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450Y1 -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450Y1
KR200265450Y1 KR2020010034166U KR20010034166U KR200265450Y1 KR 200265450 Y1 KR200265450 Y1 KR 200265450Y1 KR 2020010034166 U KR2020010034166 U KR 2020010034166U KR 20010034166 U KR20010034166 U KR 20010034166U KR 200265450 Y1 KR200265450 Y1 KR 200265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re
connecting plate
jig
straigh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엽
Original Assignee
배기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엽 filed Critical 배기엽
Priority to KR2020010034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450Y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에 사용되는 아마추어를 자동으로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코아에 샤프트를 압입하는 압입공정에서 코아를 한단계씩 이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으로는 압입기의 각 공정을 하는 장치의 아래에는 코아(100)를 수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지그(2, 3, 4, 5, 6)를 일직선 및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하며,
이러한 각 지그가 설치되는 위치의 전면부에는 이동장치(40)를 구성하되, 일직선상의 각 지그와 평행하게 이동하는 로드레스실린더(41)를 설치하고, 로드레스실린더(41)의 이동체(42)에 연결판(43)을 부착한 후 연결판(43)에는 수직으로 작용하는 승강실린더(44)를 설치하며, 승강실린더(44)의 상부로 돌출되는 로드(45)에는 다시 연결판(46)을 설치한 후 연결판(46)의 전면부에 소형실린더(47)에 의해 집게(48)가 작동하는 집게실린더(49)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코아의 이동이 실린더와 집게에 의해 수직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개량을 함으로써 그 이동거리가 정확하고 이동 타이밍이 정확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Core moving device}
본 고안은 모터에 사용되는 아마추어를 자동으로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코아에 샤프트를 압입하는 압입공정에서 코아준비, 샤프트 인서트, 샤프트압입, 검사, 배출대기 등으로 구분된 공정위치로 코아를 한단계씩 이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모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아마추어를 조립하는 공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통상 코아에 샤프트를 압입하는 인서트공정, 샤프트가 삽입된 코아에 고주파로 열을 가하는 탈취공정, 절연용 파우더를 융착하는 코팅공정, 코팅된 아마추어의 샤프트에 정류자를 압입하는 인서트공정, 샤프트의 끝단에 스러스트 플러그를 압입하는 공정, 아마추어에 코일을 자동으로 권선하는 와인딩공정, 와인딩한 정류자의 후크를 일정형상으로 가압 및 용접하는 휴징공정, 정류자의 외경을 절삭하는 터닝공정, 절삭 후 칩을 제거하는 브러싱공정, 아마추어의 언발란싱을 수정하는 발란싱공정, 그리고 테스트 및 제품을 이송 또는 적재하는 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공정 중에서 코아에 샤프트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공정에 있어서 여러단계로 분할되는 압입공정을 코아가 차례로 진행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압입공정을 하는 압입기는 자동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통상 코아 스톡커에서 이송된 코아를 대기시키는 단계, 코아에 샤프트를 집어넣는 단계, 샤프트를 완전히 압입하는 단계, 샤프트의 압입깊이를 검사하는 단계, 배출을 하기 위해 대기하는 단계 등으로 구분이 되는데, 이러한 단계를 코아가 정확하게 이동하여야 하는것이다.
종래에는 컨베이어 등을 이용한 이동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이동거리가 정확하고 균일하지 못하거나 작업을 진행중인 여러개의 코아가 동시에 정확한 이동을 하는 것이 어려운 등 코아의 이동이 정확하지가 못하여 작업에 애로가 많았고, 결국 전반적으로 연속자동화를 해야하는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작용에 큰 장애가 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작업을 하는 위치에서 코아가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기 및 이동토록 구성을 변경하고, 그에 따라 코아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실린더와 집게를 이용하고 전체가 일률적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구성으로 개량함으로써 압입기에서의 코아 이동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압입기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도 1의 부분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압입기 2-6: 지그
10: 샤프트공급장치 20: 샤프트압입장치
30: 검사장치 40: 이동장치
41: 로드레스실린더 42: 이동체
43: 연결판 44: 승강실린더
45: 로드 46: 연결판
48: 집게 49: 집게실린더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의한 압입기(1)의 작업 진행 및 코아(100)를 이동하는 시스템을 살펴보면, 압입기(1)의 상부에 샤프트공급장치(10), 샤프트압입장치(20) 및 검사장치(30)를 연속으로 구성하고 각 장치의 아래에는 코아(100)를 수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지그(3, 4, 5)를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각 지그는 일직선상에 위치시켰다.
또한 샤프트공급장치(10)의 앞쪽에는 작업대기 위치로 설정하고검사장치(30)의 뒤쪽에는 배출대기위치로 설정을 하여 각 그 부분에도 코아를 수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지그(2, 6)를 설치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든 지그(2-6)는 일직선상으로 배열을 하면서 모두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각 지그(2-6)가 설치되는 위치의 전면부에는 이동장치(40)를 구성하는데, 우선 일직선상의 각 지그(2-6)와 평행하게 이동하는 로드레스실린더(41)를 설치하고, 로드레스실린더(41)의 이동체(42)에 연결판(43)을 부착한 후 연결판(43)에는 수직으로 작용하는 승강실린더(44)를 설치하였다.
승강실린더(44)의 상부로 돌출되는 로드(45)에는 다시 연결판(46)을 설치한 후 연결판(46)의 전면부에 소형실린더(47)에 의해 집게(48)가 작동하는 집게실린더(49)를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7은 최초에 코아를 공급하는 집게장치,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코아(100)를 집어오는 집게장치(7)에 의해 하나의 코아(100)가 대기위치의 지그(2)에 안착되고 여기에서 본 고안의 이동장치(40)가 작동하여 다음의 지그로 한단계씩 이동을 하여 각 지그(2-6)에 하나씩의 코아(100)가 안착되면서 연속 측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동장치(100)가 작용을 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최초에는 로드레스실린더(41)의 이동체(42)가 대기단계 쪽으로 위치하여 있는 상태이고 아울러 이러한 상태에서는 승강실린더(44)는 후진하여 집게실린더(49)는 아래로 내려와 있으면서 집게(48)는 벌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먼저 집게실린더(49)가 먼저 작용하여 그 앞에 있는 각 코아(100)를 집게되고 그 후 승강실린더(44)가 작용을 하여 집게실린더(49)가 상승을 하고 따라서 코아(100)는 집게(48)에 물려진 상태로 들어올려진다.
그후 로드레스실린더(41)가 작동을 하여 이동체(42)에 의해 각 집게실린더(49)가 이동을 하는데, 그 이동을 하는 거리는 각 지그(2-6) 간의 거리만큼이다.
이동을 완료하고 나면 다시 승강실린더(44)가 하강을 하여 집게실린더(49)를 내리고 집게(48)에 물려있던 코아(100)가 이동된 위치에 있던 지그(3-6)에 안착되면 집게실린더(49)를 작용시켜 집게(48)가 물고 있던 코아(100)를 놓아주게 되는 것이다. 그 후에는 다시 반대의 순서로 작용을 하여 집게(48)가 비어있는 상태로 처음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코아의 이동이 실린더와 집게에 의해 수직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개량을 함으로써 그 이동거리가 정확하고 이동 타이밍이 정확해지는 것으로, 압입기의 전체적인 동작이 매우 정확하고 이루어지게됨으로써 압입기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전체적으로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작용이 문제없이 연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결국 아마추어 조립의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압입기(1)의 상부에 샤프트공급장치(10), 샤프트압입장치(20) 및 검사장치(30)를 연속으로 구성하고 각 장치의 아래에는 코아(100)를 수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지그(3, 4, 5)를 구성하며,
    또한 샤프트공급장치(10)의 앞쪽에는 작업대기 위치로 설정하고 검사장치(30)의 뒤쪽에는 배출대기위치로 설정을 하여 각 그 부분에도 코아(100)를 수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지그(2, 6)를 설치하되, 이러한 모든 지그(2-6)는 일직선상으로 배열을 하면서 모두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하며,
    이러한 각 지그(2-6)가 설치되는 위치의 전면부에는 이동장치(40)를 구성하되, 일직선상의 각 지그(2-6)와 평행하게 이동하는 로드레스실린더(41)를 설치하고, 로드레스실린더(41)의 이동체(42)에 연결판(43)을 부착한 후 연결판(43)에는 수직으로 작용하는 승강실린더(44)를 설치하며,
    승강실린더(44)의 상부로 돌출되는 로드(45)에는 다시 연결판(46)을 설치한 후 연결판(46)의 전면부에 소형실린더(47)에 의해 집게(48)가 작동하는 집게실린더(49)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KR2020010034166U 2001-11-07 2001-11-07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KR200265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166U KR200265450Y1 (ko) 2001-11-07 2001-11-07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166U KR200265450Y1 (ko) 2001-11-07 2001-11-07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450Y1 true KR200265450Y1 (ko) 2002-02-21

Family

ID=7311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166U KR200265450Y1 (ko) 2001-11-07 2001-11-07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4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21B1 (ko) 2015-08-25 2017-01-04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21B1 (ko) 2015-08-25 2017-01-04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2979A (ko) 다수의 면에 대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이송 시스템을 위한작업물 가공 방법 및 작업물 가공 장치
CN210575520U (zh) 基于双转盘的电感线圈打扁裁切沾锡全自动化设备
CN110202346A (zh) 一种插针系统
WO2014155417A1 (ja) 作業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466807B1 (ko) 모터 코어 조립용 자동화 시스템
KR200265450Y1 (ko)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CN113857415B (zh) 电流起动器自动装配机的装铆钉装置
KR102069370B1 (ko) 이젝트핀 자동 가공 장치
CN111546051B (zh) 一种马达的自动装配工艺及其装置
CN113290387A (zh) 阀芯全自动成型加工装备
JPH11318060A (ja) 固定子成層鉄心にコイル巻線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WO2019077803A1 (ja) 部品位置決め用冶具及びそれを用いた部品位置決め装置
JP2010110168A (ja) コイル端部に端子を接続する端子接続方法および端子接続装置
RU268108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такт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KR101184649B1 (ko) 초음파 솔더링장치의 코일보빈 단자 디핑장치
KR20050031518A (ko) 밸브바디의 실 조립장치 및 방법
CN209868633U (zh) 工件加工夹具动力启动装置
JP2009297841A (ja) 移動型汎用治具を用いた組立システム
KR200266998Y1 (ko)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샤프트 압입기용 지그
CN208714522U (zh) 一种3d泡棉芯棒的新型包裹成型模具
CN109659791B (zh) 一种上尾插内芯机构
JPS6322228A (ja) ロボツトを用いた圧入組立システム
JP2007260731A (ja) コイル端子のカシメ装置及びカシメ方法
JP3580160B2 (ja) 電気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16902530U (zh) 扁平线圈切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