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340Y1 -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340Y1
KR200268340Y1 KR2020010034038U KR20010034038U KR200268340Y1 KR 200268340 Y1 KR200268340 Y1 KR 200268340Y1 KR 2020010034038 U KR2020010034038 U KR 2020010034038U KR 20010034038 U KR20010034038 U KR 20010034038U KR 200268340 Y1 KR200268340 Y1 KR 200268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crete
rail
sleeper
concrete sl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실업
Priority to KR2020010034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340Y1/ko

Links

Landscapes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침목 상단에 위치하고 체결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레일을 체결 고정하는 매입전을 마련하되, 이 매입전의 내부에는 체결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수나사가 구비되는 합성수지재의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너트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매입전에 전달되는 횡저항 및 인발력을 보강하는 철선코일로 구성한 후, 콘크리트 침목 내부에 매입되어 레일과 콘크리트 침목을 일체로 체결 고정하는 매입전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 운행시 발생된 횡저항 및 인발력을 효과적으로 견딜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Concrete tie}
본 고안은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침목 내부에 매입되어 레일과 콘크리트 침목을 일체로 체결 고정하는 매입전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 운행시 발생된 횡저항 및 인발력을 효과적으로 견딜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상(ballast)은 레일, 침목을 경유하여 전달된 하중을 넓게 분포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온도변화에 의한 레일 신축으로 나타날수 있는 침목의 이동을 도상저향력으로 막아 방지하며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좋게 할뿐 아니라 빗물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잡초가 자라는 것을 막는등의 여러가지 역활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성을 잘 갖추고 있으면서 구하기 쉬운 자갈 또는 깬 자갈이 도상의 재료로 널리 사용됨에 따라 현 지하철 구간중 교량부분을 제외한 전구간이 자갈도상 궤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종래 자갈도상 궤도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레일 하단에는 침목이 체결 고정되어 있고, 이 침목의 하단측에는 자갈도상이 깔려져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할때 차량의 하중이 레일에 가해지면 자갈도상은 침목과 함께 하중을 노반으로 골고루 분산시키게 된다.
이러한 역활을 수행하는 침목은 별도의 체결수단 즉, 매입전을 이용하여 레일을 콘크리트 침목에 체결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매입전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기간의 효과는 있으나 장기간 차량 운행시 발생되는 횡저항 및 인발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므로 콘크리트 침목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콘크리트 침목 제작시 매입전의 부착력이 저하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침목 내부에 매입되어 레일과 콘크리트 침목을 일체로 체결 고정하는 매입전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 운행시 발생된 횡저항 및 인발력을효과적으로 견딜수 있게 하여 전체적으로 콘크리트 침목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매입전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매입전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매입전이 콘크리트 침목에 인서트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매입전에 의해 레일이 콘크리트 침목에 체결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매입전 11 ; 체결너트 12 ; 철선코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콘크리트 침목 상단에 위치하고 체결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레일을 체결 고정하는 매입전을 마련하되,
이 매입전의 내부에는 체결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수나사가 구비되는 합성수지재의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너트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매입전에 전달되는 횡저항 및 인발력을 보강하는 철선코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매입전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매입전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매입전이 콘크리트 침목에 인서트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매입전에 의해 레일이 콘크리트 침목에 체결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철도차량의 하중이 레일(20)에 가해지면 이 하중을 콘크리트도상에 전달하여 하중이 넓게 분포되면서 노반에 전달되게 하는 콘크리트 침목(25)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25) 상단에 위치하고 체결볼트(22)와 나사 결합되어 레일(20)을 체결 고정하는 매입전(10)을 마련하되, 이 매입전(10)은 체결볼트(22)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11)와, 이 체결너트(11)외부에 결합되는 철선코일(12)로 나뉘어진다.
체결너트(11) 내부에는 레일(20)과 콘크리트 침목(25)을 체결하는 체결볼트(22)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1b)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수나사(11a)가 형성된다.
철선코일(12)은 체결너트(11)의 수나사(11a)에 결합되어 매입전(10)에 전달되는 횡저항 및 인발력을 보강하고 콘크리트 양생시 매입전의 부착력을 높여주는 역활을 수행하고, 재질은 스프링강으로서 표면은 아연도금 처리된다.
미설명 부호 21은 콘크리트 침목(25)과 레일(20)을 연결 고정하는 체결단 이고, 23과 24는 체결볼트(33)를 체결너트(11)에 나사 결합시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게 하는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침목형틀(도시하지 않음)내에 철선코일(12), 체결너트(11)가 결합된 매입전(10)을 장치한 후 침목형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면 콘크리트 침목(25)이 제작 완료된다. 이때의 매입전(10)은 체결너트(11)의 수나사(11a)에 철선코일(12)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콘크리트 침목(25)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제작과정을 거쳐 제조된 콘크리트 침목을 레일(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4에서와 같이 레일(20) 하단에 콘크리트 침목(25)을 위치시킨 후 체결단(21), 평와셔(24), 스프링와셔(23)를 이용하여 체결볼트(22)를 체결너트(11)에 나사 결합하면 콘크리트 침목(25)은 레일(20)가 일체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면 하중은 레일(20), 콘크리트 침목(25)을 경유하여 콘크리트 도상에 전달되고 이 콘크리트 도상은 하중을 넓게 분포시켜 노반에 전달한다. 이때 차량을 운행할때 횡저항 및 인발력이 발생하면 이 횡저항 및 인발력을 철선코일(12)이 수용하여 매입전(10)의 체결력을 보강하여 전체적인 콘크리트 침목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침목 내부에 매입되어 레일과 콘크리트 침목을 일체로 체결 고정하는 매입전에 철선코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침목 제작시 부착력이 증대됨은 물론 차량 운행시 발생된 횡저항 및 인발력을 효과적으로 견딜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철도차량의 하중이 레일(20)에 가해지면 이 하중을 콘크리트도상에 전달하여 하중이 넓게 분포되면서 노반에 전달되게 하는 콘크리트 침목(25)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25) 상단에 위치하고 체결볼트(22)와 나사 결합되어 레일(20)을 체결 고정하는 매입전(10)을 마련하되, 이 매입전(10)의 내부에는 체결볼트(22)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1b)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수나사(11a)가 구비되는 합성수지재의 체결너트(11)와, 상기 체결너트(11)의 수나사(11a)에 나사 결합되어 매입전(10)에 전달되는 횡저항 및 인발력을 보강하는 철선코일(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
KR2020010034038U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 KR200268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038U KR200268340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038U KR200268340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340Y1 true KR200268340Y1 (ko) 2002-03-16

Family

ID=7311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038U KR200268340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3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047A (ko) * 2014-04-09 2015-10-19 이강솔루션 (주) 철도용 침목의 보수방법 및 철도용 침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047A (ko) * 2014-04-09 2015-10-19 이강솔루션 (주) 철도용 침목의 보수방법 및 철도용 침목
KR101699409B1 (ko) * 2014-04-09 2017-02-01 이강솔루션 (주) 철도용 침목의 보수방법 및 철도용 침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4667C2 (ru) Систе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KR20070025011A (ko)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KR200268340Y1 (ko) 콘크리트 침목용 매입전
JP5297248B2 (ja) レール締結装置
KR200235978Y1 (ko) 콘크리트 도상용 pc침목
KR100622069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패드
KR100612755B1 (ko) 고속철도용 방진침목 및 그 제작방법
JP6204169B2 (ja) 軌道用レール締結装置
JPH0913302A (ja) 直結まくら木の設置構造および直結まくら木の設置方法
KR200235979Y1 (ko) 콘크리트 도상용 rc침목
KR20020069798A (ko) 콘크리트 도상용 pc침목
KR200342448Y1 (ko) 철도용 레일 고정지지구
KR20020069799A (ko) 콘크리트 도상용 rc침목
CN108301306B (zh) 半路半桥结构
US3355534A (en) Method of preparing a synthetic railway tie
KR200277442Y1 (ko) 콘크리트 침목 체결구조
KR200410824Y1 (ko) 연약지반용 철로설치구조
KR200337976Y1 (ko) 방진 체결 장치용 rc 침목(alt-i형 rc 침목)
KR100706323B1 (ko)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침목의 볼트 설치구조
KR200373350Y1 (ko) 부두형 rc 침목
KR20120127243A (ko) 철도용 하이브리드 침목
KR200180808Y1 (ko) 레일 고정지지구
JP2859188B2 (ja) まくらぎの弾性支承具
CN209703709U (zh) 一种户外运动设施安全性预埋部件
JPH11350401A (ja) まくらぎ弾性支持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まくら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