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011A -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 Google Patents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011A
KR20070025011A KR1020050080727A KR20050080727A KR20070025011A KR 20070025011 A KR20070025011 A KR 20070025011A KR 1020050080727 A KR1020050080727 A KR 1020050080727A KR 20050080727 A KR20050080727 A KR 20050080727A KR 20070025011 A KR20070025011 A KR 2007002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pad
concrete
base plate
g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548B1 (ko
Inventor
장승엽
엄주환
양신추
강윤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8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54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1Track with balla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는, 철도궤도의 자갈도상 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침목의 하면에 부착되어 주행차량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패드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하면의 형상과 같은 평면구조를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정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이 좌우 대칭으로 2등분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에 의하면, 방진침목패드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여 효율적인 시공작업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침목패드의 금형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진침목패드 및 그 구성의 치수를 축소하여 방진침목패드를 콘크리트 침목에 내설작업시 방진침목패드가 콘크리트 침목내의 강선이나 거푸집에 걸리는 현상을 해소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침목, 방진침목, 중앙돌기, 측면돌기, 배출구

Description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Under sleeper pads for railway ballast track}
도 1은 일체형으로 제작된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B-B'선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와 콘크리트 침목의 크기차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콘크리트 침목에 매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매립한 콘크리트 침목을 자갈도상 위에 부설한 시공상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고속철도 침목용으로 제작한 설계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일반철도 침목용으로 제작한 설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갈도상 2 : 침목
3 : 베이스판 4 : 정착돌기
5 : 중앙돌기 6 : 측면돌기
6a : 머리부 6b : 다리부
7 : 배출구 7a : 오목부
C : 중앙부 D : 단부
x1 : 측면돌기 다리부의 폭 x2 : 중앙돌기의 폭
y1 : 측면돌기의 높이 y2 : 중앙돌기의 높이
H : 베이스판의 두께(배출구의 높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는, 철도의 궤도 구성품 중 콘크리트 침목에 매립하는 방진침목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진침목패드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이고 좌우 대칭으로 콘크리크 침목에 매립함으로써 효율적인 시공작업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방진침목패드 및 그 구성의 치수를 축소하여 방진침목패드를 콘크리트 침목에 매립시 방진침목패드가 콘크리트 침목내 의 강선이나 거푸집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철도의 선로에 설치되는 침목(枕木, sleeper, rail timber)은 레일을 체결하여 레일의 위치를 정하고, 궤간을 정확하게 유지하며, 레일로부터 전해지는 열차하중을 도상(道床) 아래로 널리 분산시키며, 궤도좌굴에 대한 저항력의 대부분을 부담하는 궤도의 중간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침목은 재질에 따라 나무로 만든 목침목(木枕木, wooden sleeper)과 철재를 이용한 철침목(鐵枕木, iron sleeper), PC침목(prestressed concrete sleeper) 등의 종류로 구별된다.
위와 같이 구별되는 침목의 종류에서 전통적으로 목침목을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콘크리트 제작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유지보수면에서 유리하고 보다 경제적인 PC침목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C침목은 고강도의 강선을 사용하여 이에 미리 인장력을 주어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있게 하여, 실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콘크리트의 인장 저항력을 강하게 나타내도록 한 콘크리트 침목이다.
이러한 PC침목은 목침목에 비해 가격이 2배이지만, 사용년수가 약 5배로 길어 더 경제적이다. 또, 탄성체결에 의해 궤도틀림 진행을 작게 하여 궤도 유지보수의 경감이 가능하고 도상저항이 커 장대 레일을 부설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PC침목은 목침목에 비해 탄성계수가 작은 경질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행열차에서 발생되는 충격?진동을 하부의 도상으로 대부분 전달하게 됨으로써 큰 소음이 발생되고 도상 구조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며, 특히 자갈도상인 경우에는 자갈의 세립화를 발생시키므로 그 영향이 더욱 크다.
이에 따라, PC침목은 그 하부에 탄성을 갖는 방진패드를 부설하여 침목의 기 본적인 역할을 수행케 하면서 완충 및 소음저감이라는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종래, 외국에서 사용되는 방진침목의 주요 형식을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1) 프랑스의 LVT 침목(콘크리트 방진침목)
이 침목은 콘크리트 도상에 적용하는 침목으로서 프랑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STEDEF 침목을 개량하여 제작한 것으로, 체결구는 Pandrol, Nabla, Vossloh 모두 사용 가능하며, Twin-block 타입으로 방진상자 속의 방진재를 사용하여 진동저감효과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제품은 현재 프랑스 지하철, 그리고 국내에는 서울, 대구, 부산 지하철 등에서 적용하고 있으며, 방진성은 아주 우수하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시 방진상자안으로 이물질이 들어갈 우려가 발생하며, 만약 이물질이 들어갈 경우 방진성능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용 방진침목은 현재 세계적으로 상당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제품은 자갈도상이 아닌 콘크리트도상용 방진침목용 패드이며 이러한 자갈도상용 방진침목 패드는 세계적으로도 많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국내에서는 아직 개발된 사례가 없다.
2) 독일의 게츠너(Getzner)社 침목패드(자갈도상용 방진침목)
이 제품은 현재 국내 지하철에도 적용중에 있으며, 자갈도상궤도를 대상으로 소음 진동 저감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진동차단, 자갈의 세립화 방지, 트랙의 안정성(트랙의 침하방지) 등이 아주 우수하다. 그러나 본 제품은 장기적 유지관리면에서는 다소 불리하며 고속철도가 아닌 일반철도용으로 개발된 제품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인 부착방법은 패드의 한쪽면에 그리드(grid)를 부착시킨 침목에 패드를 부착하여 서로 엉겨있는 그리드(grid)사이로 콘크리트가 침투, 응고되므로 접착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게츠너(Getzner)社의 방진침목 패드는 고속철도용이 아닌 일반철도에 사용하기 위해 순수한 진동저감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민원발생 장소나 진동이 아주 심각한 장소에만 사용되고 있으며, 궤도의 유지보수 저감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3) 일본의 림(RIM)(반응사출성형) 방식
소음진동 저감 및 유지보수량의 경감을 목적으로 방진침목이 개발된 이후 제조효율 및 경제성 그리고 피복재의 박리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본에서 1990년도에 림(RIM)방식의 성형법을 처음으로 도입하여 경제성 및 제조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박리강도가 탄성패드의 내구성 등을 크게 향상시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부설시험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반응사출성형 방식의 침목은 대규모 플랜트가 필요하고 고가의 비용부담이 든다는 점을 가장 큰 단점으로 들 수 있다.
4) 일본의 기설 PC침목 재이용 방법
상기에서 소개한 림(RIM)방식의 단점, 즉 고가의 비용부담이 든다는 점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방진침목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기설침목 재이용 방법에는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에 대한 특징을 간략히 소개한다.
첫번째 방법으로서, 침목의 뒷면에 구멍을 뚫어 앵커 볼트로 고무판(재생고무, 가유황(加硫黃)고무)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앵커볼트의 설치위치 제한 및 침목 하면의 요철의 존재 등으로 고무판의 설치에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설치후에도 침목과 고무판 사이에 극간이 생겨 쇄석 등이 들어가 고무판의 손상 및 열화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두번째 방법으로서, 침목 뒷면에 간이 거푸집을 설치하여 무발포 액상 우레탄을 흘려 넣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무발포 액상 우레탄 성형용 원액을 침목하면에 흘려 넣어 제작하기 때문에 침목 하면의 요철 등에 좌우되는 일없이 성형할 수 있으며, 거푸집도 간이 거푸집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타입의 침목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한 제작비가 상기한 림(RIM)방식의 약 ⅓정도라고 소개되고 있어 경제적으로도 경쟁성도 갖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현재 기설 PC침목의 탄성화에 관해서 우레탄 고무타입을 권장하고 있는데, 이 방법도 콘크리트 침목과 우레탄 간의 표면박리가 발생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지고 보수주기가 짧은 문제가 따른다
현재 국내에서는 대부분 콘크리트 궤도용 방진침목이 사용되고 있는데, 자갈도상용 방진침목의 경우에는 상기한 독일 게츠너(Getzner)社의 침목 패드를 지하철 현장 일부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독일 게츠너(Getzner)社의 방진침목 패드는 궤도의 유지보수 저감에는 효과가 떨어짐으로써, 현재 국내 기존철도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것이 궤도의 유지관리비용 부담이 많다는데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진침목에 대한 개발상의 중요과제는 열차주행안정성 및 승차감이 확보되는 범위내에서 소음과 진동의 최대 저감 및 자갈분쇄의 최소화를 고려한 경제적인 방진패드의 설계라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3-0092737에 개시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패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패드를 탄성력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 궤도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킴은 물론이고, PC침목과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뛰어나고 장기적으로 궤도틀림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면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PC침목의 제작과 동시에 일체화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 패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 패드는 방진침목패드의 길이가 너무 길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고, 방진침목패드의 금형제작에 소요되는 비용도 과다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침목에 방진침목패드를 매립시 상호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배불림 현상으로 시공시간이 지연되거나 침목면상의 평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진침목패드 및 그 구성의 치수가 비교적 커서 방진침목패드를 콘크 리트 침목에 매립시 방진침목패드가 콘크리트 침목내의 강선이나 거푸집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는, 철도의 궤도 구성품 중 콘크리트 침목에 매립하는 방진침목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진침목패드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이고 좌우대칭으로 콘크리트 침목에 매립함으로써 효율적인 침목 제작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방진침목패드 및 그 구성의 치수를 축소하여 방진침목패드를 콘크리트 침목에 매립시 방진침목패드가 콘크리트 침목내의 강선이나 거푸집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는, 철도궤도의 자갈도상(1) 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침목(2)의 하면에 부착되어 주행차량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패드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2)의 하면의 형상과 같은 평면구조를 갖는 베이스판(3)과; 상기 베이스판(3)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정착돌기(4)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3)이 좌우 대칭으로 2등분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공오차에 대한 여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부(C)를 좌우대칭 중심으로부터
Figure 112005510811173-PAT00013
만큼 축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침목(2)에 패드를 매립시 콘크리트 침목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7)에는 상기 베이스판(3) 두께(H)의 중앙(
Figure 112005510811173-PAT00014
)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곡률반경 10 mm의 오목부(7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돌기(4)는 중앙부(C)와 단부(D)에 걸쳐 상기 베이스판(3)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선 상에 배치되는 중앙돌기(5)와; 중앙부(C)와 단부(D)에 걸쳐 좌우측 변부에 배치되는 측면돌기(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돌기(5)는 4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돌기(6)는 4각 블록 형상을 갖는 다리부(6b)와 상기 다리부(6a)의 상단부에서 화살촉 형상으로 확대되는 머리부(6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돌기(6)는 다리부(6b)의 폭(x1)이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돌기(6)는 높이(y1)가 4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3)은 상기 콘크리트 침목(2)의 하면의 2등분에 비해 약간 작은 길이(약 95 ~ 98 %의 크기)와 폭(약 93 ~ 96 % 의 크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와 콘크리트 침목의 크기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콘크리트 침목에 매설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매설한 콘크리트 침목을 자갈도상 위에 부설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고속철도용으로 제작한 설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를 일반철도용으로 제작한 설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2)의 하면의 형상과 같은 평면구조를 갖는 베이스판(3)과, 상기 베이스판(3)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정착돌기(4)와, 상기 정착돌기(4)의 주변에는 배출구(7)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3)이 좌우 대칭으로 2등분한 형상을 가진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침목패드을 좌우대칭 2등분에 상당하는 형상을 가진 구조로 구성하는 이유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좌우대칭 일체형 방진침목의 단점에 대한 보완으로서, 그림 1처럼 운반시 또는 콘크리트 침목에 내설시 작업의 효율화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Figure 112005510811173-PAT00001
(그림1)운반 후 콘크리트 침목에 내설과정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오차에 대한 여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부(A)를 좌우대칭 중심선으로부터
Figure 112005510811173-PAT00015
만큼, 바람직하게는 15 mm 축소함으로써 좌우측 방진침목패드를 내설한 경우 30 mm 정도의 여유공간(W)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부 방진침목패드의 경우 패드 제작상의 오차 또는 콘크리트 침목(2)의 제작상 공차에 의하여 패드의 길이 또는 폭이 길어서 콘크리트 침목에 내설시 거푸집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판(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침목(2)의 하면의 2등분에 비해 약간 작은 길이(L)(약 95 ~ 98 % 의 크기)와 폭(2B)(약 93 ~ 96 % 의 크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보다 더 작게하면 바닥면의 접촉면적이 작게되어 방진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3), 정착돌기(4)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데, 높은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 우레탄계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착돌기(4)는 중앙부(C)와 단부(D)에 걸쳐 상기 베이스판(3)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선에 배치되는 중앙돌기(5)와 중앙부(C)와 단부(D)에 걸쳐 상기 베이스판(3)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열에 배치되는 측면돌기(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돌기(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블록 형상을 갖는 다리부(6b)와 상기 다리부(6a)의 상단부에서 화살촉 형상으로 확대되는 머리부(6a)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중앙돌기(5)와 측면돌기(6)의 형상은 콘크리트 침목(2)에 방진침목패드를 매립시 부착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부착력 또한 우수한 구조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돌기(6)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측면돌기(6)는 콘크리트 침목(2)에 직접 매립되는 부분이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방진침목패드의 경우, 단부(D)에 위치한 측면돌기(6) 다리부(6b)의 폭(x1)이 20 mm 에 상당하여 패드를 콘크리트 침목(2)에 매립시, 바깥쪽 화살촉 형상돌기의 일부가 콘크리트 침목내의 강선에 걸려서 패드의 삽입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단부(D)에 위치한 측면돌기(6) 다리부(6b)의 폭(x1)을 10 mm 로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이유로 중앙부(C)에 위치한 측면돌기(6) 다리부(6b)의 폭도 종래의 15 mm 에서 10 mm 로 축소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면돌기(6)의 높이(y1)가 높기 때문에 패드 매립시 콘크리트 침목의 강선에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돌기(6)의 높이(y1)는 종래의 60 mm 에서 40 mm 로, 이에 따라 상기 측면돌기(6)의 다리부(6b)의 높이는 종래의 30 mm 에서 20 mm로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베이스판(3)에 형성되는 배출구(7)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림 2에서 알 수 있듯이, 패드를 콘크리트 침목(2)에 매설시 콘크리트의 유동으로 인하여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배불림 현상으로 시공시간이 다소 지연되거나 침목면에 있어서 평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Figure 112005510811173-PAT00002
(그림2)패드 매설시 배불림 현상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는 도 1, 도 4 내지 그림 3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 곳곳에 상기와 같은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7)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불림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침목면의 평탄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의 두께(또는 상기 배 출구(7) 깊이)의 중앙(
Figure 112005510811173-PAT00016
)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곡률반경 10mm의 오목부(7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510811173-PAT00003
(그림3) 배불림 현상의 방지를 위한 배출구의 형상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고속철도용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 및 치수를 단순히 변경하여 일반철도용으로 실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주 내에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에 의하면, 방진침목패드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여 효율적인 시공작업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침목패드의 금형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진침목패드에 오목부를 가진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침목에 방진침목패드를 매립시 상호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여 시공시간이 단축하고 침목면상의 평탄성이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방진침목패드 및 그 구성의 치수를 축소하여 방진침목패드를 콘크리트 침목에 매립시 방진침목패드가 콘크리트 침목내의 강선이나 거푸집에 걸리는 현상을 해소함으로써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철도궤도의 자갈도상(1) 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침목(2)의 하면에 부착되어 주행차량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패드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2)의 하면의 형상과 같은 평면구조를 갖는 베이스판(3)과;
    상기 베이스판(3)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정착돌기(4)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3)이 좌우 대칭으로 2등분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시공오차에 대한 여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부(C)를 좌우대칭 중심으로부터
    Figure 112005510811173-PAT00017
    만큼 축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2)에 패드를 매립시 콘크리트 침목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7)에는 상기 베이스판(3) 두께(H)의 중앙(
    Figure 112005510811173-PAT00018
    )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곡률반경 10 mm 의 오목부(7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돌기(4)는 중앙부(C)와 단부(D)에 걸쳐 상기 베이스판(3)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선 상에 배치되는 중앙돌기(5)과;
    중앙부(C)와 단부(D)에 걸쳐 좌우측 변부에 배치되는 측면돌기(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기(5)는 4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돌기(6)는 4각 블록 형상을 갖는 다리부(6b)와 상기 다리부(6a)의 상단부에서 화살촉 형상으로 확대되는 머리부(6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직침목패드.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돌기(6)는 다리부(6b)의 폭(x1)이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9.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돌기(6)는 높이(y1)가 4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은 상기 콘크리트 침목(2)의 하면의 2등분에 비해 약간 작은 길이(약 95 ~ 98 % 의 크기)와 폭(약 93 ~ 96 % 의 크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KR1020050080727A 2005-08-31 2005-08-31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KR100699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27A KR100699548B1 (ko) 2005-08-31 2005-08-31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27A KR100699548B1 (ko) 2005-08-31 2005-08-31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11A true KR20070025011A (ko) 2007-03-08
KR100699548B1 KR100699548B1 (ko) 2007-03-23

Family

ID=3809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727A KR100699548B1 (ko) 2005-08-31 2005-08-31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5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37644A1 (es) * 2007-07-23 2010-04-27 Iberofon Plasticos, S.L. Suela para traviesas de hormigon para vias ferroviarias.
CN105256670A (zh) * 2014-07-25 2016-01-20 北京宝曼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更换轨枕垫的轨枕
WO2022166343A1 (zh) * 2021-02-03 2022-08-11 李武军 一种塑胶枕木和塑胶枕木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49B1 (ko) * 2017-02-14 2018-07-12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자갈 도상 궤도용 탈착형 침목 방진패드
KR102363912B1 (ko) 2020-03-17 2022-02-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부직포와 일체화된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CA3191144A1 (en) * 2020-09-01 2022-03-10 Yinglong Chen Molding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elastomeric pads for use as rail ties
KR102394041B1 (ko) 2021-07-23 2022-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부직포 융착형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394040B1 (ko) 2021-07-23 2022-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천공형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665114B1 (ko) 2021-11-24 2024-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초속경 하이브리드 충진패드 궤도구조 시스템 및 그 급속시공 방법
KR20230094225A (ko) 2021-12-20 2023-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무패드 양면에 부직포와 일체화되는 침목패드와 그 제작 및 시공 방법
KR20230160984A (ko) 2022-05-17 2023-11-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보강재가 매립된 고무패드를 이용한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그 제작 및 침목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801A (ja) * 1992-07-15 1994-02-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弾性体を取り付けたまくらぎの製造方法
JP3432006B2 (ja) * 1994-06-30 2003-07-28 鉄道軌材工業株式会社 まくらぎ用防振ゴムの取付構造
FR2753998B1 (fr) 1996-09-30 1998-12-18 Etancheite Les Revetements Et Semelle sous traverse pour protection du ballast
JP3839696B2 (ja) * 2001-10-11 2006-11-01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有道床コンクリートまくらぎおよびこれを用いた軌道構造
KR100612755B1 (ko) * 2003-12-17 2006-08-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철도용 방진침목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37644A1 (es) * 2007-07-23 2010-04-27 Iberofon Plasticos, S.L. Suela para traviesas de hormigon para vias ferroviarias.
CN105256670A (zh) * 2014-07-25 2016-01-20 北京宝曼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更换轨枕垫的轨枕
WO2022166343A1 (zh) * 2021-02-03 2022-08-11 李武军 一种塑胶枕木和塑胶枕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548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548B1 (ko)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CN103088722A (zh) 横向刚度加强型轨道扣件
CN103088723A (zh) 轨道弹性固定装置
CN203755097U (zh) 地铁减振钢轨扣件
KR100622069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패드
KR20100134595A (ko) 탄성 레일 지지 블럭 조립체 제조방법
CN205012159U (zh) 一种嵌入式轨道系统
KR100612755B1 (ko) 고속철도용 방진침목 및 그 제작방법
CN105256668A (zh) 一种嵌入式轨道系统
CN110593020B (zh) 一种复合材料合成轨枕
KR200442631Y1 (ko) 받침부재의 밀착 시공을 가능케 하는 콘크리트 도상 궤도의레일 체결장치
CN205874858U (zh) 有枕无档肩弹性不分开式现代有轨电车扣件
CN101250840A (zh) 高弹性轨道扣件
CN201162157Y (zh) 道岔用高弹性垫板
CN207244360U (zh) 一种用于扣件系统的钢轨抗扭限位轨下垫板
KR101184607B1 (ko)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KR100440800B1 (ko) 팬드롤형 교량용 콘크리트 방진침목
CN201228336Y (zh) 高弹性轨道扣件
KR20020064623A (ko) 철근 콘크리트 침목 어셈블리
CN104358191A (zh) 一种埋入式有轨电车扣件
KR102588056B1 (ko) 도시철도 침목 플로팅 궤도용 친환경 고내구성 침목 상자
CN215800710U (zh) 一种减振扣件系统
KR0121490Y1 (ko) 철로용 합성수지침목
CN216514892U (zh) 一种减振扣件系统
CN211848642U (zh) 城市轨道交通用复合型预制吸音轨道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