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373Y1 - 2단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2단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373Y1
KR200287373Y1 KR2020020016611U KR20020016611U KR200287373Y1 KR 200287373 Y1 KR200287373 Y1 KR 200287373Y1 KR 2020020016611 U KR2020020016611 U KR 2020020016611U KR 20020016611 U KR20020016611 U KR 20020016611U KR 200287373 Y1 KR200287373 Y1 KR 200287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plate
hollow park
vehicl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형
전성운
Original Assignee
전재형
전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형, 전성운 filed Critical 전재형
Priority to KR2020020016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373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차륜의 회전력을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이용하되, 차륜의 회전력이 주차설비의 승강부만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차량의 좌우 이동은 수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차량이 안착되는 부분을 차량이 전후방에서 진입가능한 판으로 형성한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단 주차설비{double parking equiptment}
본 고안은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륜의 회전력을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이용하되, 차륜의 회전력이 주차설비의 승강부만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차량의 좌우 이동은 수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차량이 안착되는 부분을 차량이 전후방에서 진입가능한 판으로 형성한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단 주차설비는, 4개의 기둥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판 상에 차량을 안착시켜 2단으로 주차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차설비는 가동판을 승강시키기 위해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므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4개의 기둥으로 인해 한번 설치한 장소에서 계속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설치에 필요한 공간도 많이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한 주택에 2대의 차량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종래의 2단 주차설비를 주택가의 주택 내에 설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1년 7월 18일자로 발명의 명칭이 "2단 주차설비"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01-44074호를 출원한 바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1-44074호에서는, 2단 주차설비를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선후단을 절첩식 신축장치인 승강부에 의해 연결한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 한쌍의 스크루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하고, 각각의 스크루의 외주면에는 이에 맞물려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중공원통부를 각각 설치하였다.
스크루의 일단은 상부 프레임의 일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에 고정되며, 중공원통부는 상부 프레임의 타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 상에 놓여져 있다.
한쌍의 중공원통부의 타단에는 지지판이 각각 고정되며, 이 지지판의 바깥면에는 중공원통부의 수평이동시 중공원통부와 지지판을 지면 상에서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캐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원통부의 일단에는 상기 스크루와 각각 맞물리는 스크루 너트가 각각 끼워지며, 중공원통부와 스크루 너트 사이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지지판에는 중공원통부의 회전력을 90°회전시키는 베벨기어박스가 부착되며, 상하부 프레임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베벨기어박스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의 일측벽에는 동력전달축에 의해 제1 감속기와 연결된 제2 감속기가 고정되어 있으며, 스크루들 중 하나의 스크루의 일단은 하부 프레임의 제1 감속기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이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제2 감속기에는 출력축이 하부 프레임의 선후단부에 평행하게 돌출되며, 승강부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는 출력축에 맞물려 출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루 너트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원통부의 일단에는 모따기부를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에 중간부가 힌지고정된 만곡 레버의 일단부에 이동방지 베어링을 형성하되 중공원통부의 모따기부에 당접하도록 비틀림스프링을 힌지점에 설치하였다. 또한, 스크루 너트가 완전히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동방지 베어링이 모따기부로부터 이탈되도록 만곡 레버의 타단부를 스크루 너트와 맞닿게 설치하였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1-44074호는, 차량의 차륜이 안착되는 중공원통부가 상하부 프레임의 측면에서 좌우로 수평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차량의 차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주차설비의 측면 후방에서 일직선으로 전진하여 중공원통부 상에 안착한 후 차륜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주차 위치로 이동하고, 특히 하부 프레임의 중공원통부에 안착되는 차량의 경우에는 상기한 동작으로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킨 후 주차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주차 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4개의 기둥이 없어 주차설비 전체를 세로로 세울 수 있는 구조이므로 비사용시에는 주차설비를 세워 주차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한국특허출원 제10-2001-44074호는, 차륜이 중공원통부를 회전시켜 중공원통부 내의 스크루 너트가 스크루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차량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좌우로 이동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가 고가이고 조립 작업도 복잡하므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01-44074호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측부 상에서측방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중공원통부 상에만 안착되는 구성이므로, 차량을 지지하는 구조가 약할 뿐만 아니라 차종에 따라 전륜과 후륜 사이의 간격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 스크루 및 중공원통부를 직사각형 프레임의 측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 상에 설치함과 동시에 베벨기어박스들 사이 및 감속기들 사이의 동력전달축의 중간에 각각 간격조절장치를 설치하여야만 했으므로 부품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01-44074호는, 적층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상에 2대의 차량이 2단 주차된 경우, 상부 프레임 상의 차량을 출차하기 위해서는 하부 프레임 상의 차량을 주차설비에서 완전히 빼야만 했으므로 출차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이 거치되는 상단과 하단을 차량이 전후방에서 진입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진입된 차량이 상면 전체에서 지지되도록 판상의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형성하며, 상부판과 하부판의 각각의 하면에 구름이동수단을 구비하며, 상부판의 아래에 승강수단을 상부판과 분리하여 설치하며, 하부판에만 차륜이 안착되는 한쌍의 중공원통부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 다각형 봉을 중공원통부와 함께 회전가능하고도 측방으로 발출가능하게 삽입하며, 하부판의 일측에는 다각형 봉의 회전력을 승강수단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이 설치된 2단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에서 하부판이 빠져나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에서 상부판이 빠져나온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차량이 하부판의 핀치롤 상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7의 Ⅵ-Ⅵ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의 승강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의 승강부의 일부 평면도,
도 10은 제1 차량이 상부판 상에 안착된 후, 제2 차량이 하부판 상에 안착되어 상부판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선단 경사판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1 차량이 상부판 상에 안착된 후, 제2 차량이 하부판 상에 안착되어 상부판 하부에 완전히 주차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선단 경사판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를 세운 상태의 측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2단 주차설비는, 직사각형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측방에서 볼 때 하부판(120)은 상부판(11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져 있으며, 상기 상부판(110)의 선후단을 절첩식 신축장치인 승강부(130)에 의해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2단 주차설비로서, 상기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은 선단과 후단이 지면쪽으로 경사진 경사판(117, 127)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110) 아래의 선단과 후단에는 승강부(130, 130)가 삽입되는 승강부 삽입홈(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판(11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 하면에는 캐스터(111, 11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12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 하면에는 캐스터(121, 121)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120)에서 캐스터(121, 121)의 각각에 내측으로 인접하게는 상기 하부판(120)을 가로질러 함몰부(123, 12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123, 123)의 각각의 양측에는 브래킷(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킷(122)에는 외주면이 우레탄 코팅된 한쌍의 핀치롤(11, 11)이 상기 하부판(120) 상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핀치롤(11, 11) 사이의 하부에는 외주면이 우레탄 코팅된 원통형이고 내주면이 다각형인 한쌍의 중공원통부(12)가 상기 핀치롤(11, 11)과 맞물리게 상기 브래킷(1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공원통부(12)의 다각형 내주면에는 다각형 봉(13)이 측방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중공원통부(12)와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120)의 일측에는 다각형 봉(13, 13)의 각각의 말단이 연결된 제1 감속기(31, 31)와 동력전달축(32, 32)에 의해 상기 제1 감속기(31, 31)에 각각 연결된 제2 감속기(33, 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감속기(33, 33)는 상기 승강부(130)의 지지대(135)의 일측벽에 돌출 형성된 지지브래킷(12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감속기(33, 33)의 각각에는 스크루 출력축(34, 34)이 상기 승강부(130, 130)의 하부 지지대(135)의 선후단부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120)의 전반부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와 후반부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 사이에는 동력전달축(35)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130)는 중간부가 힌지(137)로 연결된 2개의 막대(136, 136)의 양단부를 힌지(137)로 연결하여 상기 상하부 지지대(135, 135)의 선후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지지대(135, 135)의 타측에는 측방향으로 홈(138, 13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136, 136)에는 상기 타측의 힌지(137)의 돌기(137a)가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하부 홈(138)에 돌기(137a)가 삽입된 타측 힌지(137)에는 스크루 출력축(34)에 맞물려 스크루 출력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원통부(12)의 좌우 단부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다각형 봉(13)의 기단에는 빠짐방지턱(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120)에서 각각의 함몰부(123)에 내측으로 인접하게는 상기 하부판(120)을 가로질러 힌지(126)에 의해 함몰부 덮개(1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직사각형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전후방에서 차량이 진입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은 선단과 후단이 지면쪽으로 경사진 경사판(117, 127)을 구비하며, 측방에서 볼 때 하부판(120)은 상부판(11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져 있다.
상부판(110) 아래의 선단과 후단에는 승강부 삽입홈(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승강부 삽입홈(115) 내에는 승강부(130, 130)가 상부판(110)과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부판(11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 하면에는 구름이송수단으로서 캐스터(111, 11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하부판(12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 하면에는 구름이송수단으로서 캐스터(121, 12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부판(120)에서 캐스터(121, 121)의 각각에 내측으로 인접하게는 하부판(120)을 가로질러 함몰부(123, 12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123, 123)의 각각의 양측에는 브래킷(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브래킷(122)에는 승강부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 구동수단은, 하부판(120) 상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브래킷(1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이 우레탄 코팅된 한쌍의 핀치롤(11, 11)과, 이 핀치롤(11, 11) 사이의 하부에 핀치롤(11, 11)과 맞물리게 브래킷(1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이 우레탄 코팅된 원통형이고 내주면이 다각형인 한쌍의 중공원통부(12)와, 이 중공원통부(12)의 다각형 내주면에 측방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중공원통부(12)와 함께 회전하는 다각형 봉(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측의 브래킷(122)에서 핀치롤(11, 11)과 중공원통부(12)가 위치될 지점에는 천공 후 베어링(122a)이 설치되어 있다.
핀치롤(11)의 양단에는 지지축(11a)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원통부(12)의 양단에는 지지축(12a, 12b)이 형성되어 있는데, 중공원통부(12)의 좌측단에 형성된 지지축(12a)는 중공원통형이다.
핀치롤(11)과 중공원통부(12)의 지지축(11a, 12a, 12b)은 브래킷(122)의 베어링(122a) 내에 끼워진다.
한쌍의 핀치롤(11, 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차량 차륜의 하부가 중공원통부(12)에 닿지 않으면서 안착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각형 봉(13, 13)의 각각의 말단은 수직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부(130, 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부판(120)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동력전달수단은 제1 감속기(31, 31), 동력전달축(32, 32) 및 제2 감속기(33, 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감속기(33, 33)는 승강부(13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브래킷(124)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감속기(31, 31)는 베벨기어 감속기이고, 제2 감속기(33, 33)는 웜기어 감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각형 봉(13, 13)의 각각의 말단은 제1 감속기(31, 3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감속기(31, 31)는 하부판(120)의 선단과 후단 쪽으로 각각 동력전달축(32, 32)에 의해 제2 감속기(33, 33)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감속기(33, 33)의 각각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루 출력축(34, 34)이 승강부(130, 130)의하부 지지대(135)의 선후단부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하부판(120)의 전반부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와 후반부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 사이에는 동력전달축(35)이 연결되어 하부판 선후단의 승강부(130, 130)들을 동시에 구동시킨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감속기(31, 33)와 동력전달축(32, 35)을 하부판(120)에 이격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은 하부판(120)에 밀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승강부(1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가 힌지(137)로 연결된 2개의 막대(136, 136)의 양단부를 힌지(137)로 연결하여 각각 상하부 지지대(135, 135)의 선후단부에 연결하되, 일측의 힌지(137)는 상하부 지지대(135, 135)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의 힌지(137)는 지지대(135, 135)의 타측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한 절첩식 신축장치로서, 상하부 지지대(135, 135)의 타측에는 측방향으로 홈(138, 13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홈(136, 136)에는 타측의 힌지(137)의 돌기(137a)가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하부 홈(138)에 돌기(137a)가 삽입된 타측 힌지(137)에는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루 너트(131)는 스크루 출력축(34)에 맞물려 스크루 출력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 너트(131)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막대(136)가 펼쳐지면서 상부판(110)이 상승하게 되고, 스크루 너트(13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막대(136)가 접혀지면서 상부판(110)이 하강하게 된다. 제1 감속기(31)와 제2 감속기(33)는 각각 베벨기어와 웜기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각형 봉(13)의 회전수를 감소시킨 만큼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다각형 봉(13)의 회전만으로 차량을 실은 상부판(110)를 승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다각형인 중공원통부(12)의 내부에는 다각형 봉(13)이 밀접하고도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져 중공원통부(12)와 맞물린다. 중공원통부(12)의 좌우 단부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원통부(12) 상에 안착된 차량의 차륜(W)이 회전함에 따라 핀치롤(11)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중공원통부(12)가 회전하면, 중공원통부(12)의 회전력이 다각형 봉(13)에 전달되어 다각형 봉(13)을 회전시킨다.
다각형 봉(13)이 계속 회전하여 승강부(30)의 스크루 너트(131)를 최대한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부판(110)이 완전히 상승되면, 다각형 봉(13)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차량의 차륜(W)이 더 회전하게 되면, 승강부 구동수단의 어느 한 구성요소가 파손이 될 것이지만, 본 고안에서는 중공원통부(12)와 다각형 봉(13) 사이에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를 개재하고 있으므로, 상부판(110)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차륜(W)회전하더라도, 중공원통부(12)가 공회전하게 되어 승강부 구동수단의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다각형 봉(13)의 기단에는 빠짐방지턱(13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판(120)을 수동으로 잡아 당기면, 중공원통부(12)는 다각형 봉(13)를 타고 미끄러져 빠져나오게 된다. 중공원통부(12)가 다각형 봉(13)를 타고 미끄러져 계속 빠져나와 스크루(13)의 기단에 도달하더라도 중공원통부(12)는 빠짐방지턱(13a)에걸려 더 이상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에도, 차량의 차륜(W)이 더 회전하게 되면, 수평 이동수단의 어느 한 구성요소가 파손이 될 것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로 인해, 중공원통부(12)가 완전히 빠진 위치에서 공회전하게 되어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차량이 하부판(120)의 후방에서 하부판(120)으로 진입할 때, 차량이 후륜구동인 경우에는 후륜이 후반부의 핀치롤(11, 11) 사이에 위치하기까지 후륜이 지면 또는 하부판(120)의 후단에서 계속 구동하므로 차량이 하부판(120) 상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차량이 전륜구동인 경우에는 전륜이 후반부의 핀치롤(11, 11) 사이에서 공회전하므로 차량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여 하부판(120) 상에 위치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판(120)에서 각각의 함몰부(123)에 내측으로 인접하게는 하부판(120)을 가로질러 힌지(126)에 의해 함몰부 덮개(1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구동인 차량이 하부판(120)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경우에, 후반부의 함몰부 덮개(125)를 회동시켜 후반부의 함몰부(123)을 덮으면, 차량의 전륜은 후반부의 함몰부 덮개(125)를 타고 지나가 전반부의 핀치롤(11, 11) 사이에 위치하여 승강부 구동수단을 구동시킨다.
완전히 상승된 상부판(110)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판(120)에서 전륜구동인 차량을 출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가 전륜의 회전수에 비해 느리게 회전하므로 차량의 전륜은 전반부의 핀치롤(11, 11)을 타고 넘어 하부판(120)에 빠져 나간다.
차량이 후륜구동이고 하부판(120)의 전방에서 뒤로부터 진입하는 경우에는 전반부의 함몰부 덮개(125)를 회동시켜 전반부의 함몰부(123)를 덮으면 된다.
이하,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의해 2대의 차량을 2단으로 주차시키는 작동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상부판(110)이 하부판(120)을 완전히 덮은 상태이며, 제1 차량이 후방 또는 전방의 경사판(117)에서 진입하여 상부판(110) 상에 안착된다.
다음, 하부판(120)을 수동으로 당기면, 중공원통부(12)가 다각형 봉(13)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하부판(120)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다음, 제2 차량이 후방 또는 전방의 경사판(127)에서 진입하여 전륜 또는 후륜이 한쌍의 핀치롤(11) 사이에 안착된 후, 제1 차량의 차륜(W)을 정회전시키면, 핀치롤(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핀치롤(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중공원통부(1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중공원통부(12)의 회전력은 수직동력전달수단을 거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3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루 너트(13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승강부(130)를 상승시킨다.
스크루 너트(131)가 우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승강부(130)가 완전히 상승하면, 중공원통부(12) 내의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에 의해 중공원통부(12)가 공회전하므로, 승강부(130)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부판(120)을 수동으로 밀면 중공원통부(12)가 다각형 봉(13)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부판(120)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1 및 제2 차량의 2단 주차가 완료된다.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2단 주차된 2대의 차량을 출차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주차 작동순서와 반대로 하면 된다.
먼저, 하부판(120)을 수동으로 당기면 중공원통부(12)가 다각형 봉(13)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하부판(120)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다음, 하부판(120)의 중공원통부(12) 상의 제2 차량의 차륜(W)을 역회전시키면 중공원통부(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핀치롤(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중공원통부(1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중공원통부(12)의 회전력은 수직동력전달수단을 거쳐, 출력축(3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루 너트(13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승강부(130)를 하강시킨다.
스크루 너트(131)가 좌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승강부(130)가 완전히 하강하면, 중공원통부(12) 내의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에 의해 중공원통부(12)가 공회전하므로, 승강부(130)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다음, 제1 차량을 구동시키면 경사판(117)으로 출차된다.
다음, 제2 차량을 계속 역회전시키면 제2 차량은 중공원통부(12)에서 이탈되어 출차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 차량의 2단 출차가 완료된다.
출차가 완료된 다음에는 주차설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주차설비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20)과 승강부(130)의 측면에 각각 고리부(61)를 형성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공간의 측면에 위치한 벽 구조물(1)에 웜 감속기형 윈치(50)를 설치하고, 이 윈치(50)의 로프(51)의 말단에 후크(52)를 형성하여, 로프(51)의 후크(52)를 하부 프레임(120)과 승강부(130)의 고리부(61)에 각각 건 후 원치(50)의 손잡이를 수동으로 돌려 주차설비를 세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루 축과 스크루 너트는 반시계 진행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하였지만, 시계 진행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의하면, 중공원통부 내에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가 필요 없으므로 조립 작업도 간단해지고 제조원가가 감소되며, 상단과 하단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을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륜과 후륜 사이의 길이에 관계없이 모든 차종에 대하여 주차가 가능함과 동시에 간격조절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부품수가 감소하며, 또한 상부판과 하부판의 전후방에서 직접 차량이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출차시에 상단에 주차된 차량을 빼내기 위해 하단에 주차된 완전히 빼지 않고도 상단의 차량을 빼낼 수 있다.

Claims (3)

  1. 직사각형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측방에서 볼 때 하부판(120)은 상부판(11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져 있으며, 상기 상부판(110)의 선후단을 절첩식 신축장치인 승강부(130)에 의해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2단 주차설비로서,
    상기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은 선단과 후단이 지면쪽으로 경사진 경사판(117, 127)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110) 아래의 선단과 후단에는 승강부(130, 130)가 삽입되는 승강부 삽입홈(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판(11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 하면에는 캐스터(111, 11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12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 하면에는 캐스터(121, 121)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120)에서 캐스터(121, 121)의 각각에 내측으로 인접하게는 상기 하부판(120)을 가로질러 함몰부(123, 12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123, 123)의 각각의 양측에는 브래킷(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킷(122)에는 외주면이 우레탄 코팅된 한쌍의 핀치롤(11, 11)이 상기 하부판(120) 상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핀치롤(11, 11) 사이의 하부에는 외주면이 우레탄 코팅된 원통형이고 내주면이 다각형인 한쌍의 중공원통부(12)가 상기 핀치롤(11, 11)과 맞물리게 상기브래킷(1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공원통부(12)의 다각형 내주면에는 다각형 봉(13)이 측방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중공원통부(12)와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120)의 일측에는 다각형 봉(13, 13)의 각각의 말단이 연결된 제1 감속기(31, 31)와 동력전달축(32, 32)에 의해 상기 제1 감속기(31, 31)에 각각 연결된 제2 감속기(33, 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감속기(33, 33)는 상기 승강부(130)의 지지대(135)의 일측벽에 돌출 형성된 지지브래킷(12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감속기(33, 33)의 각각에는 스크루 출력축(34, 34)이 상기 승강부(130, 130)의 하부 지지대(135)의 선후단부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120)의 전반부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와 후반부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 사이에는 동력전달축(35)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130)는 중간부가 힌지(137)로 연결된 2개의 막대(136, 136)의 양단부를 힌지(137)로 연결하여 상기 상하부 지지대(135, 135)의 선후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지지대(135, 135)의 타측에는 측방향으로 홈(138, 13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136, 136)에는 상기 타측의 힌지(137)의 돌기(137a)가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하부 홈(138)에 돌기(137a)가 삽입된 타측 힌지(137)에는 스크루 출력축(34)에 맞물려 스크루 출력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원통부(12)의 좌우 단부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다각형 봉(13)의 기단에는 빠짐방지턱(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120)에서 각각의 함몰부(123)에 내측으로 인접하게는 상기 하부판(120)을 가로질러 힌지(126)에 의해 함몰부 덮개(1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2. 제1 항에 있어서,
    양측의 브래킷(122)에서 상기 핀치롤(11, 11)과 중공원통부(12)가 위치될 지점에는 천공 후 베어링(122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핀치롤(11)의 양단에는 지지축(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원통부(12)의 양단에는 지지축(12a, 1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원통부(12)의 좌측단에 형성된 지지축(12a)는 중공원통형이며, 상기 핀치롤(11)과 중공원통부(12)의 지지축(11a, 12a, 12b)은 상기 브래킷(122)의 베어링(122a) 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20)과 상기 승강부(130)의 측면에는 각각 고리부(61)를 형성하고, 주차공간의 측면에 위치한 벽 구조물(1)에는 웜 감속기형 윈치(50)를 설치하고, 상기 윈치(50)의 로프(51)의 말단에 후크(52)를 형성하여, 주차설비를 세울 때에는 상기 로프(51)의 후크(52)를 상기 하부 프레임(120)과 상기 승강부(130)의 고리부(61)에 각각 건 후 상기 원치(5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KR2020020016611U 2002-05-30 2002-05-30 2단 주차설비 KR200287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11U KR200287373Y1 (ko) 2002-05-30 2002-05-30 2단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11U KR200287373Y1 (ko) 2002-05-30 2002-05-30 2단 주차설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403A Division KR100459600B1 (ko) 2002-05-30 2002-05-30 2단 주차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373Y1 true KR200287373Y1 (ko) 2002-08-30

Family

ID=7312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611U KR200287373Y1 (ko) 2002-05-30 2002-05-30 2단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3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7300A (en) Camper
KR200287373Y1 (ko) 2단 주차설비
KR100459600B1 (ko) 2단 주차설비
CN2423348Y (zh) 上下平推双层停车台
KR100415145B1 (ko) 2단 주차설비
KR200250322Y1 (ko) 2단 주차설비
CN111576958B (zh) 一种可伸缩的立体车库及其使用方法
KR100415146B1 (ko) 2단 주차설비
KR100460187B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102170231B1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KR200285517Y1 (ko) 이동형 주차장치
CN221027434U (zh) 一种车辆转动升降平台
CN101109237B (zh) 一种立体存车库
CN220320679U (zh) 一种雨污水管网生产用检测设备
KR200264268Y1 (ko) 2단 주차설비
CN108824877A (zh) 一种双层自动停车库
CN211775564U (zh) 一种螺旋升降式施工支架
CN220149128U (zh) 大跨距钢结构顶升平台
KR950008461Y1 (ko) 수직 승강식 주차장치
JP2634135B2 (ja) 自動車等の垂直搬送用リフタ
KR100354889B1 (ko)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CN109577712A (zh) 一种可收缩折叠带位姿调整的立体车库
KR100787588B1 (ko) 지지롤과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익스트랙터
CN109339531A (zh) 一种可折叠带位姿调整的载车装置
EP1038820A2 (de) Aufrollhasp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