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921B1 -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921B1
KR101691921B1 KR1020150119417A KR20150119417A KR101691921B1 KR 101691921 B1 KR101691921 B1 KR 101691921B1 KR 1020150119417 A KR1020150119417 A KR 1020150119417A KR 20150119417 A KR20150119417 A KR 20150119417A KR 101691921 B1 KR101691921 B1 KR 10169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tator
core
unit
press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림
이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Priority to KR102015011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로, 매거진에 적재된 회전자 코어와 정류자를 공급받아 방향과 위치 세팅 후 압입하며, 압입후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여 적합/부적합품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입작업의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복수의 정류자가 파렛트에 적재된 정류자 매거진(110)과 정류자 적재 셔틀(120), 정류자 이송 로봇(130) 및 정류자 컨베이어 유닛(140)으로 이루어진 정류자 공급부(100); 복수의 회전자 코어가 파렛트에 적재된 코어 매거진(210)과 코어 적재 셔틀(220), 코어 이송 로봇(230), 코어 컨베이어(240), 코어 리프터(250)로 이루어진 회전자 코어 공급부(200); 상기 정류자를 회전자 코어에 압입하는 압입부(300); 상기 압입부(300)에서 정류자가 압입된 회전자 코어를 배출하는 배출부(400); 상기 압입부(300)에서 조립된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검사하는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500); 상기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500)에서 측정된 압입 깊이가 비정상인 경우 이를 취출하는 불량품 취출기(600); 및 상기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500)에서 측정된 압입 깊이가 정상인 경우 이를 이송하는 양품 이송 로봇(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A Device for press axial bonding of motor commutator}
본 발명은 모터의 제조과정에서 회전자가 결합된 모터 샤프트에 정류자를 상기 회전자와 일정 간격과 각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압입하기 위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매거진에 적재된 회전자 코어와 정류자를 공급받아 서로 조립하기 위한 방향과 위치를 세팅한 후 압입하며, 압입 후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여 적합/부적합품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자 코어에 정류자를 압입하는 작업의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아마추어(회전자)를 조립하는 공정은, 회전자 코어에 샤프트를 압입하는 코어 압입공정, 아마추어의 샤프트에 정류자를 압입하는 정류자 압입공정, 샤프트의 끝단에 스러스트 플러그를 압입하는 공정, 아마추어에 코일을 자동으로 권선하는 와인딩공정, 와인딩한 정류자의 후크를 일정형상으로 가압 및 용접하는 휴징공정, 정류자의 외경을 절삭하는 터닝공정, 절삭 후 칩을 제거하는 브러싱공정, 아마추어의 언발란싱을 수정하는 발란싱공정, 그리고 테스트 및 제품을 이송 또는 적재하는 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공정 중 회전자 코어의 샤프트에 정류자를 압입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정류자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자가 결합된 모터 샤프트에 정류자를 상기 회전자와 일정 간격과 각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압입하기 위하여 각각의 매거진에 적재된 회전자 코어와 정류자를 공급받아 방향과 위치 세팅 후 압입하며, 압입 후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여 적합/부적합품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자 코어에 정류자를 압입하는 작업의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내지 9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모터 회전자 삽입장치와 아마추어 압입기용 샤프트 공급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모터의 회전자 코어에 정류자를 압입하는 작업의 완전 자동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생산성 또한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1998-056283호(1998.10.15.공개) 고안의 명칭: 모터 회전자 삽입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0404800호(2003.10.28.등록) 발명의 명칭: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코아 스톡커의 구동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38051호(2003.05.16.공개) 발명의 명칭: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샤프트 공급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43116호(2003.06.02.공개) 발명의 명칭: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검사장치 한국등록실용 제20-0237188호(2001.06.26.등록) 고안의 명칭: 모터의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버퍼장치 한국등록실용 제20-0237189호(2001.06.26.등록) 고안의 명칭: 모터의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테스터장치 한국등록실용 제20-0265450호(2002.02.07.등록) 고안의 명칭: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한국등록실용 제20-0265495호(2002.02.07.등록) 고안의 명칭: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버퍼장치 한국등록실용 제20-0266998호(2002.02.22.등록) 고안의 명칭: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샤프트 압입기용 지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자가 결합된 모터 샤프트에 정류자를 상기 회전자와 일정 간격과 각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압입하기 위하여 각각의 매거진에 적재된 회전자 코어와 정류자를 공급받아 방향과 위치 세팅 후 압입하며, 압입 후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여 적합/부적합품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자 코어에 정류자를 압입하는 작업의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의 투입을 장치의 가동 중에도 수시로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압입공정의 로스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정류자가 다단의 파렛트에 적재된 정류자 매거진과, 적재 셔틀, 정류자 이송 로봇 및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정류자 공급부; 복수의 회전자 코어가 다단의 파렛트에 적재된 코어 매거진과, 코어 적재 셔틀, 코어 이송 로봇 및 코어 리프터로 이루어진 회전자 코어 공급부; 상기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를 정렬하여 압입하는 압입부; 상기 압입부에서 정류자가 압입된 회전자 코어를 배출하는 배출부;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 불량품 취출기; 및 양품 이송 로봇;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류자 모터 압입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류자 매거진과 코어 매거진은 각각 다단으로 구성되고, 각 단에는 파렛트에 적재된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만재(FULL), 사용중, 소진(EMPTY)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여 비어있는 상태의 파렛트를 수시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조립 부품의 투입으로 인해 조립작업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는 압입부로 공급되는 정류자와 회전자를 다단의 정류자 매거진에 파렛트 단위별로 투입하여 적재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파렛트에 적재된 상태는 외부에 램프로 만재, 사용중, 소진 상태가 구분되어 보여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비어있는 파렛트를 빼내고 재투입해주는 작업을 수시로 해주기만 하면 되며, 이러한 보충작업은 압입공정을 스톱시키지 않고도 실시가 가능하게 되므로 압입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는 코어의 공급시 정역방향을 검사하여 방향이 잘못 된 경우, 이를 자동으로 반전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회전자 코어의 슬롯 각도와 정류자의 후크 각도를 정렬한 후 맞추어 압입한 후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여 양/불량품을 검사한 후 따로 배출함으로써 압입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입장치에서 조립되는 부품의 조립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실물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에서의 조립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의 측면도,
도 6은 정류자 매거진의 정면도,
도 7은 정류자 적재 셔틀의 사시도,
도 8은 정류자 이송 로봇의 정면도,
도 9는 정류자 컨베이어 유닛의 평면도
도 10은 회전자 코어 매거진의 정면도,
도 11은 코어 이송 로봇의 측면도,
도 12는 코어 컨베이어의 정면도,
도 13은 코어 컨베이어의 평면도,
도 14는 압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압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가 압입된 1차 사출품(회전자 코어; 1)의 샤프트(1a)에 정류자(2)를 일정한 간격과 각도(Groove 중심방식)에 맞추어 압입하는 장치로, 각각의 매거진에 적재된 회전자 코어와 정류자를 공급받아 세팅 후 압입하며, 압입 깊이를 측정하여 적합/부적합품을 분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에서의 조립 공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류자 공급부와 회전자 코어 공급부에서 각각 정류자(2)와 회전자 코어(1)가 공급되는 단계(S10,S20);
정류자(2)의 이물질 제거 및 이송을 위한 흡착 단계(S12)와 회전자 코어(1)의 방향을 점검하는 단계(S22);
정류자(2)와 회전자 코어(1)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세팅하는 단계(S14,S24);
정류자(2)를 회전자 코어(1)에 압입하는 단계(S30); 및
압입된 정류자의 깊이를 측정하여 적합/부적합품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정류자(2)와 회전자 코어(1)가 공급되는 단계(S10,S20)에서부터 적합/부적합품을 분리 배출하는 단계(S40)까지의 순차적인 공정에 따라 압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과 필요한 부분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자 압입장치의 전체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류자 매거진(110)과 정류자 적재 셔틀(120), 정류자 이송 로봇(130) 및 정류자 컨베이어 유닛(140)으로 이루어진 정류자 공급부(100)와; 코어 매거진(210)과 코어 적재 셔틀(220), 코어 이송 로봇(230), 코어 컨베이어(240), 코어 리프터(250)로 이루어진 회전자 코어 공급부(200); 정류자를 회전자 코어에 압입하는 압입부(300); 상기 압입부(300)에서 정류자가 압입된 회전자 코어를 배출하는 배출부(400); 회전자 코어에 압입된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검사하는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500); 불량품 취출기(600); 및 양품 이송 로봇(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정류자 매거진(110)은 정류자의 자동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정류자 파렛트(112)를 다단으로 적재하는 장치로, 도 6의 정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류자 파렛트(112)가 안치된 랙(114)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일종의 슬라이딩 랙(sliding rack)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딩시 도 7에 도시된 정류자 적재 셔틀(120)의 셔틀 플레이트(122)가 각 단의 높이에 맞도록 승강 동작하여 그리퍼(124)가 랙(114)의 지그 핀(116)과 결합한 후 수평 이동하여 공급위치로 인출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류자 매거진(110)의 정류자(2) 적재 수량은 1단에 150개이고, 7단으로 이루어져 1050개의 정류자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정류자 이송 로봇(130)은 도 8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32)가 X로봇(134)과 Y로봇(136) 및 테이블 실린더(138)에 의해 X,Y,Z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류자 적재 셔틀(120)에 안치된 파렛트(112)의 정류자(2)를 2개씩 정류자 컨베이어 유닛(140)에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정류자 컨베이어 유닛(1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류자 이송 로봇(130)에 의해 공급된 정류자(2)의 이물질을 블로우 및 석션유닛(141)에서 제거한 후, 턴 조립체(142)에서 180°반전하여 벨트 컨베이어(143) 위에 로딩하여 압입공정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벨트 컨베이어(143)로 이송되어 온 정류자(2)는 로더(144)에 의해 하부 콜렛(145)에 안치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유닛(146)의 브러쉬(146a)가 접선방향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방향(각도)가 정렬된 후 상부 클램프(148; 도 14 및 도 15 참조)가 정류자를 클램핑하여 90°회전하여 압입 대기를 하게 된다.
상기 상부 클램프(148)는 로터리실린더(149)의 동작에 의해 정류자(1)를 수평상태에서 공급받아 수직 상태로 반전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코어 매거진(210)은 도 10의 정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자 파렛트(212)가 안치된 랙(214)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일종의 슬라이딩 랙(sliding rack)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딩시 도 7에 도시된 정류자 적재 셔틀(12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코어 적재 셔틀(220)의 셔틀 플레이트가 각 단의 높이에 맞도록 승강 동작하여 그리퍼가 랙(214)의 지그 핀과 결합한 후 수평 이동하여 공급위치로 인출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 매거진(210)의 회전자 코어(1) 적재 수량은 1단에 70개이고 7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490개의 회전자 코어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류자 매거진(110)과 코어 매거진(210)에는 각 단의 랙에 안치된 파렛트의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의 유무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도시 생략됨)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단의 랙에 안치된 파렛트의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의 만재 상태와 소진 상태 및 사용(셔틀에 의해 인출된 상태)인 상태를 외부에 각 단별로 적/청/황색 램프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이 램프를 보고 소진된 랙의 파렛트를 외부로 인출하고 다시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가 채워진 파렛트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의 투입작업으로 인해 압입 작업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압입 공정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어 이송 로봇(230)은 도 11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의 회전자 코어를 그리퍼(232)가 잡고 수평이 되도록 90°회전하여 X,Y로봇(234,236)과 실린더(238)의 동작에 의해 2개씩 코어 컨베이어(240)에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코어 컨베이어(240)는 도 12의 정면도 및 도 13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전 투입 오류 방지를 위해 클램프(241)와 공기압 검사방식의 센서(242)로 정/역 검사를 한 후, 턴 로더(243)에 의해 방향을 바르게 정렬한 후 코어 리프터(250)로 배출시키는 갠트리(gantry)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자 코어(1)의 정/역 검사는 회전자 코어의 앞,뒤 부분의 단면 형태(도 1 참조)가 상이하여 회전자 코어(1)의 한 쪽을 클램프(241)로 잡고 코어의 다른 한쪽 부분에 상기 센서(242)의 공기 노즐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압축공기를 불어 회전자 코어의 앞 부분인 경우에는 그 단면 형태가 D-컷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공기가 누출되어 압력이 떨어지고, 회전자 코어의 뒷 부분은 공기 노즐에 밀착되어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므로 정/역 검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역으로 공급된 회전자 코어는 턴 로더(243)에 의해 180°회전하여 공급되게 된다.
도면 중 부호 244는 회전자 코어(2)의 리프트에 앞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더스트 박스이다.
상기 코어 리프터(250;도 2 참조)는 코어 컨베이어(240)에 의해 이송된 회전자 코어(1)를 압입부(30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승/하강하는 유닛으로, 압입하는 동안 회전자 코어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입부(300)는 정류자의 압입 위치를 센터링 방식으로 감지하며 감지범위를 벗어나면 불량처리 하게 되며, 압입력은 로드 셀에서 표시가 되므로 최저압은 조정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 압입력은 각각의 압력 레귤레이터로 공급유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압입하중은 측면 계기판의 로드 셀 인디케이터에 표시된다.
상기 압입부(30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 코어와 정류자를 압입할 수 있도록 서보 프레스(310)를 사용하여 회전자 코어의 슬롯 각도와 정류자의 후크 각도를 맞추어 일정 깊이로 압입하며, 압입시 압입력을 피드백 받는다.
도면 중 부호 320은 스톱퍼 조립체이고, 부호 330은 회전자 코어의 각도를 확인 및 세팅해주는 라쳇 조립체이다.
상기 라쳇 조립체(330)는 에어 실린더(332)의 신축동작에 의해 슬라이더가 라쳇을 일방향으로 움직여 회전자 코어(2)의 압입 각도를 정류자와 일치되도록 맞추어주게 된다.
상기 배출부(400)는 압입 후 검사공정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500)는 압입 완료 후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는 장비로 측정기기는 LVDT를 사용하며, 측정치는 설비 좌측 상단의 인디케이터에 표시된다.
상기 불량품 취출기(600)는 검사를 완료한 제품 중 불량품을 배출시키는 갠트리 타입 언로더이고, 상기 양품 이송 로봇(600)은 압입 검사 후 완료된 제품을 다음 설비로 이송시키는 로봇 조립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에서는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의 투입에서부터 정렬 및 압입 후 압입 깊이의 측정과 양/불량품의 선별 배출에 이르기까지 완전 자동화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류자 압입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의 투입은 작업자가 램프를 보면서 수시로 투입해줄 수 있으므로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 연속으로 압입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생산성의 극대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1 : 회전자 코어
2 : 정류자
100 : 정류자 공급부
110 : 정류자 매거진
120 : 정류자 적재 셔틀
130 : 정류자 이송 로봇
140 : 컨베이어 유닛
200 : 회전자 코어 공급부
210 : 코어 매거진
220 : 코어 이송 로봇
230 : 코어 적재 셔틀
240 : 코어 컨베이어
250 : 코어 리프터
300 : 압입부
310 : 서보 프레스
320 : 스톱퍼 조립체
330 : 라켓 조립체
400 : 배출부
500 : 압입 깊이 검사부
600 : 불량품 취출기
700 : 양품 이송 로봇

Claims (5)

  1. 복수의 정류자가 파렛트에 적재된 정류자 매거진(110)과 정류자 적재 셔틀(120), 정류자 이송 로봇(130) 및 정류자 컨베이어 유닛(140)으로 이루어진 정류자 공급부(100);
    복수의 회전자 코어가 파렛트에 적재된 코어 매거진(210)과 코어 적재 셔틀(220), 코어 이송 로봇(230), 코어 컨베이어(240), 코어 리프터(250)로 이루어진 회전자 코어 공급부(200);
    상기 정류자를 회전자 코어에 압입하는 압입부(300);
    상기 압입부(300)에서 정류자가 압입된 회전자 코어를 배출하는 배출부(400);
    상기 압입부(300)에서 조립된 정류자의 압입 깊이를 검사하는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500);
    상기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500)에서 측정된 압입 깊이가 비정상인 경우 이를 취출하는 불량품 취출기(600); 및
    상기 정류자 압입 깊이 검사부(500)에서 측정된 압입 깊이가 정상인 경우 이를 이송하는 양품 이송 로봇(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 매거진(110)과 코어 매거진(210)은 각각 다단으로 구성되고, 각 단에는 파렛트에 적재된 정류자와 회전자 코어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만재, 사용중, 소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여 소진 상태의 파렛트를 수시로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 매거진(110)과 코어 매거진(210)은 각각 정류자 파렛트(112)와 코어 파렛트(212)가 안치된 랙(114,214)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랙(sliding rack) 형태로 이루어지고, 로딩시 정류자/코어 적재 셔틀(120,220)의 셔틀 플레이트(122,222)가 각 단의 높이에 맞도록 승강 동작하여 그리퍼(124)가 랙(114,214)의 지그 핀(116)과 결합한 후 수평 이동하여 공급위치로 인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 컨베이어 유닛(140)은 상기 정류자 이송 로봇(130)에 의해 공급된 정류자(2)의 이물질을 블로우 및 석션유닛(141)에서 제거한 후, 턴 조립체(142)에서 180°반전하여 벨트 컨베이어(143) 위에 로딩하며, 벨트 컨베이어(143)로 이송되어 온 정류자(2)는 로더(144)에 의해 하부 콜렛(145)에 안치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유닛(146)의 브러쉬(146a)가 접선방향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방향(각도)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컨베이어(240)는 압입 전 투입 오류 방지를 위해 클램프(241)와 공기압 검사방식의 센서(242)로 정/역 검사를 한 후, 턴 로더(243)에 의해 방향을 바르게 정렬한 후 코어 리프터(250)로 배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KR1020150119417A 2015-08-25 2015-08-25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KR10169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417A KR101691921B1 (ko) 2015-08-25 2015-08-25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417A KR101691921B1 (ko) 2015-08-25 2015-08-25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921B1 true KR101691921B1 (ko) 2017-01-04

Family

ID=5783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417A KR101691921B1 (ko) 2015-08-25 2015-08-25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9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1232A (zh) * 2017-04-01 2017-06-30 宁波韵升汽车电机系统有限公司 电枢换向器的压制装置及压制方法
KR101902802B1 (ko) * 2018-04-24 2018-10-01 고진호 샤프트 및 코어 압입장치
KR101932498B1 (ko) * 2018-04-24 2018-12-26 고진호 정류자 압입장치
CN109546818A (zh) * 2018-12-29 2019-03-29 浙江方德机器人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小电机转子换向器自动压装系统
KR102489631B1 (ko) * 2022-06-02 2023-01-18 동양전자공업(주) 모터코어의 코일 자동절곡 장치
CN116260294A (zh) * 2023-05-15 2023-06-13 长沙锐博特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电机定子自动压装设备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890A (en) * 1969-02-20 1971-12-07 Possis Machine Corp Machine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armature cores and commutators therefor
JPH0283128A (ja) * 1988-09-16 1990-03-23 Axis Spa 電動機の小組立部品のための生産ライン
KR960025753U (ko) * 1994-12-30 1996-07-22 정류자의 압입치수 검출장치
KR19980056283A (ko) 1996-12-28 1998-09-25 추호석 차량의 모래 비산 장치
KR200237188Y1 (ko) 2001-03-30 2001-10-10 배기엽 모터의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버퍼장치
KR200237189Y1 (ko) 2001-03-30 2001-10-10 배기엽 모터의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테스터장치
KR200265495Y1 (ko) 2001-11-14 2002-02-21 배기엽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버퍼장치
KR200265450Y1 (ko) 2001-11-07 2002-02-21 배기엽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KR200266998Y1 (ko) 2001-12-05 2002-03-06 배기엽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샤프트 압입기용 지그
KR20030038051A (ko) 2001-11-08 2003-05-16 (주) 엠 퍼스트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샤프트 공급장치
KR20030043116A (ko) 2001-11-27 2003-06-02 (주) 엠 퍼스트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검사장치
KR100404800B1 (ko) 2001-10-15 2003-11-07 (주) 엠 퍼스트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코아 스톡커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890A (en) * 1969-02-20 1971-12-07 Possis Machine Corp Machine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armature cores and commutators therefor
JPH0283128A (ja) * 1988-09-16 1990-03-23 Axis Spa 電動機の小組立部品のための生産ライン
KR960025753U (ko) * 1994-12-30 1996-07-22 정류자의 압입치수 검출장치
KR19980056283A (ko) 1996-12-28 1998-09-25 추호석 차량의 모래 비산 장치
KR200237188Y1 (ko) 2001-03-30 2001-10-10 배기엽 모터의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버퍼장치
KR200237189Y1 (ko) 2001-03-30 2001-10-10 배기엽 모터의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테스터장치
KR100404800B1 (ko) 2001-10-15 2003-11-07 (주) 엠 퍼스트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코아 스톡커의 구동장치
KR200265450Y1 (ko) 2001-11-07 2002-02-21 배기엽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코아 이동장치
KR20030038051A (ko) 2001-11-08 2003-05-16 (주) 엠 퍼스트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샤프트 공급장치
KR200265495Y1 (ko) 2001-11-14 2002-02-21 배기엽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용 버퍼장치
KR20030043116A (ko) 2001-11-27 2003-06-02 (주) 엠 퍼스트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압입기용 검사장치
KR200266998Y1 (ko) 2001-12-05 2002-03-06 배기엽 아마추어 조립시스템의 샤프트 압입기용 지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1232A (zh) * 2017-04-01 2017-06-30 宁波韵升汽车电机系统有限公司 电枢换向器的压制装置及压制方法
CN106911232B (zh) * 2017-04-01 2024-04-16 宁波韵升电驱动技术有限公司 电枢换向器的压制装置及压制方法
KR101902802B1 (ko) * 2018-04-24 2018-10-01 고진호 샤프트 및 코어 압입장치
KR101932498B1 (ko) * 2018-04-24 2018-12-26 고진호 정류자 압입장치
CN109546818A (zh) * 2018-12-29 2019-03-29 浙江方德机器人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小电机转子换向器自动压装系统
KR102489631B1 (ko) * 2022-06-02 2023-01-18 동양전자공업(주) 모터코어의 코일 자동절곡 장치
CN116260294A (zh) * 2023-05-15 2023-06-13 长沙锐博特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电机定子自动压装设备
CN116260294B (zh) * 2023-05-15 2023-08-11 长沙锐博特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电机定子自动压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21B1 (ko) 모터 정류자 압입장치
KR100491304B1 (ko) 번인 테스터용 소팅 핸들러
US95217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carrier tapes with electronic components
CN106002285B (zh) 一种煮锅的自动装配线
CN104227422A (zh) 带线式充电器自动测试铆合镭雕生产线
KR101411458B1 (ko) 샤프트 검사 장치
TWI601965B (zh) Component Processor
KR101390569B1 (ko) 탄환 결합기
TWI782566B (zh) 電子部件測試用分選系統和電子部件安置用適配器
CN109451720B (zh) 一种dip芯片引脚自动整形与插件设备
KR20230165173A (ko) 소자소팅장치
KR20170133897A (ko) 프로브 핀 자동조립장치
KR101831256B1 (ko) 반도체 스트립 정렬장치 및 반도체 스트립 정렬방법
CA289392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battery plates and arranging them in wet or agm battery cases for cars or trucks
KR101611876B1 (ko) 반도체 패키지 핸들러
JPS62263647A (ja) ウエハプロ−バ
KR20100067844A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장치
TWI704585B (zh) 轉子鐵芯加工裝置及其加工方法
KR20180102475A (ko) 소자핸들러 및 소자 픽앤플레이스 방법
KR20050003643A (ko) 스마트 배터리의 배터리셀 용접장치 및 그 방법
CN219884991U (zh) 一种变压器自动检测上料装置
JP3927180B2 (ja) 半導体素子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4588913B2 (ja) 部品搬送装置
KR102465895B1 (ko) 필터 제조 장치
CN210802366U (zh) 电机定子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