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771Y1 - 허리운동의자 - Google Patents

허리운동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71Y1
KR200267771Y1 KR2020010034726U KR20010034726U KR200267771Y1 KR 200267771 Y1 KR200267771 Y1 KR 200267771Y1 KR 2020010034726 U KR2020010034726 U KR 2020010034726U KR 20010034726 U KR20010034726 U KR 20010034726U KR 200267771 Y1 KR200267771 Y1 KR 200267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motor
seat plate
wais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2020010034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71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좌판에 착좌한 상태에서 허리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좌판식 허리운동의자의 작동상 신뢰성 및 내구성 증대, 사용편의성 향상, 그리고 다양한 허리운동을 동시에 득할 수 있도록 한 허리운동의자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허리운동의자(1)는 모터(4)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좌판(11)으로 이루어진 허리운동의자(1)에 있어서, 상기 모터(4)의 회전동력을 좌판(11)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벨트풀리(6,8)와 벨트(9)를 사용하고, 상기 피동 벨트풀리(8)상에 편심되게 형성된 결합축공(10)상에 핀(12a)을 저부측에 가진 좌판(11)을 결합하여 모터(4)의 구동에 의하여 좌판(11)이 정역방향 및 회전속도가 제어되면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모터(4)의 정역방향 회전변환시에 가해지는 회전관성으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내구성 증대와 함께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허리부상이나 불쾌감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콘트롤판넬(14)은 아암레스트(13)상에 내입시켜 필요시만 커버(17)를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편의성 및 허리운동 중 방해요소를 일소할 수 있는 등 기존 안출된 허리운동의자(1)에 비하여 그 제품의 질적 수준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허리운동의자{Waist exercise chair}
본 고안은 허리운동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좌판에 착좌한 상태에서 허리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좌판식 허리운동의자의 작동상 신뢰성 및 사용편의성 향상, 그리고 다양한 허리운동을 동시에 득할 수 있도록 한 허리운동의자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국내 등록 실용신안 제 156862 호에는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모터의 기동에 의하여 편심설치된 캠의 원운동에 따라 상기 캠의 상부에 설치고정된 좌판이 원운동을 하도록 하여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 및 복부 등을 자연스럽게 운동할 수 있는 허리운동의자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허리운동의자는 건강한 사람은 물론 노약자나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좌판에 앉을 수만 있으면 좌판이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원운동을 행하므로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히 착좌한 상태에서 허리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성이 떨어진 노약자등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실제 상기 허리운동의자는 허리뿐만 아니라 복부운동에서 큰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변비 등이 있는 환자에게는 대장 등의 운동을 활성화시켜 치료효과까지 얻는 것으로 임상실험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된 실용신안의 경우 모터의 출력축상에 캠이 직접적으로 축고정되어 있고, 상기 캠 위에 좌판이 전후 간격조절(즉, 회전반경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모터가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회전조작할 경우 좌판에 가해지는 회전방향 전환에 따른 충격이 커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무리한 통증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러한 충격에 의한 장치의 내구성도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허리운동의자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허리운동의자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허리운동의자를 사용하여 좌판의 회전방향 변경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그로 인한 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상의 원활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운동의자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 작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허리운동의자 2:다리
3:프레임 4:모터
5:구동축 6:벨트풀리
7:종동축 8:벨트풀리
9:벨트 10:결합축공
11:좌판(seat) 12:고정브라켓
12a:핀 13:아암레스트(arm rest)
14:콘트롤판넬 15:수납요홈
16:힌지 17:커버
18:손잡이 19:핸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허리운동의자(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등으로서, 상기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허리운동의자(1)는 전후로 설치되는 다리(2)와 연결된 프레임(3)상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4)를 프레임(3)의 저부측으로 설치하여 구동축(5)이 프레임(3) 상부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축(5)상에는 벨트풀리(6)를 축고정시켜 프레임(3)의 상부 전측에 설치된 종동축(7)상에 축결합된 벨트풀리(8)와 벨트(9)로 구동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풀리(8)의 상부에는 편심되게 결합축공(10)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축공(10)에 끼움식으로 상부에서 좌판(11)을 결합할 수 있도록 좌판(11)의 저부에는 핀(12a)을 가진 고정브라켓(12)을 고정시킨 것이다.
한편, 허리운동의자(1)의 프레임(3)에서 상부로 연결설치되는 일측 아암레스트(13)에는 콘트롤판넬(14)을 설치하되, 상기 아암레스트(13)에 콘트롤판넬(14) 수납요홈(15)을 형성하여 콘트롤판넬(14)을 매입설치하고, 콘트롤판넬(14) 상부에서 힌지(16)에 의해 각운동 개폐될 수 있는 커버(17)를 아암레스트(13)와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여 필요시에만 커버(17)를 각운동 개방하여 콘트롤판넬(14)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트롤판넬(14)에는 좌판(1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치와,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전환스위치, 그리고 스톱스위치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 작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어 등이 설치되어 모터(4)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허리운동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특히 정역 회전방향의 절환 기능이 매우 원활하고 변속이 자재로운 디지털식 무단변속 모터(4)를 사용함으로서 좌판(11)의 회전이 매우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소음공해가 거의 없어 실내에서 소음발생이 없이 집무중 운동을 겸한 의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모터(4)의 정역방향 또는 회전속도, 작동시간 등의 제어는 일반적인 콘트롤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회로도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허리운동의자(1)는 아암레스트(13)를 좌우로 설치하는 경우는 물론, 도 4와 같이 전측으로 손잡이(18)를 갖는 핸들(19)을 프레임(3)과 연결구성하여 사용자가 좌판(11)에 착좌하여 상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콘트롤판넬(14)은 상기한 핸들(19)의 중앙부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의 부호 3a는 커버프레임, 20은 베어링, 21은 전원코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허리운동의자(1)는 사용자가 좌판(11)에 착좌한 상태에서 콘트롤판넬(14)상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회전시키고, 또한 회전속도, 작동시간 등도 선택하여 좌판(11)에 착좌상태를 유지하면, 모터(4)의 기동에 의하여 이와 벨트(9)로 연결된 종동축(7)상의 벨트풀리(8)가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구동하게되고, 상기 벨트풀리(8)상의 결합축공(10)에 핀(12a)에 의해 결합된 좌판(11)도 종동축(7)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는 상기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모터(4)의 회전구동력이 벨트풀리(6,8)와 벨트(9)에 의해 전동되도록 함으로서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방향을 전환할 경우 벨트(9)의 슬립현상에 의하여 일순간 모터(4)가 정지하였다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더라도 벨트(9)가 그러한 회전관성으로 인한 충격을 벨트풀리(6,8)와 잠깐동안 슬립하면서 수용을 하게 되어, 좌판(11)에 착좌하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물론 장치 구성부재에 전체에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콘트롤판넬(14)은 아암레스트(13)의 내부에 내입구성하고 평소 미사용시에는 커버(17)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 외관상 미려하며, 콘트롤판넬(14) 조작 후에는 커버(17)를 닫고 커버(17)위에 팔을 안치하여 편안한 자세로 허리운동을 행할 수 있어 착좌한 상태에서 매우 편안하게 허리운동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허리운동의자(1)는 모터(4)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좌판(11)으로 이루어진 허리운동의자(1)에 있어서, 상기 모터(4)의 회전동력을 좌판(11)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벨트풀리(6,8)와 벨트(9)를 사용하고, 상기 피동 벨트풀리(8)상에 편심되게 형성된 결합축공(10)상에 핀(12a)을 저부측에 가진 좌판(11)을 결합하여 모터(4)의 구동에 의하여 좌판(11)이 정역방향 및 회전속도가 제어되면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모터(4)의 정역방향 회전변환시에 가해지는 회전관성으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내구성 증대와 함께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허리부상이나 불쾌감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콘트롤판넬(14)은 아암레스트(13)상에 내입시켜 필요시만 커버(17)를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편의성 및 장운동과 허리운동 중 방해요소를 일소할 수 있는 등 기존 안출된 허리운동의자(1)에 비하여 그 제품의 질적 수준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프레임(3)상에 설치된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4)와 좌판(11)을 편심되는 구동수단으로 연결하여 허리운동과 장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허리운동의자(1)에 있어서;
    상기 모터(4)의 구동축(5)상에 벨트풀리(6)를 축고정하여 종동축(7)상의 벨트풀리(8)와 벨트(9)로 연결구동토록 하고,
    상기 종동축(7)상의 벨트풀리(8)에는 결합축공(10)을 편심되게 형성하여 상부에서 핀(12a)을 갖는 고정브라켓(12)이 고정된 좌판(11)을 결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 좌우로 설치된 아암레스트(13) 중 일측 아암레스트(13)에는 수납요홈(15)을 형성하여 모터(11) 제어용 콘트롤판넬(14)을 내삽하고, 상기 콘트롤판넬(14) 상부에는 힌지(16)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17)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 전면으로는 좌우로 손잡이(18)를 가진 핸들(1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의자.
KR2020010034726U 2001-11-12 2001-11-12 허리운동의자 KR200267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26U KR200267771Y1 (ko) 2001-11-12 2001-11-12 허리운동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26U KR200267771Y1 (ko) 2001-11-12 2001-11-12 허리운동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771Y1 true KR200267771Y1 (ko) 2002-03-13

Family

ID=7311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26U KR200267771Y1 (ko) 2001-11-12 2001-11-12 허리운동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63Y1 (ko) * 2011-10-07 2012-09-24 명윤전자(주) 컴퓨터가 설치된 허리운동기구
KR101412779B1 (ko) * 2013-12-26 2014-06-30 이상훈 헬스기구
CN110638240A (zh) * 2019-11-20 2020-01-03 杭州羚动科技有限公司 一种被动运动座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63Y1 (ko) * 2011-10-07 2012-09-24 명윤전자(주) 컴퓨터가 설치된 허리운동기구
KR101412779B1 (ko) * 2013-12-26 2014-06-30 이상훈 헬스기구
CN110638240A (zh) * 2019-11-20 2020-01-03 杭州羚动科技有限公司 一种被动运动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5023169A1 (ja) 下肢用マッサージ装置
KR200267771Y1 (ko) 허리운동의자
JP4223839B2 (ja) 4つ玉式マッサージ機構とこの機構を内蔵したマッサージ装置
JP2001112826A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具えた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3547722B2 (ja) 四つ玉式マッサージ機構とこの機構を内蔵したマッサージ装置
CN213963874U (zh) 膝盖自动按摩结构
TWI743488B (zh) 座椅式按摩機
JP3828766B2 (ja) マッサージ機
JPH0753621Y2 (ja) マッサ−ジ装置
KR200312315Y1 (ko) 허리운동 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JP3303073B2 (ja) 座椅子マッサージ器
JP4194806B2 (ja) マッサージ機
KR100484531B1 (ko) 운동 의자
JP2000279480A5 (ko)
JP2000060913A (ja) マッサージ装置
KR200278256Y1 (ko) 운동 의자
JP2020195713A (ja) マッサージ機
JP4005698B2 (ja) マッサージ装置
JP4062843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0362249Y1 (ko) 다기능 쇼파
KR200349820Y1 (ko) 허리운동기능 회전의자
JP2501503B2 (ja) マッサ−ジ装置
JP2001008996A (ja) マッサージ機及びマッサージ椅子
JP2021040692A (ja) マッサージ機
JP2001314463A (ja) 携帯用挟持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