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322Y1 - 2단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2단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322Y1
KR200250322Y1 KR2020010022138U KR20010022138U KR200250322Y1 KR 200250322 Y1 KR200250322 Y1 KR 200250322Y1 KR 2020010022138 U KR2020010022138 U KR 2020010022138U KR 20010022138 U KR20010022138 U KR 20010022138U KR 200250322 Y1 KR200250322 Y1 KR 200250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ark
lower frame
hollow
barre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전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형 filed Critical 전재형
Priority to KR2020010022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32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는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한쌍의 스크루(11, 11; 21, 21)와 스크루(11, 11; 21, 21)의 외주면에 맞물려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 22, 2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스크루(11)의 일단은 상부 프레임(110)의 일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1)에 고정되며, 중공원통부(12, 22)는 상부 프레임(110)의 타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3, 123) 상에 놓여지고,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 22, 22)의 타단에는 지지판(15, 25)이 각각고정되며, 지지판(15, 25)의 바깥면에는 중공원통부(12, 22)의 수평이동시 중공원통부(12)와 지지판(15)을 지면 상에서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캐스터(16)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원통부(12, 22)의 일단에는 스크루(11, 21)와 각각 맞물리는 스크루 너트(13, 23)가 각각 끼워지며, 중공원통부(12, 22)와 스크루 너트(13, 23) 사이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 24)가 각각 개재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판(15, 25)에는 중공원통부(12, 22)의 회전력을 90°회전시키는 베벨기어박스(17, 27)가 부착되며,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베벨기어박스(17, 17; 27, 27)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18, 28)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20)의 일측벽에는 동력전달축(32)에 의해 제1 감속기(31)와 연결된 제2 감속기(33)가 고정되어 있으며, 스크루(21, 21) 들 중 하나의 스크루(21)의 일단은 하부 프레임(120)의 제1 감속기(31)에 연결되어 있고,하부 프레임(120)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 31)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35)이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제2 감속기(33)에는 출력축(34)이 하부 프레임(120)의 선후단부에 평행하게 돌출되며, 승강부(130)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는 출력축(34)에 맞물려 출력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원통부(22)의 일단에는 모따기부(22a)를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120)에 중간부가 힌지 고정된 만곡 레버(41)의 일단부에 이동방지 베어링(42)을 형성하되 중공원통부(22)의 모따기부(22a)에 당접하도록 비틀림스프링(43)을 힌지점에 설치하며, 스크루 너트(131)가 완전히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동방지 베어링(42)이 모따기부(22a)로부터 이탈되도록 만곡 레버(41)의 타단부를 스크루 너트(131)와 맞닿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단 주차설비{double parking equiptment}
본 고안은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륜의 회전력을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이용하는 2단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단 주차설비는,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설치된 가동판 상에 차량을 안착시켜 2단으로 주차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차설비는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므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한번 설치한 장소에서 계속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설치에 필요한 공간도 많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주차설비는 주차시 주차설비의 전방에서 차량을 진입시켜야 하므로 주차에 필요한 주변 공간이 많이 있어야만 한다.
최근에는, 한 주택에 2대의 차량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종래의 2단 주차설비를 주택가의 주택 내에 설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들면서도 설치 및 주차에 필요한 공간이 적게 드는 2단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단 주차설비의 사시도,
도 2는 제1 차량이 상부 프레임의 중공원통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스크루와 중공원통부의 일부 상세 단면도,
도 4는 중공원통부가 프레임 상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차량이 상부 프레임 상에 안착된 후, 제2 차량이 하부 프레임 상에 안착되어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제1 차량이 상부 프레임 상에 안착된 후, 제2 차량이 하부 프레임 상에 안착되어 상부 프레임 하부에 완전히 주차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하부 프레임의 중공원통부의 수평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를 세운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2단 주차설비는,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선후단을 절첩식 신축장치인 승강부(130)에 의해 연결한 2단 주차설비로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는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한쌍의 스크루(11, 11; 21, 21)와 상기 스크루(11, 11; 21, 21)의 외주면에 맞물려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중공원통부(12, 12; 22, 2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루(11)의 일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일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1)에 고정되며, 상기 중공원통부(12, 22)는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타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3, 123) 상에 놓여지고, 상기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 22, 22)의 타단에는 지지판(15, 25)이 각각고정되며, 상기 지지판(15, 25)의 바깥면에는 상기 중공원통부(12, 22)의 수평이동시 상기 중공원통부(12)와 지지판(15)을 지면 상에서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캐스터(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원통부(12, 22)의 일단에는 상기 스크루(11, 21)와 각각 맞물리는 스크루 너트(13, 23)가 각각 끼워지며, 상기 중공원통부(12, 22)와 스크루 너트(13, 23) 사이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 24)가 각각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지지판(15, 25)에는 상기 중공원통부(12, 22)의 회전력을 90°회전시키는 베벨기어박스(17, 27)가 부착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베벨기어박스(17, 17; 27, 27)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18, 28)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20)의 일측벽에는 동력전달축(32)에 의해 제1 감속기(31)와 연결된 제2 감속기(3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루(21, 21) 들 중 하나의 스크루(21)의 일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상기 제1 감속기(3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 31)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35)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제2 감속기(33)에는 출력축(34)이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선후단부에 평행하게 돌출되며, 상기 승강부(130)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는 상기 출력축(34)에 맞물려 상기 출력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원통부(22)의 일단에는 모따기부(22a)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중간부가 힌지 고정된 만곡 레버(41)의 일단부에 이동방지 베어링(42)을 형성하되 상기 중공원통부(22)의 모따기부(22a)에 당접하도록 비틀림스프링(43)을 힌지점에 설치하며, 스크루 너트(131)가 완전히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이동방지 베어링(42)이 상기 모따기부(22a)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만곡 레버(41)의 타단부를 상기 스크루 너트(131)와 맞닿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그 선단과 후단이 각각 승강부(1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1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는 상부 수평이동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2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는 하부 수평이동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부 수평이동수단은 상부 프레임(110) 상에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한쌍의 스크루(11, 11)와 이 스크루(11, 11)의 외주면에 맞물려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로 이루어져 있다.
한쌍의 스크루(11, 11)와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차량 차륜의 하부가 지면에 닿지 않으면서 안착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스크루(11)의 일단은 상부 프레임(110)의 일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1)에 일단이 고정된다. 스크루(11)의 타단에는 중공원통부(12)가 끼워진다.
중공원통부(12)는 상부 프레임(110)의 타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3) 상에 놓여지는데, 도 4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동브래킷(113) 상에는 중공원통부(12)와 각각 당접하는 접촉베어링(112)이 설치되어 중공원통부의 회전운동을 원할하게 한다.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의 타단에는 지지판(15)이 고정되는데, 중공원통부(12)가 지지판(1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판(15)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5)의 바깥면에는 중공원통부(12)의 수평이동시 중공원통부(12)와 지지판(15)을 지면 상에서 지지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해 캐스터(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원통부(12)의 일단에는 스크루 너트(13)가 끼워져 스크루(11)와 맞물린다. 중공원통부(12)와 스크루 너트(13) 사이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원통부(12) 상에 안착된 차량의 차륜(W)이 회전함에 따라 중공원통부(12)가 회전하면, 스크루 너트(13)가 스크루(11)를 타고 이동하므로 중공원통부(12)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루(11)과 스크루 너트(13)은 반시계 진행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원통부(1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크루(11)를 타고 들어가 상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중공원통부(12)가 상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상부 프레임(110)의 일측벽에 닿으면, 중공원통부(12)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차량의 차륜(W)이 더 회전하게 되면, 수평 이동수단의 어느 한 구성요소가 파손이 될 것이지만, 본 고안에서는 중공원통부(12)와 스크루 너트(13) 사이에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를 개재하고 있으므로, 중공원통부(12)가 완전히 들어간 위치에서 공회전하게 되어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스크루(11)의 타단에는 빠짐방지턱(11a)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원통부(1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크루(11)를 타고 빠져 나와 상부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중공원통부(12)가 상부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스크루(11)의 타단에 도달하더라도 중공원통부(12)의 스크루 너트(13)는 빠짐방지턱(11a)에 걸려 더 이상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에도, 차량의 차륜(W)이 더 회전하게 되면, 수평 이동수단의 어느 한 구성요소가 파손이 될 것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로 인해, 중공원통부(12)가 완전히 빠진 위치에서 공회전하게 되어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부 프레임(110)의 전후반부에 각각 위치한 상부 수평이동수단의 각각의 중심, 즉 한쌍의 스크루(11) 및 한쌍의 중공원통부(12) 사이의 중심은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각각의 중심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대부분의 차량은 전륜구동방식이거나 또는 후륜구동방식이므로, 전륜 또는후륜의 회전력을 다른 중공원통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10)의 전후반부에 각각 위치한 상부 수평이동수단 사이에는 수평동력전달수단이 개재되어야 한다. 그래서, 수평동력전달수단으로서, 베벨기어박스(17)와 동력전달축(18)을 구성하였는데, 상부 프레임(110)의 전후반부에 위치한 각각의 지지판(15)에는 중공원통부(12)의 회전력을 90°회전시키는 베벨기어박스(17)가 부착되고, 상부 프레임(110)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베벨기어박스(17, 17)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18)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 전후반부의 중공원통부(12, 12)들을 동시에 구동시킨다.
하부 수평이동수단은 그 구성이 상부 수평이동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스크루(21), 중공원통(22), 스크루 너트(23), 토크 리미트 클러치(24), 지지판(25), 캐스터(26), 베벨기어박스(27) 및 동력전달축(28)은 부재번호만 다를 뿐 상부 수평이동수단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하부 수평이동수단에서는, 한쌍의 스크루(21, 21)와 한쌍의 중공원통부(22, 2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상부 수평이동수단을 위치시키도록 한쌍의 스크루(11, 11)와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의 간격보다 더 길게 이격되어 있다. 또한, 하부 수평이동수단은 하부 수평이동수단 보다 지면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캐스터(26)의 높이가 상부 수평이동수단의 캐스터(16) 보다 더 짧다.
또한, 하부 수평이동수단에서는, 스크루(21) 중 하나의 일단이 수직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하나의 스크루(21)는 하부 프레임(120) 상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수직동력전달수단은 승강부(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감속기(31), 동력전달축(32) 및 제2 감속기(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감속기(33)는 하부 프레임(120)의 일측벽에 돌출 형성된 지지브래킷(124)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감속기(31)는 베벨기어 감속기이고, 제2 감속기(33)는 웜기어 감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하나의 스크루(21)의 일단은 제1 감속기(31)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감속기(31)는 서로 동력전달축(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감속기(31)는 하부 프레임(120)의 선단과 후단 쪽으로 각각 동력전달축(32)에 의해 제2 감속기(33)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제2 감속기(33)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34)이 하부 프레임(120)의 선후단부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20)의 전반부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와 후반부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 사이에는 동력전달축(35)이 연결되어 프레임 선후단의 승강부(130, 130)들을 동시에 구동시킨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감속기(31, 33)와 동력전달축(32, 35)을 하부 프레임(120)에 이격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은 하부 프레임(120)에 밀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중공원통부(22)는 하부 프레임(120)의 타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23) 상에 놓여지는데, 도 4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동브래킷(123) 상에는 중공원통부(22)와 각각 당접하는 접촉베어링(122)이 설치되어 중공원통부의 회전운동을 원할하게 한다.
승강부(130)는, 중간부가 힌지로 연결된 다수의 막대의 양단부를 힌지 연결하여 그 상하 단부를 각각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의 각각의 선후단부에 연결한 절첩식 신축장치로서, 승강부(130)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 스크루 너트(131)를 형성하고 있다. 스크루 너트(131)는 출력축(34)에 맞물려 출력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도 5에서, 스크루 너트(131)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승강부(130)가 펼쳐지면서 상부 프레임(110)이 상승하게 되고, 스크루 너트(13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승강부(130)가 접혀지면서 상부 프레임(110)이 하강하게 된다. 제1 감속기(31)와 제2 감속기(33)는 각각 베벨기어와 웜기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크루(21)의 회전수를 감소시킨 만큼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스크루(21)의 회전만으로 차량을 실은 승강부(130)를 승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수직동력전달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하부 수평이동수단의 스크루(21)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원통부(22)는 회전되면 스크루(21)를 타고 이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중공원통부(2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도 7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원통부(22)의 일단에 모따기부(22a)를 형성하고, 하부 프레임(120)에 중간부가 힌지 고정된 만곡 레버(41)의 일단부에 이동방지 베어링(42)을 형성하고, 이 이동방지 베어링(41)이 중공원통부(22)의 모따기부(22a)에 당접하도록 비틀림스프링(43)을 힌지점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중공원통부(22)가 회전하더라도 중공원통부(22)는 그 일단이 이동방지 베어링(42)에 당접하여 이동이 방지되어 그 일단 내측의 스크루 너트(23)가 스크루(21)을 타고 들어가지 않고 스크루 너트(23)와 스크루(21)의 맞물림으로 인해 스크루 너트(23)가 스크루(21)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직동력전달수단을 구동시켜 승강부(130)를 상승시킨다.
만곡 레버(41)의 타단은 스크루 너트(131)가 도 5에서 최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그 단부와 맞닿게 되고, 만곡 레버(41)가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이동방지 베어링(42)이 중공원통부(22)의 모따기부(22a)에서 이탈되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의해 2대의 차량을 2단으로 주차시키는 작동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서는 중공원통부(12, 22)가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이므로, 제1 차량이 후방에서 진입하더라도 중공원통부(12, 22)가 공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차량의 휘일(W)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원통부(22)를 지나 중공원통부(12)로 상에 안착된다.
다음, 제1 차량의 차륜(W)을 역회전시키면 중공원통부(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프레임(11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차량이 상부 프레임(110) 상에 위치된다.
다음, 제2 차량이 후방에서 진입하여 중공원통부(22) 상에 안착된 후, 제1 차량의 차륜(W)을 역회전시키면, 중공원통부(22)는 이동방지 베어링(42)에 의해 스크루(21)를 타고 하부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스크루(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루(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루(21)의 회전력은 수직동력전달수단을 거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3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루 너트(13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승강부(130)를 상승시킨다.
스크루 너트(131)가 우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승강부(130)가 완전히 상승하면, 중공원통부(22)에 당접하고 있던 이동방지 베어링(42)을 중공원통부(22)에서 이탈시키므로, 중공원통부(22)가 하부 프레임(12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차량이 하부 프레임(1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 차량의 2단 주차가 완료된다.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2단 주차된 2대의 차량을 출차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주차 작동순서와 반대로 하면 된다.
상부 프레임(110)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는 이동방지 베어링(42)이 중공원통부(22)에서 이탈되어 있으므로, 하부 프레임(120)의 중공원통부(22) 상의 제2 차량의 차륜(W)을 정회전시키면 중공원통부(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중공원통부(22)가 스크루(21)에서 완전히 빠져 나온후 계속 제2 차량의 차륜(W)을 정회전시키면, 중공원통부(22)가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루 너트(23)에 의해 스크루(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루(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루(21)의 회전력은 수직동력전달수단을 거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3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루 너트(13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승강부(130)를 하강시킨다.
스크루 너트(13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중공원통부(22)에서 이탈되어 있던 이동방지 베어링(42)이 중공원통부(22)의 모따기부(22a)에 당접된다.
스크루 너트(131)가 좌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승강부(130)가 완전히 하강한 후, 제2 차량의 차륜(W)을 계속 정회전시키면 제2 차량은 중공원통부(22)에서 이탈되어 출차된다.
다음, 제1 차량의 차륜(W)을 정회전시키면 상부 프레임(110)의 중공원통부(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프레임(110)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중공원통부(12)가 상부 프레임(110)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온 후 제1 차량의 차륜(W)을 계속 정회전시키면 제1 차량은 중공원통부(12)에서 이탈되어 출차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 차량의 2단 출차가 완료된다.
출차가 완료된 다음에는 주차설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주차설비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구조물(1)에 웜 감속기형 윈치(50)를 설치하고 로프(51)를 하부 프레임(120)에 연결한 후 원치(50)의 손잡이를 수동으로 돌려 주차설비를 세울 수 있다. 출차완료된 상태의 중공원통부(12, 22)는 상하부 프레임(110, 120)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온 상태이므로, 주차설비를 세우게 되면 전체 높이가 길게 된다. 주차설비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 중공원통부(12, 22)의 중간에 90°절곡 연결부(12a, 22a)와 힌지경첩부(12b, 22b)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중공원통부(12, 22)를 절곡시킬 수 있다.
전륜과 후륜 사이의 간격은 차종에 따라 다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루(11, 21)와 중공원통부(12, 22)는 각각 상부 프레임(110)과하부 프레임(120)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3, 123)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수평동력전달수단의 동력전달축(18, 28)과 수직동력전달수단의 동력전달축(32, 35)의 각각의 중간부에도 각각의 동력전달축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장치(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종에 따라 가동브래킷(113, 123)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고 각각의 간격조절장치(60)를 조절함으로써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반부의 스크루(11, 21) 및 중공원통부(12, 22)와 후반부의 스크루(11, 21) 및 중공원통부(12, 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조절장치(60)로서는 키이와 키이홈 등 여러가지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 및 웜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는 반시계 진행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하였지만, 시계 진행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2단 주차설비에 의하면, 차량의 차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으로 사용하므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차륜이 안착되는 중공원통부가 상하부 프레임의 측면에서 좌우로 수평이동하므로 차량이 주차설비의 측면 후방에서 일직선으로 전진하기만 하면되므로 주차에 필요한 공간이 적게 들게 되고, 또한, 상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승강부가 절첩되는 구성이므로 비사용시에는 주차설비를 세울 수 있어 설치공간도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선후단을 절첩식 신축장치인 승강부(130)에 의해 연결한 2단 주차설비로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는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한쌍의 스크루(11, 11; 21, 21)와 상기 스크루(11, 11; 21, 21)의 외주면에 맞물려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 22, 2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루(11)의 일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일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1)에 고정되며, 상기 중공원통부(12, 22)는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타측 상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동브래킷(113, 123) 상에 놓여지고,
    상기 한쌍의 중공원통부(12, 12; 22, 22)의 타단에는 지지판(15, 25)이 각각고정되며, 상기 지지판(15, 25)의 바깥면에는 상기 중공원통부(12, 22)의 수평이동시 상기 중공원통부(12)와 지지판(15)을 지면 상에서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캐스터(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원통부(12, 22)의 일단에는 상기 스크루(11, 21)와 각각 맞물리는스크루 너트(13, 23)가 각각 끼워지며, 상기 중공원통부(12, 22)와 스크루 너트(13, 23) 사이에는 토오크 리미트 클러치(14, 24)가 각각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지지판(15, 25)에는 상기 중공원통부(12, 22)의 회전력을 90°회전시키는 베벨기어박스(17, 27)가 부착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베벨기어박스(17, 17; 27, 27)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18, 28)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20)의 일측벽에는 동력전달축(32)에 의해 제1 감속기(31)와 연결된 제2 감속기(3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루(21, 21) 들 중 하나의 스크루(21)의 일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상기 제1 감속기(3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전후반부의 각각의 중간에 위치한 제1 감속기(31, 31)들 사이에는 동력전달축(35)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제2 감속기(33)에는 출력축(34)이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선후단부에 평행하게 돌출되며, 상기 승강부(130)의 하부 단부의 일단에는 상기 출력축(34)에 맞물려 상기 출력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루 너트(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원통부(22)의 일단에는 모따기부(22a)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중간부가 힌지 고정된 만곡 레버(41)의 일단부에 이동방지 베어링(42)을 형성하되 상기 중공원통부(22)의 모따기부(22a)에 당접하도록 비틀림스프링(43)을 힌지점에 설치하며, 스크루 너트(131)가 완전히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이동방지 베어링(42)이 상기 모따기부(22a)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만곡 레버(41)의 타단부를 상기 스크루 너트(131)와 맞닿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의 각각의 전후반부의 중심에는 상기 각각의 중공원통부(12, 22)와 각각 당접하는 접촉베어링(112, 12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원통부(12, 22)의 중간에 90°절곡 연결부(12a, 22a)와 힌지경첩부(12b, 2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로프(51)를 연결하고, 상기 로프(51)를 소정의 벽 구조물(1)에 설치된 웜 감속기형 윈치(50)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0), 상기 하부 프레임(120), 상기 동력전달축(18, 28) 및 상기 동력전달축(32)의 각각의 중간부에는 간격조절장치(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설비.
KR2020010022138U 2001-07-21 2001-07-21 2단 주차설비 KR200250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138U KR200250322Y1 (ko) 2001-07-21 2001-07-21 2단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138U KR200250322Y1 (ko) 2001-07-21 2001-07-21 2단 주차설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074A Division KR100415145B1 (ko) 2001-07-21 2001-07-21 2단 주차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322Y1 true KR200250322Y1 (ko) 2001-11-17

Family

ID=7310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138U KR200250322Y1 (ko) 2001-07-21 2001-07-21 2단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3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7038B2 (ja) セミトレーラ用着地装置
CN100441920C (zh) 结构紧凑的致动器
JPH07309216A (ja) セミトレーラ用の二速式ランディングギヤ装置
KR100415145B1 (ko) 2단 주차설비
CN211494158U (zh) 一种用于建筑施工中的建筑材料搬运装置
CN215622096U (zh) 汽车零件专用物流转运器具
KR200250322Y1 (ko) 2단 주차설비
KR100459600B1 (ko) 2단 주차설비
KR200287373Y1 (ko) 2단 주차설비
KR102170231B1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CN212616206U (zh) 一种安全防护传动式智能型密集架
CN210950427U (zh) 一种管道检测机器人
KR100415146B1 (ko) 2단 주차설비
JPH0670341B2 (ja) 移動仮設式二台駐車装置
CN206245823U (zh) 断链保护装置
CN111576958A (zh) 一种可伸缩的立体车库及其使用方法
CN110984653A (zh) 一种立体停车车库及其使用方法
KR960005918Y1 (ko) 가정용 주차장치
CN215484489U (zh) 便于移动的建筑施工平台
KR200264268Y1 (ko) 2단 주차설비
CN217075323U (zh) 一种分散承压式减速机箱体
CN218557019U (zh) 一种管道安装抬升装置
CN112247953B (zh) 可应对复杂路面情况的用于车辆智能服务机器人行走底盘
CN212224800U (zh) 一种智能pcx垂直循环全suv停车库
CN219158578U (zh) 一种立体车库用轨道自动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