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734Y1 - 발광 제기 - Google Patents

발광 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734Y1
KR200362734Y1 KR20-2004-0009846U KR20040009846U KR200362734Y1 KR 200362734 Y1 KR200362734 Y1 KR 200362734Y1 KR 20040009846 U KR20040009846 U KR 20040009846U KR 200362734 Y1 KR200362734 Y1 KR 200362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ight sour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손오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손오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손오공
Priority to KR20-2004-0009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97Feathered missiles with special functions, e.g. light emission or sound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 놀이기구인 제기에 관한 것으로, 저항을 조절하는 수술부의 단면에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발광장치가 설치된 발광 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기는 모양을 연출하고 공기의 저항을 조절하는 수술부(수꽂술)와 몸통으로 구성하여 발로 몸통을 차며 여려가지 자세와 형태로 임의의 규정에 의하여 놀이를 하는 것으로서, 제기에 대하여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수술에 색상을 첨부하여 사용하여 오고 있는 동절기 전통놀이 이다.
본 고안은 절기와 주야에 관계없이 제가 차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중앙의 관통공과 내측면에 체결용 보스가 돌출된 케이스와 배터리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관통공과 대응하는 곳에 배치되어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가 포함된 광 발생장치가 내장되는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는 광섬유의 일측 단면부를 관통공에 결합 삽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광 발생장치가 형성된 제기는 수술부에 빛을 발광하도록 하므로서,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야간에도 사용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발광 제기{luminous shuttle cock}
본 고안은 전통 놀이용 기구인 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발로 제기 차기를 할 때, 수술부에서 발광하는 제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 놀이기구중 하나인 제기는 발로 찰 수 있는 머리와 머리에 고정된 날개깃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1998-019295호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수술을 환철편에 말아 고무줄로 결속하고 이를 케이스에 수납한 후, 다양한 색상을 갖는 뚜껑에 끼워 고정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94-24262 호에는 건전지 및 발광 다이오드를 통하여 주간 또는 야간에도 제기 놀이를 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건전지 및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제기는 제기의 수술부가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광이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해하여 실제 어두운 곳에서 제기 놀이가 거의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제기를 발로 찰 때, 그 충격에 의하여 광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광이 수술부를 이루는 광섬유를 통하여 제기 밖으로 발광되어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제기 머리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제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a, 도 3b는 스위치가 접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기 110 : 케이스
120 : 광 발생장치 124 : 인쇄회로기판
126 : 광원 127 : 스위치
129 : 고정부재 130 : 수술부
132 : 광 섬유 140 : 타격부
150 : 보강커버 200 : 필름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제기는 관통공을 갖고, 내측면에 체결용 보스가 돌출된 케이스와 배터리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관통공과 대응하는 곳에 배치되어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며 충격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가 포함된 광 발생장치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부재로 고정 설치한다.
상기 광 발생장치에 형성된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출사시키도록 여러가닥의 광섬유를 케이스의 관통공에 결합하여 수술부를 형성하고 케이스 하부로는 타격부를 포함하여 제기를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제기(100)는 케이스(110)와 광 발생장치 (120)와 수술부(130) 및 타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림(rim) 형상으로 하측방에는 완전 개방되고 하부의 내주면으로는 암나사부(112)가 형성되며, 상부 중앙으로는 광섬유 다발이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114)과 체결 보스(115)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114)은 케이스(110)의 무게 중심에 형성되고,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상기 체결 보스(115)는 케이스(110)의 저면 으로 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체결 보스(115)는 적어도 2개내지 4개가 형성된다.
상기 광 발생장치(120)는 배터리(122)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124)과 빛을 발산하는 광원(126)과 스위치(127) 및 고정부재(129)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4)의 일측면으로는 광원(126)과 스위치(127)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배터리(122)가 결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광원(126)과 배터리(122)는 인쇄회로기판(124)의 중앙에 위치하며 케이스(110)에 형성된 관통공(114)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22)는 부피 및 무게가 작은 수은 전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은 전지 이외에 건전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배터리(122)는 인쇄회로기판(124) 중 제기(100)의 무게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126)은 바람직하게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이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는 레드광(red light)을 발생시키는 레드 발광 다이오드, 그린광(green light)을 발생시키는 그린 발광 다이오드 및 블루광(blue light)을 발생하는 블루 발광 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2색이상 혼합된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27)는 광원(126)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24)의 동일면에 형성되며 광원(126)의 일측으로 배치된다. 스위치(127)는 배터리(122)의 전원을 광원 (126)으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27)를 첨부된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127)는 제 1 접점(127a) 및 제 2 접점(127b)을 갖는다. 제 1 접점(127a) 및 제 2 접점(127b)은 상호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접점(127a)의 일부분이 스프링(127c)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124)에 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124)을 매개체로 배터리(122)의 음극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접점(127b)은 인쇄회로기판(124)을 매개체로 배터리(122)의 양극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127)는 제 1 접점(127a) 및 제 2 접점(127b)이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배터리(122)의 전원은 광원(126)으로 인가되지 않고, 스위치(127)의 제 1 접점(127a) 및 제 2 접점(127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배터리(122)의 전원은 광원(126)으로 인가되는데, 스위치(127)의 제 1 접점(127a) 및 제 2 접점(127b)은 제기(100)를 차서 충격을 가하면 제 1 접점(127a)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처지면서 제 2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접점(127a) 및 제 2 접점(127b)이 한번 접촉함에 따라 광원(126)에서 빛을 발광하는 시간 또한 약5초 동안 발광된다.
상기 고정부재(129)는 광원(126), 배터리(122) 및 스위치(127)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124)을 케이스(110)의 고정 보스(115)에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부재(129)는 나사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124) 중, 체결보스(11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고정홀(12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24)의 저면으로는 완충재(150)가 덧대어질 수 있다. 완충재(150)는 배터리(122)를 덮도록 구성하여 배터리(122)의 이탈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하하여 고정부재(129)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수술부(130)는 광섬유(132)로 구성하고 일측단부를 균일한 높이로 뭉쳐서 케이스(110)의 관통공(114)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관통공(114)에 끼워진 광섬유(132)는 광원(126)에서 발생한 광을 비추면 광섬유(132)의 타측 단면으로 동일한 빛이 발광되고 차여진 제기(100)가 낙하하면서 중심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수술부(130)는 색상이 함유된 합성수지재와 광섬유(132)가 적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114)의 내부에 빛을 투과하고 여러무늬모양 및 색상이 그려진 필름(128)을 삽입하여 단일색의 광원(126)빛을 발산하면 필름(128)에 그려진 색깔과 모양이 광섬유(132)의 단면에서 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격부(140)는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42)가 형성되며 케이스(110)에 형성된 암나사부(112)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암나사부(112)에 회전을 하며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 타격부(140)의 일면에는 일자홈, 또는 크로스형의 십자형 홈(14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타격부(140)의 형상에 따라서, 제기(100)의 놀이 유형을 보다 여러 가지 유형으로 놀이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타격부(16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탄성력이 매우 높은 공과 같은 타격부(170)을 결합하여 발로 차거나 손으로 던지거나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야간에 놀이를 할 수 있으므로, 응용된 다른 놀이기구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제기를 찰 때마다 수술 부에서 여러 가지의 빛이 발광됨으로써,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며, 제기 이외의 놀이기구로도 사용 가능함으로써 전통 놀이기구인 제기의 보급 및 제기의 기능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중앙에 관통공(114)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체결용 보스(115)가 돌출되어 형성된 케이스(110)와; 배터리(122)가 탑재되고 관통공(114)과 대응하는 곳에 배치되어 광을 발생하는 광원(126)과 스위치(127)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 기판(124)을 체결용 보스(11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29)로 고정되는 광 발생장치(120)와;
    상기 관통공(114)에 고정되고 하강속도를 조절하며 중심을 유지시켜주며, 상기 광원(126)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출사하도록 광섬유로 된 수술부(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하측에 결합되는 타격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발광 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주면 하측으로 암나사부(112)가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타격부(140)의 외주면으로 수나사부(142)를 형성하여 착탈 할 수 있고 타격부 (140)를 교환가능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발광 제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부(130)는 광원(126)에서 발생한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는 광섬유 (132)와 여러 가지 색상이 함유된 합성수지재의 수술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발광 제기.
  5.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110)의 관통공(114)에 여러 가지 무늬모양과 색상이 그려진 필름 (128)을 삽입하여 단일색의 광원(126)빛을 발산하면 필름(128)에 그려진 색깔과 모양이 광섬유(132)의 단면에서 연출될 수 있게 된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9)는 체결 나사이고, 보강커버(150)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 (124)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발광 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140)는 탄성부재이고 중공이 형성되는 것과 매몰된 것으로,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제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4)에 설치되는 배터리(122)는 제기(100)의 무게 중심에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제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4)에 설치된 광원(126)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제기.
KR20-2004-0009846U 2004-04-09 2004-04-09 발광 제기 KR200362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46U KR200362734Y1 (ko) 2004-04-09 2004-04-09 발광 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46U KR200362734Y1 (ko) 2004-04-09 2004-04-09 발광 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734Y1 true KR200362734Y1 (ko) 2004-09-22

Family

ID=4935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46U KR200362734Y1 (ko) 2004-04-09 2004-04-09 발광 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7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821B1 (ko) * 2015-08-10 2017-07-10 박재현 스마트 제기
KR101864510B1 (ko) * 2016-12-12 2018-06-04 박재현 스마트제기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및 대전게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821B1 (ko) * 2015-08-10 2017-07-10 박재현 스마트 제기
KR101864510B1 (ko) * 2016-12-12 2018-06-04 박재현 스마트제기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및 대전게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3398B1 (en) Handheld tethered ball device
US20140221134A1 (en) Light-up table tennis paddle and method
US20080185785A1 (en) Harness for lighted sports article
US5868633A (en) Lighted novelty golf club with automated sound producing means
US20110136604A1 (en) Ball body
KR200362734Y1 (ko) 발광 제기
CN212395839U (zh) 一种对战玩具
KR100701055B1 (ko) 점프 유희구
US20010041622A1 (en) Golf swing training club
US6527607B1 (en) Luminescent kite apparatus
JP2004016451A (ja) ボール
KR200428081Y1 (ko) 기능성 윷
KR200362981Y1 (ko) 발광 장치를 구비한 라켓
KR200204709Y1 (ko) 야간 레저용 배드민턴 공
CN219701077U (zh) 一种可自由分离的玩具棍棒
KR100251815B1 (ko) 야간놀이가 가능한 배드민턴용 셔틀콕
KR200333646Y1 (ko) 발광장치를 갖춘 배드민턴 셔틀콕
KR200364207Y1 (ko) 발성, 발광구조를 갖는 유희용 크래쉬 백
GB2241897A (en) Space shuttle
KR200403085Y1 (ko) 발광 셔틀콕
KR200287907Y1 (ko) 자력으로 발전하여 발광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KR200395713Y1 (ko) 발광체를 이용한 배드민턴 운동기구 세트
KR200301887Y1 (ko) 로드셀을 구비한 배드민턴 셔틀콕
CN206881052U (zh) 一种多功能羽毛球
KR20180088038A (ko) 외관변형과 유희용 볼의 장착과 교환으로 다양한 발광과 소리를 발생하는 완구용 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