된 팁부를 포함하며, 조절끈은 상기 통과홈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체의 나사산과 치합하기 위한 나사산 및 상기 고정체의 팁부의 외주면과 맞닿아 결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일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전진하면서 상기 경사면이 팁부의 외주면을 눌러 상기 통과홈이 조여지며 조절끈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는 타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후퇴하면서 상기 경사면이 팁부의 외주면에서 벗어나 상기 통과홈이 확개하여 조절끈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제작이 간편하며,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은 스트랩의 디자인을 변경하여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조절끈의 위치를 변경하고 제자리에 고정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출원인의 선행 특허 출원의 공을 이용한 운동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에서의 가이드와 조절끈의 관계를 도시한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가이드 및 조절끈의 단면을 도시한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에서의 가이드와 조절끈의 관계를 도시한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가이드 및 조절끈의 단면을 도시한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1)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트랩(2), 연결자(3), 고정자(4) 및 조절끈(5)과 볼(B)을 포함한다.
스트랩(2)은 인체의 목에 걸기 위한 것이며, 탄력성 있는 고무 또는 합성 플라스틱이나 천으로 제작된다.
조절끈(5)은 가이드(50)에 수용되고, 연결자(3)는 가이드(50)를 고정하여 눌러 조절끈(5)을 수용한 가이드(50)가 스트랩(2)에서 외부로 나올 때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자(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자(4)는 사용자가 조절끈(5)을 늘이거나 줄였을 때 조절끈(5)을 제 자리에서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끈(5)은 공(B)과 연결된다. 조절끈(5)은 강도가 강하고 인장력이 우수한 가느다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조절끈의 직경은 예를 들어 0.7mm 내지 2mm일 수 있다.
조절끈(5)은 가이드(50)에 수용되는데, 가이드(50)는 내부가 빈 금속 재질의 파이프 스프링 또는 중공형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튜브일 수 있다. 가이드(50)는 스트랩(2)의 전체 내주면을 따라 부착 고정되어 있다. 조절끈(5)을 가이드(50)의 출구(52)를 통하여 삽입하여 내부로 밀어 넣으면 조절끈(5)은 스트랩(2)에 설치된 가이드(5)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점점 스트랩(2)의 내주면에 권취된다. 조절끈(5)을 더 이상 밀어 넣을 수 없는 지점은 조절끈(5)이 스트랩에 완전히 한 바퀴 감긴 상태이며, 이 경우 공(B)은 가장 높은 위치에 있고, 사용자는 머리나 가슴으로 공을 이용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역으로, 이 상태에서 조절끈(5)을 가이드(50)의 출구(52)를 통하여 외부로 빼내면 스트랩(2)의 내주면을 따라 권취된 조절끈(5)이 점점 밖으로 인출되기 시작한다. 이용자는 적절한 지점에서 인출을 멈추고 허벅지, 무릎 또는 발목이나 발등으로 공을 이용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조절끈(5)과 공(B)과의 연결은 예를 들어 특허출원 제10-2016-0110435호에 개시한 것과 같이 갈고리를 통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2)에서의 가이드(50)와 조절끈(5)의 관계를 도시한 A-A단면도이다.
스트랩(2)의 전체 내주면을 따라 도시하지 않은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가이드(50)가 안착되어 있다. 가이드(50)의 빈 공간을 통해서는 조절끈(5)이 삽입된다. 가이드(50)를 부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품이나 상표 로고가 인쇄된, 접착층을 구비한 탄력성의 벨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층을 스트랩(2)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접착하면, 가이드(50)는 스트랩(2)과 벨트층 사이에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벨트에 다양한 색상, 마크 또는 표식을 부가하면 미관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접착형의 벨트 대신 예를 들어 지퍼를 이용하여 봉제하거나,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벨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2), 가이드(50) 및 조절끈(5)의 단면을 도시한 B-B 단면도이다.
도 3a와 달리 가이드(50)는 다른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스트랩(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스트랩(2)은 폐쇄형으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 직경이 작은 통과홈(22)을 형성하고, 상기 통과홈(22)을 통해 조절끈(5)이 수용되도록 하고 있다. 조절끈(5)은 스트랩(2)과 이종 소재는 물론 동일한 소재, 예를 들어 두 부재 모두 합성수지나 천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스트랩(2)에 가이드(5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더욱 간편하며,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b는 조립된 고정자(4)의 측면도이다.
고정자(4)는 크게 하우징(40), 푸쉬플레이트(416), 폐쇄플레이트(406) 및 조절다이얼(400)을 포함한다.
하우징(40)은 본체에 해당하며,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이고,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하우징(40)의 상면에는 대략 사각형의 오목홈(46)이 형성되고, 오목홈(46)의 중간 부분에는 통과홀(48)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0)에서 돌출한 입구(42)부터 하우징(40)의 출구(44')까지 전체 길이에 걸쳐서는 조절끈(5)이 통과하는 경로(44)가 하우징(4)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경로(44)는 조절끈(5)을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는 터널일 수 있다. 경로(44)는 통과홀(48) 때문에 하우징(40) 중앙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되지만, 하우징(40)의 다른 부분에서는 노출되지 않는다. 조절끈(5)은 하우징(40)의 입구(42)에서 출구(44')까지 수용되면서 고정자(4)를 통과한다.
푸쉬플레이트(416)는 작은 사각형의 판으로 통과홀(48)을 통하여 강제로 압입되도록 통과홀(48)의 폭 또는 길이와 유사한 수치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사용자가 푸쉬플레이트(416)를 손으로 가압하여 누르면, 푸쉬플레이트(416)는 통과홀(48)을 통하여 하우징(40) 내부로 일정 길이 진입하지만, 통과홀(48)의 크기와 비슷하므로 하우징(40)의 바닥까지 내려가지 않으며, 바닥과 소간격, 예를 들어 3mm 정도의 높이차가 있는 곳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직경이 0.7mm 내지 2mm인 조절끈(5)은 위 아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폐쇄플레이트(406)는 사각형의 판으로 하우징(40)의 오목홈(46)을 폐쇄한다. 폐쇄플레이트(406)에는 사선 방향으로 대향하여 두 개의 홀(410)이 형성되고 홀(410)을 통하여 나사(412)가 하우징(40)의 홀에 체결된다. 폐쇄플레이트(406)의 중앙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관통홀(408)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다이얼(400)은 원형의 다이얼(402)과 다이얼(402)의 중앙 부분에서 하향 연장된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404)를 포함한다. 다이얼(402)의 외주를 둘러서는 원형의 슬롯(402')이 4개 형성되어 다이얼(402)을 돌릴 때의 기능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로드(404)는 관통홀(408)을 통과하여 푸쉬플레이트(416)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도 4b의 측면도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4)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조절끈(5)을 위 아래로 이동시킨 후 조절끈(5) 위치를 고정시켜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다이얼(402)을 화살표 방향(A),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조절다이얼(400)이 화살표 방향(A')으로 하강하여 로드(404)가 푸쉬플레이트(416)를 누르며, 푸쉬플레이트(416)는 경로(44)에서 노출된 조절끈(5)을 누른다. 다이얼(402)을 더 회전시키면 조절끈(5)은 푸쉬플레이트(416)와 하우징(40) 바닥 사이에서 압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로드(404)는 관통홀(408)의 나사산과 치형 결합하여 상하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안심하고 조절된 공(B)의 위치에서 운동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조절끈(5)을 위 아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다이얼(402)을 화살표 방향(B),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조절다이얼(400)이 화살표 방향(B')으로 상승하여 로드(404)가 푸쉬플레이트(416)를 누르는 위치에서 멀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유로이 조절끈(5)을 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의 넓은 플레이트로 조절끈(5)을 가압하므로 조절끈(5)에 누르는 흔적이 남거나 조절끈(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출원 제10-2016-0110435호는 조절끈(50')으로서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심재 및 심재를 둘러싸는 우레탄 재질의 이중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끈(5)으로 심재만을 이용해도 누름 흔적이 남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고정자(4)에 대해서는 다른 변형례가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푸쉬플레이트(416)를 로드(404)의 끝단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또는, 다이얼(402)의 상부에 손잡이와 같은 노브를 두고 다이얼(402) 외주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오목홈(46)을 그 주변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으로 제작하여 노브를 돌려 조절끈(5)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방식으로 조절다이얼(400)을 직접 하우징(4)에 체결하는 변경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4)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자(4)는 방패 형상의 본체(410a), 본체(410a)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420a), 고정부(420a)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본체(410a) 상에 결합되는 회전축(430a) 및 고정부(420a)의 일측 상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440a)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410a)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수직 관통홀(411a) 및 상기 본체(410a) 상에 형성되는 설치홈(413a)을 포함한다.
고정부(420a)는 회전축(430a) 상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회전부(421a), 중심회전부(421a)의 일측 상에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423a) 및 중심회전부(421a)의 타측 상에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425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관통홀(411a)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절끈(50a)은 고정부(420a)의 운동을 통해서 해제 가능한 상태가 된다.
고정부(420a)를 통해 조절끈(50a)을 고정 및 해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조절끈(50a)을 해제하여 자유롭게 이동가능 하게 하기 위해서는, 누름부(423a)를 설치홈(413a)의 내측을 향하여 사용자가 가압한다.
조절끈(50a)을 가압하여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누름부(423a)를 가압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토션 스프링(440a)에 저장된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가압부(425a)가 조절끈(50a)을 가압하는 상태로 원상 복귀한다. 상기 가압부(425a) 상에는 톱니 형상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조절끈(50a)에 대한 고른 압박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4)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자(4)는 하우징 본체(4020)의 오목 공간(4008)에 플레이트 수용부(4010)를 형성하고, 플레이트 수용부(4010)를 누름판(4006)이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 결합판(4002)은 오목 공간(4008)을 폐쇄한다. 누름판(4006)의 길이 방향홈을 통해서는 조절끈(5)이 통과한다.
레버(4000)가 누름판(4006)의 상면위에 설치되는데, 레버(4000)의 적어도 손잡이(4030)는 결합판(4002)의 윈도우(400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레버(4000)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을 통해 하우징 본체(4020)에 연결된다.
레버(40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길이가 같지 않으며, 반경(R1)이 가장 작고, 반경(R2)이 반경(R1)보다 크며, 반경(R3)이 반경(R2)보다 큰 편심형 또는 캠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출된 손잡이(4030)를 위로 올리면 레버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레버(4000)의 직경이 큰 부분이 누름판(4006)을 누르고, 손잡이(4030)를 아래로 누르면 레버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직경이 작은 부분이 누름판(4006)을 누르게 된다.
즉, 레버(4000)를 위로 올리면 누름판(4006)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므로 조절끈(5)이 고정되며, 레버(4000)를 아래로 당기면 누름판(4006)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아지므로 조절끈(5)이 해제된다. 이러한 회동형의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조절끈(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4)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5000)의 홀의 일단부를 통해서 탄성편(5002)이 결합된다. 탄성편(5002)은 그 확대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3개의 날개(5004)를 형성하고, 날개(5004) 사이의 관통홀을 통해서 조절끈(5)이 인입 또는 인출되고 있다.
하우징(5000)의 홀의 다른편을 통해서는 회전로드(5010)가 삽입된다. 회전로드(5010)는 헤드(5012)와 나사부(5014)를 포함하며, 나사부(5014)는 내경이 빈 동공(5016)으로 되어 있고, 동공(5016)은 탄성편(5002)의 날개(5004)를 강제로 외부에서 수용하기에 적절한 크기를 가진다. 하우징(5000)의 홀에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로드(5010)를 홀을 통해 삽입하면서 오른쪽으로 돌리면 회전로드(5010)가 전진하면서 그 동공(5016)이 3개의 날개(5004)를 점점 외부에서 수용하면서 날개(5004)를 조이게 된다. 조여진 날개(5004)에 의하여 조절끈(5)의 위치가 고정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회전로드(5010)를 왼쪽으로 돌리면 회전로드(5010)가 후퇴하면서 3개의 날개(5004)가 동공(5016)에서 점차 벗어나게 되면서조임이 해제되고, 조절끈(5)은 위 아래로 당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볼트를 조이고 해제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끈(5)의 조임과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점에 제 4실시예의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4)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의 도시는 이를 생략하였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와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다.
고정자(4)는 고정체(4060)와 회전체(4050)를 포함한다.
고정체(4060)의 플랜지에는 발포제가 삽입되어 있고, 플랜지 앞에 나사산(4064)이 형성되고, 그 전방의 팁부(4065)에는 통과홈(4066)이 형성되어 있다. .
회전체(4050)의 하부에는 나사산(4064)와 치합하기 위한 나사산(4054)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052)은 팁부(4065)의 외주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부분이다.
조절끈(5)은 회전체(4050)의 중앙홀과 고정체(4060)의 통과홈(4066)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체(4050)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회전체(4050)가 전진하고 나사산(4054,4064)이 치합하면서 회전체(4050)의 경사면(4052)이 팁부(4065)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눌러 통과홈(4066)이 조여지며 조절끈(5)의 위치가 고정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회전체(4050)를 왼쪽으로 돌리면 회전체(4050)가 후퇴하면서 회전체(4050)의 경사면(4052)이 팁부(4065)의 외면에서 점점 벗어나 통과홈(4066)이 확개되어 조절끈(5)은 위 아래로 당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볼트를 조이고 해제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끈(5)의 조임과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점에 제 5실시예의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1)의 활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조절끈(5)을 위아래로 이동시키고 공(B)의 높이를 고정시킨 후 가슴, 허벅지, 무릎 또는 발등이나 발목으로 공(B)을 차면서 운동할 수 있다.
고정자(4)에는 공을 찬 횟수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D)가 설치되어 있다. 공(B)내부의 센서(S)는 공(B)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고, 고정자(4)의 센서(미도시)에는 조절끈(5)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충격량과 회전 각도가 소정치 이상일 때 카운터를 계수하여 디스플레이(D)를 통해 운동 횟수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는 실제 운동 횟수를 알게 되므로 목표 운동량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포함한 운동 경과 및 효율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2): 스트랩 (4): 고정자
(5): 조절끈 (B):공
(5): 조절끈 (B):공
Claims (10)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로서, 상기 운동 기구는
인체의 목에 걸기 위한 탄력성 있는 재질의 스트랩;
공과 연결되며, 강도가 강하고 인장력이 우수한 심재를 포함하는 조절끈;
조절끈을 수용하며, 상기 스트랩을 둘러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를 고정하여 눌러 조절끈을 수용한 가이드가 스트랩에서 외부로 나올 때 안정되게 지지하는 연결자; 및
조절끈을 늘이거나 줄일 때 제자리에서 조절끈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고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내부가 빈 금속 재질의 파이프 스프링 또는 중공형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튜브이고, 스트랩의 전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안착되며, 가이드의 빈 공간을 통해 조절끈이 삽입되고, 가이드를 스트랩에 부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품이나 상표 로고가 인쇄된 접착층을 구비한 탄력성의 벨트층을 스트랩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로서, 상기 운동 기구는
인체의 목에 걸기 위한 탄력성 있는 재질의 스트랩;
공과 연결되며, 강도가 강하고 인장력이 우수한 심재를 포함하는 조절끈;
조절끈을 수용하며, 상기 스트랩을 둘러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를 고정하여 눌러 조절끈을 수용한 가이드가 스트랩에서 외부로 나올 때 안정되게 지지하는 연결자; 및
조절끈을 늘이거나 줄일 때 제자리에서 조절끈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고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스트랩의 내부에 직경이 작은 통과홈으로 상기 스트랩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면에는 사각형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오목홈의 중간 부분에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입구부터 출구까지 전체 길이에 걸쳐 조절끈이 통과하는 경로가 바닥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하우징;
상기 통과홀을 통하여 강제로 압입되는 크기를 가지는 푸쉬플레이트;
하우징의 상기 오목홈을 폐쇄하며, 중앙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관통홀이 형성된 폐쇄플레이트; 및
다이얼과 다이얼의 중앙 부분에서 하향 연장된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푸쉬플레이트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조절다이얼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다이얼을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드가 푸쉬플레이트를 경유하여 조절끈을 눌러 조절끈의 위치를 고정하고, 제1방향과 반대의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드가 상승하여 상기 조절끈을 위아래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끈은 심재로 이루어지는 단일층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는 공을 찬 횟수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공 내부에는 공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고정자에는 조절끈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충격량과 회전 각도가 소정치 이상일 때 카운터를 계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동 횟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본체, 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고정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본체 상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고정부의 일측 상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수직 관통홀 및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회전축 상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회전부, 중심회전부의 일측 상에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 및 중심회전부의 타측 상에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길이 방향홈을 통해 조절끈이 통과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길이가 상이하도록 제작되어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누름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2항에 있어서,
고정자의 하우징의 홀의 일단부를 통해서 결합되며, 복수의 날개를 형성한 탄성편, 및 하우징의 홀의 타단부를 통해서 결합하며 내경이 빈 동공으로 되어 있는 회전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홀을 통해서 전진하여 상기 동공이 상기 탄성편의 날개를 외부에서 수용함으로써 조여 조절끈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로드가 상기 홀을 통해서 후퇴하면 상기 동공이 상기 탄성편의 날개에서 벗어남으로써 조절끈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고정체와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는 플랜지와, 플랜지 앞의 나사산과, 나사산 전방의 통과홈이 형성된 팁부를 포함하며,
조절끈은 상기 통과홈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체의 나사산과 치합하기 위한 나사산 및 상기 고정체의 팁부의 외주면과 맞닿아 결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일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전진하면서 상기 경사면이 팁부의 외주면을 눌러 상기 통과홈이 조여지며 조절끈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는 타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후퇴하면서 상기 경사면이 팁부의 외주면에서 벗어나 상기 통과홈이 확개하여 조절끈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0273A KR101780497B1 (ko) | 2017-04-19 | 2017-04-19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PCT/KR2018/003053 WO2018194269A1 (ko) | 2017-04-19 | 2018-03-15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0273A KR101780497B1 (ko) | 2017-04-19 | 2017-04-19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0497B1 true KR101780497B1 (ko) | 2017-10-10 |
Family
ID=6019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0273A KR101780497B1 (ko) | 2017-04-19 | 2017-04-19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0497B1 (ko) |
WO (1) | WO201819426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3806B1 (ko) | 2018-02-20 | 2019-06-11 | 조위현 | 공 운동기구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21829A (en) | 1977-04-11 | 1978-10-24 | Victor Petrusek | Kick ball game |
WO1996001669A1 (en) | 1994-07-12 | 1996-01-25 | Bradley David Hauter | Soccer training belt for use with a cord suspended soccer ball |
KR200208049Y1 (ko) | 2000-07-10 | 2000-12-15 | 최봉규 | 휴대폰용 목걸이줄의 안전장치 |
KR200298839Y1 (ko) | 2002-10-04 | 2003-01-14 | 조위현 | 운동보조기구 |
KR200310302Y1 (ko) | 2003-01-22 | 2003-04-21 | 윤원중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KR200316633Y1 (ko) | 2003-03-15 | 2003-06-18 | 송용법 | 신발끈 고정구 |
KR200379513Y1 (ko) | 2004-12-24 | 2005-03-18 | 김관수 | 줄넘기용 손잡이 |
WO2010048267A1 (en) | 2008-10-22 | 2010-04-29 | Elder James C | Device and method for ball-handling-skills training |
KR101086273B1 (ko) | 2010-02-26 | 2011-11-24 | 최희만 | 등산용 보행보조구 |
KR101260638B1 (ko) | 2012-12-18 | 2013-05-03 | 조위현 | 운동보조기구 |
US20160310815A1 (en) | 2015-04-21 | 2016-10-27 | Scott Peter Anderson | Elastic tethered practice ball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993Y1 (ko) * | 1994-12-27 | 1997-04-08 | 여영극 | 놀이용 공 |
-
2017
- 2017-04-19 KR KR1020170050273A patent/KR1017804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15 WO PCT/KR2018/003053 patent/WO201819426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21829A (en) | 1977-04-11 | 1978-10-24 | Victor Petrusek | Kick ball game |
WO1996001669A1 (en) | 1994-07-12 | 1996-01-25 | Bradley David Hauter | Soccer training belt for use with a cord suspended soccer ball |
KR200208049Y1 (ko) | 2000-07-10 | 2000-12-15 | 최봉규 | 휴대폰용 목걸이줄의 안전장치 |
KR200298839Y1 (ko) | 2002-10-04 | 2003-01-14 | 조위현 | 운동보조기구 |
KR200310302Y1 (ko) | 2003-01-22 | 2003-04-21 | 윤원중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KR200316633Y1 (ko) | 2003-03-15 | 2003-06-18 | 송용법 | 신발끈 고정구 |
KR200379513Y1 (ko) | 2004-12-24 | 2005-03-18 | 김관수 | 줄넘기용 손잡이 |
WO2010048267A1 (en) | 2008-10-22 | 2010-04-29 | Elder James C | Device and method for ball-handling-skills training |
US20110201458A1 (en) | 2008-10-22 | 2011-08-18 | Elder James C | Device and Method for Ball-Handling-Skills Training |
KR101086273B1 (ko) | 2010-02-26 | 2011-11-24 | 최희만 | 등산용 보행보조구 |
KR101260638B1 (ko) | 2012-12-18 | 2013-05-03 | 조위현 | 운동보조기구 |
US20160310815A1 (en) | 2015-04-21 | 2016-10-27 | Scott Peter Anderson | Elastic tethered practice ball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3806B1 (ko) | 2018-02-20 | 2019-06-11 | 조위현 | 공 운동기구 |
WO2020054950A1 (ko) * | 2018-02-20 | 2020-03-19 | 조위현 | 공 운동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94269A1 (ko) | 2018-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87217B1 (en) | Strap attachment device | |
US5595559A (en) | Muscle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 |
US4019734A (en) | Elastic pull type isotonic/isometric exerciser | |
US8323127B2 (en) | Sports throwing training device | |
US5489251A (en) | Exercise device | |
US7955239B2 (en) | Portable exercise apparatus | |
US7935006B2 (en) | Soccer ball and removable spin training tether | |
US8246480B2 (en) | Golf ball holding structure | |
US6575883B1 (en) | Exercise wheel assembly | |
US8956239B2 (en) | Golf ball holding structure | |
US4021035A (en) | Knee ball exercise game apparatus | |
US2928678A (en) | Golf grip guide | |
US8852015B1 (en) | Golf training aid | |
US8317662B2 (en) | Grip trainer | |
KR101780497B1 (ko)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
US3072402A (en) | Duplex apparatus for skipping and jumping rope | |
KR200268683Y1 (ko) | 혁대의 교환형 자동신축장치 | |
US20040018922A1 (en) | Resistance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 |
US8550930B1 (en) | Relative hip motion athle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 |
US6210303B1 (en) | Golf exercise device | |
KR200310302Y1 (ko) |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 |
US3785645A (en) | Elastic band type exercising device | |
EP2092965A2 (en) | Ball training apparatus | |
KR20020000039A (ko) | 유희용구 | |
JP5150961B2 (ja) | トレーニング用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