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936Y1 - 축구공형 교반기 - Google Patents

축구공형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936Y1
KR200264936Y1 KR2020010034288U KR20010034288U KR200264936Y1 KR 200264936 Y1 KR200264936 Y1 KR 200264936Y1 KR 2020010034288 U KR2020010034288 U KR 2020010034288U KR 20010034288 U KR20010034288 U KR 20010034288U KR 200264936 Y1 KR200264936 Y1 KR 200264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tank
water supply
supply pipe
tank
socc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원
Original Assignee
한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원 filed Critical 한태원
Priority to KR2020010034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936Y1/ko

Links

Landscapes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반탱크가 X,Y축 방향으로 동시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골고루 교반시키는 교반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교반탱크가 축구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근본적인 교반기능과 더불어 조형물로서의 시각적인 미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축구공형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시각적 비중이 높은 부분인 교반탱크를 축구공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조형물로서의 미감은 물론 축구분위기를 연상시키는 역동적인 이미지를 부수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형적인 미감전달과 부응하여 교반기로서의 근본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반탱크의 저면에서 물분사가 이루어지게 하여 보다 원활한 물공급과 바닥면에 혼합물이 늘어붙는 일이 없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축구공형 교반기{Soccer ball type mixer}
본 고안은 교반탱크가 X,Y축 방향으로 동시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골고루 교반시키는 교반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교반탱크가 축구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근본적인 교반기능과 더불어 조형물로서의 시각적인 미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축구공형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목적 교반기로는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1-16073호 및 제2001-20437호가 제시되고 있다.
이에 우선적으로 상기 선출원 고안을 살펴보면 전자인 제 2001-16073호는 교반탱크가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도중에도 탱크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가 구비되어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유용한 것이었다.
또한 후자인 2001-20437호는 종래 일방향 회전하는 교반탱크의 기본적 구조를 탈피하여 X,Y축 양방향으로 교반탱크가 동시 회전되어 교반력이 배가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라나 상기 양자의 경우 교반기로서의 교반기능만을 수행할 뿐 미적인 부분이 고려되지 않아 시각적으로 일반적인 기계장치로만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는 근래의 모든 물품이 기본적인 기능수행은 물론 조형물로서의 역할을 하여 부가적으로 보는 이에게 미감을 전달하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매우 효과적이지 못하는 것이었다.
한편 교반탱크에 설치된 급수장치는 급수가 교반탱크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이루어지므로 교반탱크의 바닥면에는 급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혼합물이 늘어붙는 일이 발생되고, 물분사시 직경이 작은 급수관에 설치된 소량의 분사구를 통해 물분사되므로 물공급 능력이 미흡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근본적인 교반기의 교반기능을 염두한 채 시각적 비중이 높은 부분인 교반탱크를 축구공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조형물로서의 미감은 물론 축구분위기를 연상시키는 역동적인 이미지를 부수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함을 주된 기술적과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형적인 미감전달과 부응하여 교반기로서의 근본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반탱크의 저면에서 물분사가 이루어지게 하여 보다 원활한 물공급과 바닥면에 혼합물이 늘어붙는 일이 없게함을 또 다른 기술적과제도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교반탱크의 개방부를 나타낸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교반탱크를 구성하는 육각편 및 오각편의 사시도로서
(가)는 육각편의 사시도 (나)는 오각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내측에서 바라본 육각편과 오각편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교반탱크의 결합상태 일부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급수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급수수단의 일부절결 평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분사헤드의 분사구가 개방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교반기 3: 탱크지지대 4: 교반탱크
10: 육각편 11: 육각곡면 12,22: 용착돌기
20: 오각편 21: 오각곡면 31: 급수관
34: 베어링홀더 35: 스토퍼 40: 분사헤드
43:오링 45: 분사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언급한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에 연속되는 바 우선적으로 선출원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선출원 고안의 교반기(M)는 도 1내지 도2와 같이 일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1)가 설치된 프레임(2)에 U자형의 탱크지지대(3)가 회동되게 설치되고 이 탱크지지대(3) 중앙에는 교반탱크(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탱크(4)의 내부에는 저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시키는 급수수단(5)이 설치되어 혼합물의 교반도중 물공급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교반탱크(4)는 환형래크(6)와 피니언기어의 조합에 의해 X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Y축 방향 회전수단(7)에 의해 Y축 방향으로 병행 회전하므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물을 교반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이러한 공지의 교반기(M)에 있어서, 상기 교반탱크(4)가 축구공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조형물로서의 미감전달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급수수단(5)에 의한 급수가 교반탱크(4)의 저부에서 이루어져 보다 효과적인 물공급과 혼합물이 바닥면에 늘어붙음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교반탱크(4)의 구성은 다수의 육각편(10)과 오각편(20)이 퍼즐을 맞추듯이 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형상을 갖는 조형물의 기능을 수행한다.
육각편(10)은 도 4와 같이 육각형을 이루되 외면이 만곡지게 육각곡면(11)으로 형성되고 상기 육각곡면(11)의 측면부에는 육각편(10) 및 오각편(20)의 상호간 결합을 위한 용착돌기(12)가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오각편(20)은 오각형을 이루되 육각편(10)과 동일하게 외면이 만곡지게 오각곡면(21)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각곡면(21)의 측면부에도 용착돌기(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육각편(10)과 오각편(20)을 퍼즐을 맞추듯 각각의 용착돌기(12)(22)를 맞댄후 접촉부위를 특수용접(알곤용접 등) 하여 순차적으로 구형상을 갖도록 제작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의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용착돌기(12)(22)는 각각의 육각편(10)과 오각편(20)을 결합시키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도 6과 같이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교반시 교반탱크(4)의 회전과 더불어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자연스럽게 섞어주는 교반날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교반날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교반력이 뛰어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육각편(10)과 오각편(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교반탱크(4)는 내부에 혼합물을 투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중앙 최상부의 육각편(10)에 개방부(13)가 설치되어 이 개방부(13)를 통해 혼합물이 투입,배출이 가능하며, 상기 개방부(13)에는 탱크밀폐수단(8)에 의해 조작되는 밀폐커버(8a)가 씌어져 교반탱크(4)가 Y축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혼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탱크밀폐수단(8) 및 교반탱크(4)를 Y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Y축 방향 회전수단(7)에 대해서는 선출원 고안에 상세하게 명시된 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교반탱크(4)는 별도의 중공축을 매개로 하여 탱크지지대(3)에 지지되지 않고 교반탱크(4)를 구성하는 중앙 저부의 육각편(10)을 관통하여 설치된 급수관(31)에 의해 회전 지지되므로써 구조적으로 간소화를 추구하게 된다.
여기에서 급수관(31)은 교반탱크(4)와 결합시 구조적인 취약을 방지하기 위해 교반탱크(4) 내,외면에 별도의 급수관보강캡(32)이 결합된채 상기 급수관보강캡(32)이 급수관(31)의 상단 및 중앙부위와 용착되므로써 교반탱크(4)와 급수관(31)이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31)은 종래에 비해 상부로 돌출됨이 줄어든 상태에서 하단에 부착된 로터리밸브(33)와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교반탱크(4)의 저부로부터 물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Y축 방향 회전시 급수관(31)이 탱크지지대(3)로부터 이탈되어 교반탱크(4)가 파손되거나 작업자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급수관(31)이 탱크지지대(3)에 부착된 별도의 베어링홀더(34)에 회전가능하게 내삽된다.
베어링홀더(34)는 도 7과 같이 중앙에 스토퍼(35)가 형성되고 스토퍼(35) 상,하부에 베어링(36)이 내재되며 각각의 베어링(36)은 급수관(31)에 결합된 스냅링(37)에 의해 상,하부로 유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반탱크(4)가 Y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탱크지지대(3)가 상,하부에 관계없이 위치되더라도 급수관(31)이 베어링(36)을 매개로 스토퍼(35)에 이동이 제한되므로써 탱크지지대(3)와 분리되는 일이 없게된다.
상기 급수관(31)을 통해 교반탱크(4)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저면에서 사방으로 분사가능하게 급수관(31) 상부에 분사헤드(40)가 설치된다.
분사헤드(40)는 일단 급수관(31)의 상단부와 교반탱크(4) 내부가 격리되게 실리콘 등의 접합제를 이용하여 급수관보강캡(32)에 저면이 접합되고 중앙에는 급수관(31) 상단에 형성된 나비너트 형상의 체결부(41)에 체결구(42)로 체결되므로써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분사헤드(40)는 하부 외주연에 오링(43)이 끼워지는 오링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44)에는 급수관(31)을 통해 급수된 물이 분사헤드(40)를 거쳐 탱크내부로 분사될 수 있는 분사구(45)가 오링홈(44)과 연통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급수관(31)을 통한 물은 일정압이 가해지면 오링(43)이 외부로 늘어나면서 자연적으로 분사구(45)를 통해 교반탱크(4) 바닥면에서 사방으로 분사되어 혼합물에 효과적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고 이로 인해 혼합물이 탱크 바닥면에 늘어붙는 일이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시각적 비중이 높은 교반탱크가 축구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근본적인 교반기능은 물론 축구분위기를 연상시키는 역동적인 이미지와 조형물로서 보는 이에게 미감을 전달하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으며, 교반탱크 내부로 급수되는 물이 급수관에서 직접 분사되지 않고 분사헤드 내부공간을 거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사구를 통해 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분사되므로 혼합물에 균일한 물공급이 가능하고 탱크의 바닥면에 혼합물이 늘어 붙는 일이 없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프레임(2)에 회동되게 설치된 탱크지지대(3) 중앙에 교반탱크(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탱크(4) 내부에 저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시키는 급수수단(5)이 설치되며, 상기 교반탱크(4)는 환형래크(6)와 피니언기어 조합에 의해 X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Y축 방향 회전수단(7)에 의해 Y축 방향으로 병행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골고루 교반시키는 교반기(M)에 있어서,
    상기 교반탱크(4)는 외면이 만곡진 육각곡면(11)의 측면부에 내향으로 절곡된 용착돌기(12)가 형성된 육각편(10)과, 외면이 만곡진 오각곡면(21)의 측면부에 내향으로 절곡된 용착돌기(22)가 형성된 오각편(20)을 조합하되 상기 육각편(10)과 오각편(20)은 퍼즐을 맞추듯 각각의 용착돌기(12)(22)를 맞댄 후 용착시켜 구형상으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교반탱크(4) 저면 내,외부에 결합된 급수관보강캡(32)에 교반탱크(4)와 연통되는 급수관(31)을 설치하고,
    상기 급수관(31)은 탱크지지대(3)에 부착되고 중앙의 스토퍼(35) 상,하부에 베어링(36)이 내재된 베어링홀더(3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상기 급수관(31) 상부에 분사헤드(40)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공형 교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반탱크(4)를 구성하는 중앙 상부 육각편(10)에는 혼합물을 투입,배출시키는 개방부(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공형 교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사헤드(40)는 밀폐되게 저면을 급수관보강캡(32)에 접합하고, 중앙에는 급수관(31)에 형성된 체결부(41)에 체결구(42)로 체결시키며, 하부 외주연에 오링(43)이 끼워지는 오링홈(44)을 형성하되 상기 오링홈(44)과 연통되고 급수관(31)을 통해 급수된 물을 교반탱크(4) 내부로 분사시키는 분사구(45)를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공형 교반기.
KR2020010034288U 2001-11-08 2001-11-08 축구공형 교반기 KR200264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8U KR200264936Y1 (ko) 2001-11-08 2001-11-08 축구공형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8U KR200264936Y1 (ko) 2001-11-08 2001-11-08 축구공형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936Y1 true KR200264936Y1 (ko) 2002-02-21

Family

ID=7311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88U KR200264936Y1 (ko) 2001-11-08 2001-11-08 축구공형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9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18937A (zh) * 2023-09-28 2023-11-10 壹邦医疗健康科技(云南)有限公司 一种口腔创口表面凝胶成型装置及其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18937A (zh) * 2023-09-28 2023-11-10 壹邦医疗健康科技(云南)有限公司 一种口腔创口表面凝胶成型装置及其工艺
CN117018937B (zh) * 2023-09-28 2023-12-15 壹邦医疗健康科技(云南)有限公司 一种口腔创口表面凝胶成型装置及其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162B1 (ko) 다 색상 페인트 도포용 분사장치
EP3384821A1 (en) Spraying arm assembly of dish washer and dish washer having same
KR200264936Y1 (ko) 축구공형 교반기
KR200398734Y1 (ko) 콘크리트믹서기 및 저장홉퍼와 레미콘차량홉퍼 세척장치
JPH04161303A (ja) セメントミルク等の混練容器の洗浄装置
JPH08257387A (ja) 攪拌装置及び攪拌用容器及び攪拌子
CN209292722U (zh) 用于滚筒洗衣机的搅拌器和具有其的滚筒洗衣机
US4095288A (en) Variable agitator mixer
CN215542378U (zh) 一种用于旋转涂胶的双液静态阀
CN206838005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粘结剂搅拌机
US20060118655A1 (en) Concrete mixer
CN201249146Y (zh) 喷水器结构
CN114309046A (zh) 一种适用于草坪浅底部的旋喷装置
CN114146837A (zh) 一种具有直射、扫射切换出水的水枪
CN217043071U (zh) 一种具有直射、扫射切换出水的水枪
JP5772030B2 (ja) 粉体噴射装置
CN208914324U (zh) 一种色母料搅拌机
KR20000037685A (ko) 용기 세척기
CN213152924U (zh) 一种园林用化肥喷洒装置
CN213320849U (zh) 一种窖泥和泥机
JP4703002B2 (ja) 加水混合機
CN210585473U (zh) 一种油漆喷枪
JPS5826030Y2 (ja) 噴霧装置用の薬液タンク
CN216654989U (zh) 一种摆动水花结构
JPS5912173Y2 (ja) コンクリ−ト等のミキ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