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993Y1 - 놀이용 공 - Google Patents

놀이용 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993Y1
KR970002993Y1 KR2019940038233U KR19940038233U KR970002993Y1 KR 970002993 Y1 KR970002993 Y1 KR 970002993Y1 KR 2019940038233 U KR2019940038233 U KR 2019940038233U KR 19940038233 U KR19940038233 U KR 19940038233U KR 970002993 Y1 KR970002993 Y1 KR 970002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lay
present
air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210U (ko
Inventor
여영극
Original Assignee
여영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영극 filed Critical 여영극
Priority to KR2019940038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993Y1/ko
Publication of KR960020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6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with reflect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0Games with thread-suspended or swingably-mounted bodies, e.g. balls, pointed bodies shaped as birds, animals, or the like, for aiming at and hitting targets ; Games using tethered bodies, e.g. bal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63B69/0086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the line or cord being attached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놀이용 공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정구에 대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편에 대한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 2 : 연결끈
3 : 고정구 4 : 고리부
5,5a : 발성구 6 : 체크밸브
7 : 매듭 8 : 결합편
9 : 스프링 10 : 작동간
본 고안은 주로 어린이나 아동들이 유희용이나 완구용으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놀이용 공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통상의 공의 일단부에 연결끈을 묶어주므로서 공놀이 도중 공이 임의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고, 공놀이를 할 경우 외력을 가하면 발성음이 발산되도록 하며, 평상시는 일반적인 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유희성과 오락성을 일층 개선한 것이다.
통상 어린이들이 공놀이를 할 경우는 공을 발로 차거나 손으로 던져서 서로간에 공격 또는 수비를 하는 방법으로 공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경기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규칙에 의한 경기나 경기장소나 구비된 경우에는 가능하지만, 경기장소가 협소하거나 혼자서 손쉽게 공놀이를 할 경우에는 공이 외부로 벗어나는 일이 흔히 일어나므로 일단 벗어난 공을 일일이 주워와야 함으로 인해 놀이의 시간이 과도히 소요되어 유희성이나 오락성이 매우 저조한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도심지 등에서는 유휴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공놀이를 할 경우 달리는 차량에 의한 안전사고에 위험성이 대단히 높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놀이 시설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도심지등에서는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의 재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고, 한편으로는 종래의 공들은 놀이도중 쉽게 이탈되므로 좁은 공간이나 실내등에서 재미있는 공놀이를 즐길 수 없는 폐단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통상의 공을 이용하여 상부측에는 연결끈을 결속하여 고리부를 형성하고, 공의 양단에는 발성구와 체크밸브를 구비하므로서, 공놀이를 할 경우 공이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함을 물론, 공놀이시에는 발성구에 의해 발성음이 나도록 하여 공놀이시에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이하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통상의 공(1) 상부에 결합편(8)을 형성하여 연결끈(2)을 매듭(7)에 의해 결속하고, 연결끈(2)은 고정구(3)에 의해 고리부(4)를 형성하되, 고정구(3)는 일반적인 것으로, 내부에 스프링(9)이 탄설되고, 작동간(10)에 의해 연결끈(2)이 고정 또는 해리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공(1)의 상부 일단에는 공기의 공급만을 수행하는 흡기성 체크밸브(6)를 개재하고, 양측에는 발성음이 나면서 공기의 배출만을 수행하는 발성구(5, 5a)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한 고리부(4)를 이용하여 목이나 손등에 걸어서 공(1) 놀이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결끈(2)은 일반적인 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신축성이 양호한 고무 등의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공(1)의 이동위치가 넓어지면서 이동한 거리이상 만큼은 반드시 되돌아 오게 되어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공(1)의 외부 전체에 야광도료를 도포하므로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공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효과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주로 목이나 팔등에 고리부(4)를 이용하여 걸어서 공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공(1)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편(8)에 연결끈(2)을 이용하여 매듭(7)을 형성하므로서 결속하고, 상부에는 고정구(3)를 이용하여 고리부(4)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구(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인바, 즉 연결끈(2)을 고정구(3)에 삽지하여 작동간(10)을 놓으면 내부에 단설된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간(10)이 외부로 빠져나와 연결끈(2)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구(3)에 의해 연결끈(2)의 길이를 적당히 조절하여 고리부(4)를 형성하여 목이나 팔 등에 걸어서 공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고리부(4)의 크기를 가감하고자 할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간(10)을 누르면 연결끈(2)은 고정구(3)의 내부에서 이탈이 가능하므로 고리부(4)의 크기를 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이의 고정구(3)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끈(2)을 고정구(3)에 의해 결속하고 난후 목이나 팔등에 고리부(4)를 이용하여 걸어서 각종 공놀이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즉 공(1)이 하부로 늘어뜨러져 있으므로 발로 공(1)을 차는 동작을 반복해서 놀이를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손과 발은 자유자재로 흔들면서 흡사 제기를 차는 동작과 비슷하게 공(1)을 찰 수도 있으므로 별도로 힘들여 운동을 하지 않고도 운동의 기능이 부가되어 어린이들의 신체발육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공(1)의 외주연에는 야광도료를 도포하므로서 주로 야간이나 비교적 어두운 실내에서 각종의 공놀이를 할 수도 있으며, 특히 공(1) 외주연에 일정위치나 개수로 체크밸브(6)와, 발성구(5,5a)를 개재하므로서 공놀이의 도중에 공(1)의 외주연에 외력을 가할 경우는 발성구(5,5a)에 의해 소리가 발산되면서 공(1) 내부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배출되어 발성구(5,5a)가 작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한 발성구(5,5a)의 발성 기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과 동시에 발성구(5,5a)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간 공기는 순간적으로 상부의 체크밸브(6)가 작동하여 공기가 공(1)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현상은 상기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성구(5,5a)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발성음은 나오는데, 반해 공기의 공급은 차단되고, 상부의 흡기성 체크밸브(6)는 공기의 공급은 이루어지나, 배출은 차단되어 내부의 공기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면서도 공(1)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공놀이에 적합한 상태가 유지하게 되므로 매우 재미있는 유희구나 오락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연결끈(2)은 일반적인 끈 등으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신축성이 양호한 고무등의 재질을 선택하므로서 공놀이를 할 경우 튀어나갔던 공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공(1)의 이동거리를 늘일 수도 있고, 특히 필요에 따라서 공(1)의 외주연에 야광도료를 도포하므로서 주로 야간이나 비교적 어두운 곳에서 공놀이를 할 경우 식별성이 뛰어나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공의 외주연에 연결끈을 결속하고, 공기의 공급과 배출을 목적으로 한 장치를 부가하므로서 어린이들의 완구나 유희구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뿐만 아니라 비교적 좁은 실내나 외부에서 간단하게 놀이를 할 수도 있으며, 특히 놀이를 하면서 자연적으로 운동이 되는 효과가 부가되어 장소에 구애받음이 없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실용성이 매우 현저한 고안이다.
이하의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서 본 고안이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이 기술될 것이나 공의 무늬를 일부 달리하거나 연결끈의 결속방법을 일부 변경하고, 각 구성물들을 등가물로 치환하는 등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내용 역시 본 고안과 목적을 같이하는 한 본 고안과 동일한 기술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공(1) 상부에 결합편(8)을 형성하여 연결끈(2)을 매듭(7)에 의해 결속하고, 연결끈(2)은 일반적인 고정구(3)에 의해 고리부(4)를 형성하고, 공(1)의 상부 일단에는 공기의 공급만을 수행하는 흡기성 체크밸브(6)를 개재하고, 양측에는 발성음이 나면서 공기의 배출만을 수행하는 발성구(5,5a)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한 고리부(4)를 이용하여 목이나 손 등에 걸어서 공(1) 놀이를 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놀이용 공.
KR2019940038233U 1994-12-27 1994-12-27 놀이용 공 KR970002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233U KR970002993Y1 (ko) 1994-12-27 1994-12-27 놀이용 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233U KR970002993Y1 (ko) 1994-12-27 1994-12-27 놀이용 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10U KR960020210U (ko) 1996-07-18
KR970002993Y1 true KR970002993Y1 (ko) 1997-04-08

Family

ID=1940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233U KR970002993Y1 (ko) 1994-12-27 1994-12-27 놀이용 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9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269A1 (ko) * 2017-04-19 2018-10-25 조위현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1953806B1 (ko) * 2018-02-20 2019-06-11 조위현 공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269A1 (ko) * 2017-04-19 2018-10-25 조위현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1953806B1 (ko) * 2018-02-20 2019-06-11 조위현 공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10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982A (en) Sound-producing soft toy missile
US4042241A (en) Elastic cord-attached returning soccer ball
US20060073758A1 (en) Sports activity device
US6887188B1 (en) Virtual jump rope
US5031908A (en) Balloon game set for ceiling play
US4616827A (en) Playing ball
US20110136604A1 (en) Ball body
US5338027A (en) Tossing and catching play object
US20140047738A1 (en) Animated Slipper
KR970002993Y1 (ko) 놀이용 공
US20070105477A1 (en) Water-spraying yo-yo
US4848743A (en) Popping sound toy
US5807197A (en) Footbag having photoluminescent filler and both opaque and light transmissive panels
US6371824B1 (en) Yo-yo and method for using a yo-yo
US6383098B1 (en) Foot device to strike a ball
KR20070015352A (ko) 셔틀콕
CN204187517U (zh) 一种带有震动闪光灯的吹气玩具球
US20040198148A1 (en) Toy for creating visual and audial patterns
CN2244420Y (zh) 弹力康乐球
KR200362734Y1 (ko) 발광 제기
AU2009101295A4 (en) Ball body
CN2119940U (zh) 镂空足球
CN201505431U (zh) 国际兽战棋
KR200376653Y1 (ko) 제기볼
CN2452574Y (zh) 桌面足球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