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268Y1 - 2단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2단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268Y1
KR200264268Y1 KR2020010022989U KR20010022989U KR200264268Y1 KR 200264268 Y1 KR200264268 Y1 KR 200264268Y1 KR 2020010022989 U KR2020010022989 U KR 2020010022989U KR 20010022989 U KR20010022989 U KR 20010022989U KR 200264268 Y1 KR200264268 Y1 KR 200264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ower frame
frame
rol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전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형 filed Critical 전재형
Priority to KR2020010022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268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판(111, 121)을 각각 구비한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절첩식 신축장치인 승강부(130)에 의해 연결한 2단 주차설비로서, 하부 프레임(120)의 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한쌍의 반원형 받침편(122)을 형성하고, 상부 프레임(110)의 양측 선단의 외부에는 슬릿(114)을 각각 형성하고,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방의 지면에는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을 설치하며, 고정브래킷(20)의 각각의 상부에는 한쌍의 장공(20a)을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고,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의 한쌍의 장공(20a)에는 스텝 롤(21)의 롤축(22)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의 스텝 롤(21)의 롤축(22)에는 스프로킷(23)이 설치되며, 각각의 스프로킷(23)에는 체인(24)이 감겨져 있고,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의 각각의 외측에는 한쌍의 스텝 롤(21)의 롤축(22)들 중 하나에 연결된 감속기(30)가 설치되고, 감속기(33)에는 스크루인 출력축(31)이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에 평행하게 돌출되며, 승강부(130)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는 출력축(31)에 맞물려 출력축(31)이 회전함에 따라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부(130)의 상부 단부의 일단은 상부 프레임(110)의 슬릿(114)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한쌍의 스텝 롤(21)의 아래에는 제동부(40)를 설치하되, 제동부(40)의 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한쌍의힌지(41)를 형성하여 힌지(41)의 힌지축을 고정브래킷(20)에 고정하고, 제동부(40)의 전반부의 상면에는 스텝 롤(21)의 반경보다 약간 큰 한쌍의 반원형 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반원형 홈(42)의 내면에는 브레이크패드(43)가 설치되어 있고, 제동부(40)는 그 후반부 상면이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판(121)의 선단 저면에 맞닿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단 주차설비{double parking equiptment}
본 고안은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륜의 회전력을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이용하는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단 주차설비는,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설치된 가동판 상에 차량을 안착시켜 2단으로 주차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차설비는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므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드는 2단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고정브래킷의 상세도,
도 5는 제1 차량이 상부 프레임 상의 지지판에 안착된 후, 제2 차량의 구동륜이 스텝 롤 상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제2 차량의 구동륜을 회전시켜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도 7은 제1 차량을 실은 상부 프레임이 상승된 후, 제2 차량이 하부 프레임의 지지판 상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2단 주차설비는, 지지판(111, 121)을 각각 구비한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절첩식 신축장치인 승강부(130)에 의해 연결한 2단 주차설비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한쌍의 반원형 받침편(122)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양측 선단의 외부에는 슬릿(11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방의 지면에는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브래킷(20)의 각각의 상부에는 한쌍의 장공(20a)을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의 한쌍의 장공(20a)에는 스텝 롤(21)의 롤축(22)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각각의 스텝 롤(21)의 롤축(22)에는 스프로킷(23)이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스프로킷(23)에는 체인(24)이 감겨져 있고, 상기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의 각각의 외측에는 상기 한쌍의 스텝 롤(21)의 롤축(22)들 중 하나에 연결된 감속기(30)가설치되고, 상기 감속기(33)에는 스크루인 출력축(31)이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에 평행하게 돌출되며, 상기 승강부(130)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는 상기 출력축(31)에 맞물려 상기 출력축(3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130)의 상부 단부의 일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슬릿(114)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한쌍의 스텝 롤(21)의 아래에는 제동부(40)를 설치하되, 상기 제동부(40)의 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한쌍의 힌지(41)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41)의 힌지축을 상기 고정브래킷(20)에 고정하고, 상기 제동부(40)의 전반부의 상면에는 스텝 롤(21)의 반경보다 약간 큰 한쌍의 반원형 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반원형 홈(42)의 내면에는 브레이크패드(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동부(40)는 그 후반부 상면이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판(121)의 선단 저면에 맞닿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그 양측이 각각 승강부(1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그 위에 안착하기 위한 지지판(111, 121)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111, 121)의 각각의 상면 후단에는 차륜의 전진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11a,1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20)의 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한쌍의 반원형 받침편(1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120)은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그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어 있다.
승강부(130)는, 중간부가 힌지로 연결된 다수의 막대의 양단부를 힌지 연결하여 그 상하 단부를 각각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의 각각의 양측에 연결한 절첩식 신축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막대를 힌지 연결하여 승강부(130)를 구성하고 있다. 각각의 승강부(130)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 스크루 너트(131)를 형성하고 있다. 스크루 너트(131)는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 외부 또는 스크루 너트(131)에 각각 슬릿 또는 돌기부 등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루 너트(131)가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에 대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의 양측 선단의 외부에는 슬릿(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부(130)의 상부 단부의 일단은 슬릿(114)에 삽입되어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방의 지면에는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20)의 각각의 상부에는 한쌍의 장공(20a)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장공(20a)의 서로간의 이격거리는 차륜(W)의 직경보다 짧아야 하며, 차륜(W)의 반경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장공(20a)에는 스텝 롤(21)의 롤축(22)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이격된 한쌍의 스텝 롤(21)은 고정브래킷(2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격된 한쌍의 스텝 롤(21) 사이에는 차량의 차륜(W)이 안착된다. 차륜(W)이 구동륜인 경우, 차륜(W)이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스텝 롤(2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각각의 스텝 롤(21)의 롤축(22)에는 스프로킷(23)이 설치되며, 각각의 스프로킷(23)에는 체인(24)이 감겨져 있다. 따라서, 한쌍의 스텝 롤(21)은 서로 연동되어 회전한다.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의 각각의 외측에는 한쌍의 스텝 롤(21)의 롤축(22)들 중 하나에 연결된 감속기(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감속기(30)는 웜기어 형태의 감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감속기(30)의 출력축(31)은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에 평행하게 돌출된 스크루 형태의 축이며, 각각의 승강부(130)의 스크루 너트(131)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축(31)에 맞물린 스크루 너트(131)는 출력축(31)이 회전함에 따라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스크루 너트(131)가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130)의 상부 단부의 일단이 슬릿(114)을 따라 후방으로 미끄럼 운동하면서 승강부(130)가 펼쳐지고, 따라서, 상부 프레임(110)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스크루 너트(131)가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따라 다시 전방으로이동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130)의 상부 단부의 일단이 슬릿(114)을 따라 다시 전방으로 미끄럼 운동하면서 승강부(130)가 접혀지고, 따라서, 상부 프레임(110)이 하강하게 된다.
감속기(30)는 웜기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롤축(22)의 회전수를 감소시킨 만큼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롤축(21)의 회전만으로 차량을 실은 승강부(130)를 승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쌍의 스텝 롤(21)의 아래에는 제동부(40)가 설치된다. 제동부(40)의 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한쌍의 힌지(41)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41)의 힌지축은 고정브래킷(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동부(40)는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그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어 있다.
제동부(40)는 전반부의 상면에 스텝 롤(21)의 반경보다 약간 큰 한쌍의 반원형 홈(42)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반원형 홈(42)의 내면에는 브레이크패드(43)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동부(40)는 그 후반부 상면이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판(121)의 선단 저면에 맞닿도록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120) 상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 또는 하부 프레임(120) 상에 차량이 안착되지 않았을 때 하부 프레임(120)은 그 전반부가 반원형 받침편(12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그 후반부가 반원형 받침편(122)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판(21)의 선단 저면이 제동부(40)의 그 후반부 상면에 맞닿아 제동부(40)의 그 후반부 상면을 내리 누르면, 제동부(40)는 그 후반부가 힌지(41)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그 전반부가 힌지(41)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동부(40)의 전단부가 힌지(41)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면, 반원형 홈(42)의 브레이크패드(43)가 스텝 롤(21)의 저면과 맞닿게 되며, 따라서, 스텝 롤(21)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20) 상에 힘이 가해지면,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 상에 차량이 안착되면, 차량을 포함한 상하부 프레임 전체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쏠리게 되므로, 하부 프레임(120)은 그 후반부가 반원형 받침편(122)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그 전반부가 반원형 받침편(122)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동부(40)의 그 후반부 상면에 맞닿아 있던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판(121)의 선단 저면이 제동부(40)의 그 후반부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면, 제동부(40)는 그 후반부가 힌지(41)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고 그 전반부가 힌지(11)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동부(40)의 전반부가 힌지(41)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면, 스텝 롤(21)의 저면과 맞닿아 있던 반원형 홈(42)의 브레이크패드(43)가 스텝 롤(21)의 저면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따라서, 스텝 롤(2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동부(40)의 전방에는 차량의 진입을 쉽게 하기 위한 경사판(50)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의해 2대의 차량을 2단으로 주차시키는 작동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서는 제동부(40)의 브레이크패드(43)가 스텝 롤(21)의 저면과 맞닿아서 스텝 롤(21)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1 차량이 진입하더라도 스텝 롤(21)이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차량의 차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롤(21)을 타고 넘어 전진하여 상부 프레임(110)의 지지판(111) 상에 안착된다.
이렇게, 상부 프레임(110) 상에 차량이 안착되면, 제동부(40)의 브레이크패드(43)가 스텝 롤(21)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스텝 롤(2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 2차량을 진입시키면, 제2 차량의 구동륜은 한쌍의 스텝 롤(21) 사이에서 스텝 롤(21)을 타고 넘지 못하고 스텝 롤(21)을 회전시키므로 더 이상 진입하지 않게 된다. 제2 차량을 진입할 때에는 구동륜을 먼저 진입시켜야 한다. 본 고안에서는 전륜구동 차량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차량의 구동륜이 스텝 롤(21) 사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륜을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스텝 롤(2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텝 롤(21)의 회전력은 감속기(30)를 거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3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루 너트(13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승강부(130)를 상승시킨다.
스크루 너트(131)가 후방으로 계속 이동하여, 승강부(130)가 완전히 상승하면, 출력축(31)과 스크루 너트(131) 사이에 부하가 걸리므로 출력축(31)이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스텝 롤(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않게 된다. 스텝 롤(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면, 제2 차량의 구동륜은 스텝 롤(21)을 타고 넘어 전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판(121) 상에 안착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 차량의 2단 주차가 완료된다.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2단 주차된 2대의 차량을 출차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주차 작동순서와 반대로 하면 된다.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판(121) 상의 제2 차량을 후진시키면, 먼저 종동륜인 후륜은 스텝 롤(21) 사이에 안착되는데, 구동륜인 전륜이 지지판(121) 상에 있으므로, 후륜은 스텝 롤(21)을 타고 넘게 되고 전륜은 스텝 롤(21) 사이에 안착된다. 구동륜인 전륜을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구동시키면 스텝 롤(2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텝 롤(21)의 회전력은 감속기(30)를 거쳐 출력축(3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루 너트(13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승강부(130)를 하강시킨다.
스크루 너트(131)가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여, 승강부(130)가 완전히 하강하면, 출력축(31)과 스크루 너트(131) 사이에 부하가 걸리므로 출력축(3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스텝 롤(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차량의 구동륜을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구동륜은 스텝 롤(21)을 타고 넘어 후진하여 제2 차량의 출차가 완료된다.
다음, 제1 차량을 후진시키면, 즉, 제1 차량의 차륜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텝 롤(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차륜이 스텝 롤(21)을 타고 넘어 후진하여 제1 차량의 출차가 완료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 차량의 2단 출차가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 선단의 하부에 바퀴(116)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주차설비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차설비를 분리하여 이동시켜야 하는데, 승강부(130)의 스크루 너트(131)에서 감속기(30)의 출력축(31)을 분해함으로써 상하부 프레임(110, 120) 및 승강부(130)과 고정브래킷(20), 스텝 롤(21), 감속기(30) 및 제동부(40) 등을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부 프레임(110, 120) 및 승강부(130)의 이동시, 하부 프레임(120)의 후단을 들면 선단의 바퀴(116)가 지면에서 회전하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의하면, 차량의 차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으로 사용하므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지판(111, 121)을 각각 구비한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절첩식 신축장치인 승강부(130)에 의해 연결한 2단 주차설비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한쌍의 반원형 받침편(122)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양측 선단의 외부에는 슬릿(11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방의 지면에는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브래킷(20)의 각각의 상부에는 한쌍의 장공(20a)을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의 한쌍의 장공(20a)에는 스텝 롤(21)의 롤축(22)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각각의 스텝 롤(21)의 롤축(22)에는 스프로킷(23)이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스프로킷(23)에는 체인(24)이 감겨져 있고,
    상기 한쌍의 고정브래킷(20)의 각각의 외측에는 상기 한쌍의 스텝 롤(21)의 롤축(22)들 중 하나에 연결된 감속기(30)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33)에는 스크루인 출력축(31)이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에 평행하게 돌출되며, 상기 승강부(130)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는 상기 출력축(31)에 맞물려 상기 출력축(3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130)의 상부 단부의 일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슬릿(114)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한쌍의 스텝 롤(21)의 아래에는 제동부(40)를 설치하되, 상기 제동부(40)의 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한쌍의 힌지(41)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41)의 힌지축을 상기 고정브래킷(20)에 고정하고,
    상기 제동부(40)의 전반부의 상면에는 스텝 롤(21)의 반경보다 약간 큰 한쌍의 반원형 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반원형 홈(42)의 내면에는 브레이크패드(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동부(40)는 그 후반부 상면이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판(121)의 선단 저면에 맞닿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 선단의 하부에는 바퀴(116)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KR2020010022989U 2001-07-28 2001-07-28 2단 주차설비 KR200264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89U KR200264268Y1 (ko) 2001-07-28 2001-07-28 2단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89U KR200264268Y1 (ko) 2001-07-28 2001-07-28 2단 주차설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742A Division KR100415146B1 (ko) 2001-07-28 2001-07-28 2단 주차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268Y1 true KR200264268Y1 (ko) 2002-02-19

Family

ID=7310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89U KR200264268Y1 (ko) 2001-07-28 2001-07-28 2단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2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0378B2 (ja) 運搬装置
US11834311B2 (en) Conveying device and battery swap station
KR100415146B1 (ko) 2단 주차설비
US3583723A (en) Dolly
KR100568463B1 (ko) 피킹 및 상승 연속동작이 가능한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KR200264268Y1 (ko) 2단 주차설비
KR100385745B1 (ko) 자동차의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
KR100577940B1 (ko) 2단 주차설비
WO2022142454A1 (zh) 举升装置及自动导引运输车
EP1121920A2 (en) Retractable ramp suitable for motor vehicles
JP2779766B2 (ja) 立体駐車装置
KR100415145B1 (ko) 2단 주차설비
JP4304693B2 (ja) 車両用乗降台の拡大・縮小装置
KR200285517Y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100459600B1 (ko) 2단 주차설비
KR200287373Y1 (ko) 2단 주차설비
KR100460187B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200250322Y1 (ko) 2단 주차설비
KR100354889B1 (ko)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CN210971099U (zh) 液压销齿式推车机
KR950008461Y1 (ko) 수직 승강식 주차장치
KR200386324Y1 (ko) 피킹 및 상승 연속동작이 가능한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US20050098393A1 (en) Actuator assembly for a lifter device for disabled persons on wheelchair and prams for children
BE1013289A3 (nl) Inrichting voor het laden en lossen van een voertuig.
KR940003684Y1 (ko) 회전식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