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918Y1 - 가정용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918Y1
KR960005918Y1 KR2019930015325U KR930015325U KR960005918Y1 KR 960005918 Y1 KR960005918 Y1 KR 960005918Y1 KR 2019930015325 U KR2019930015325 U KR 2019930015325U KR 930015325 U KR930015325 U KR 930015325U KR 960005918 Y1 KR960005918 Y1 KR 960005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parking
drive shaft
gear
screw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590U (ko
Inventor
도재민
장기창
Original Assignee
도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재민 filed Critical 도재민
Priority to KR2019930015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918Y1/ko
Publication of KR950006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정용 주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참고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이 내장된 내부를 저면에시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발췌 참고사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차대 2,2' : 유도턱
3,3' : 방지턱 4 : 연결간
10 : 구동축 11 : 회전로울러
12 : 기어박스 20 : 스크류기어
21 : 회동축 22 : 가이드 핀
23 : 스크류너트 24 : 회동간
26, 26' : 작동간 27,27' : 기판
28,28' : 보조판
본 고안은 가정용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을 집마당내에 주차할 수있는 공간이 있음에도 붙구하고 좁은 골목때문에 차량을 조향할 수 없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한 가정용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급격한 승용차의 증가로 주차난은 이미 심각한 상태에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주차난 때문에 단독주택가의 이면도로는 물론이고 골목에까지 차량을 주차하기 때문에 통행 및 위급시 구조차량이 진입하지 못하여 재난에 대처할 수 없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즉 단독주택가의 주차난을 덜기 위한 목적으로 다수의 고안이 현재제공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안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1989년 10월 30일자로 출원되어 1992년 5윌 21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92-3096호에 의하면 ㄱ 자로 꺽여진 2개의 지지프레임내에 체인이 설치된 수직, 수평안내레일을 형성하고, 이 수직, 수평안내레일을 따라 차량을 이동할 수 있는 차도판을 제공하여, 구조물의 상공이나 골목, 보도 또는 차도와 인접한 담의 안쪽상공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한 월경식 주차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월경식 주차장치는ㄱ자로 꺽여진 2개의 지지프레임과 함께 상부에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서는 상부로 이동 및 수평으로 이동시키기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여 설비가 복잡하고, 특히 지지프레임상에 차량을 주차시켜야만 하므로 지지프레임상에 일측에 심한 편하중을 받게되어 안전성이 극히 고려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어느 정도 해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받침대와 가설담장이 절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차량을 받침대상에 주차시켜 놓은 상태에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받침대를 수평으로 상승하되 가설담장은 수직으로 세워지로록하여 기존담의 내측에서 받침대가 위치되도록한 주택용 주차장치가 1990년 12월 31일자로 출원되어 1993년 5월 30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실용시안 공고번호 제93-2691호가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수평이동을 동시에 작동되도록하여 주차할 수 있도록한 장점은 있으나 그 역시 받침대상에 주차된 차량의 하중이 그대로 주차장치에 편하중을 받게하므로 이 역시 안전성이 극히 고려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1990년 8월 31일자로 출원되고 1992년 11월 4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2-8226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역시 상기와 같이 차량을 수직상승및 수평이동을 거쳐야만 주차되고, 주차대 역시 차량의 편하중을 그대로 감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가정용 주차장치내에 문제가된 주차차량의 수직이동및 그 상태에서 수평이동, 편하중발생등의 문제점없이 본 고안의 주차장치 자체에 설치된 동력장치에 의해 축방향수평으로 이동하게 하되 필요에 따라 조향되게 하여 담을 통하여 차량의 조향조작없이 간편하게 가정의 마당으로 직접주차될 수 있도록한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한쌍의 주차대에 회전구동하고 로울러를 설치하여 차제에 설치된 모터구동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필요에 따라 조향이 되도록하여 담을 통하여 가정의 마당으로 직접주차될 수 있도륵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유도턱(2),(2')과 후부에 방지턱(3),(3')이 각각 형성된 한쌍의 주차대(1),(l')를 연결간(4)으로 고정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차대(1)의 저면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동축(10)을 설치하되 등간격으로 다수의 회전로울러(11)를 상기 구동축(10)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10)의 일중간지 점에 상기 구동축(10)에 회전구동전달을 위한 통상의 구동기어기구를 내장한 기어박스(12)를 설치하고, 상기 주차대(1')의 저면내측에는, 일끝단에 스크류기어(20)가 형성된 회동축(21)의 스크류기어(20)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류기어(20)에는 상,하면에 가이드핀(22)이 고정된 스크류너트(23)를 나합시키되 상기 가이드핀(22)에는 주차대(1')상에 축설된 ㄱ형 회동간(24)의 일단(24')에 형성된 장공(25)을 삽입하고, 상기 ㄱ형 회동간(24)의 타단(24)상,하부에서 회동자유롭게 작동간(26),(26')의 한단을 각각 축설하고,상기 작동간(26),(26')의 타단은 주차대(1')상에서 회동자유롭게 설치된 회전로울 기판(27),(27')에서 연장설치된 보조단(28),(28')상에 회동자유롭게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29,29'는 상기 회전로울러기판(27),(27')상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전로울러이고, 30은 회동축(21)의 끝단에 설치된 워엄기어이고, 31은 상기 워엄기어에 치합에 워엄이며, 31는 베어링커플링이고, 33은 기어드모터, 34는 커플링, 35는 감속기로써 이 감속기(35)의 출력회전축(35')은 상기한 구동축(10)에 회전구동력을 전달되는데 이는 기어박스(12)내의 통상의 구동기어기구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구동기어 기구는통상의 베벨기어, 워엄과 워엄휘일과 같이 동력전달의 각도를 변환시키는 일련의 기구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기어드모터(33)는 통상의 전기콘트롤장치에 의해 조작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장치의 작용및 제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된 도면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좁은 골목길(A)에 위한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 수차대(1),(1')상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주차시킨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기콘트롤장치(미도시)를 조작하여 기어드모터(33)을 구동시켜 준다. 이러한 기어드모터(33)의 회전구동력은 커플링(34)및 변속기(35)를 통해 출력회전축(35')를 회전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회전축(35')의 회전구동력은 기어박스(12)내에 내장된 통상의 구동기어기구에 의해 구동축(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동기어기구라함은 통상의 베벨기어등에 의해 출력회전축(35')로부터 출력되는 회전구동력의 방향을 전환하여 주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구동은 결국 구동축(10)을 통해 회전로울러(11)을 회전구동시키는 것과 동일하므로 결국 회전로울러(11)의 회전구동에 의해 본 고안에 의한 주차장치가 측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측방향이동은 다시 주차된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것이되므로 남(B)를 통과하여 가정의 마당(C)에 위치시킨 다음 기어드모터(33)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일련의 주차행위를 마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담(B)에 주차장치가 통과할 부분은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나 그 공간부는 통상의 셔터설치에 의해 폐쇄및 개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주차장치를 상기와 같이 측방향으로 이동할시 다소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때에는 워엄(31)의 일끝단에 핸들(미도시)을 정착하여서 이 핸들을 돌려준다.
이러한 핸들의 회전동작에 의해 워엄(31)이 회전하면 이에치합된 워엄기어(30)가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워엄기어(30)의 회전은 다시 이에 고정된 회동축(21)을 회전시켜 주게되고, 이 회동축(21)의 회전에 의해 회동축(21)의 스크류기어(20)에 치합에 스크류너트(23)가 스크류기어(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너트(23)의 한단(24')에 형성된 장공(25)을 따라 가이드핀(22)이 이동시켜 주게되므로 결국 ㄱ형 회동간(24)이 주차대(1')상에 축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장점으로 하여 타단(24)이 양쪽어느 한방향으로 회동축(21)의 회동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타단(24)의 이동은 이의 상,하부에서 축착된 작동간(26),(26')를 당기거나 밀어주게되는 것이 되므로 상기 작동간(26),(26')의 끝단에 축착된 보조단(28),(28')가 당겨지거나 밀어나게 되므로 결국 회전로울러기판(27),(27')가 주차대(1')상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로울러기판(27),(27')의 회동에 의해 이에 설치된 회전로울러(29)(29')가 일정한 각도로 조향이 되게된다. 이렇게 회전로울러(29)(29')를 조향시킨 상태에서 본 고안의 주차장치자체를 이동시키게 되면 조향된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제5도 참조)
이러한 본고안의 장치에 대하여 주차시킨후 다시 주행하고자 할때에서 상기의 기어드모터(33)의 역동작에 의해 기주차된 본 고안의 주차장치를 골목길(A)에 위치시킨 다음 차량을 주차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골목길(A)의 통행에 불편이 없도록 다시 주차장치만 마당(C)에 이동시켜 놓으면 될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면 조향이 불가능한 골목길에서 주차하기 위해 주차장치 자체에 설치된 동력장치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집안의 마당으로 간편하게 주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한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일측에 유도턱(2),(2')과 후부에 방지턱(3),(3')이 각각 형성된 한쌍의 주차내(1),(1')를 연결간(4)으로 고정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차대(1)의 지면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동축(10)을 설치하되 등간격으로 다수의 회전로울러(11)를 상기 구동축(10)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10)의 일중간지점에 상기 구동축(10)에 회전구동전달을 위한 통상의 구동기어기구를 내장한 기어박스(12)를 설치하고, 상기주차대(1')의 저면내측에는, 일끝단에 스크류기어(20)가 형성된 회동축(21)의 스크류기어(20)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류기어(20)에는 상,하면에 가이드핀(22)이 고정된 스크류너트(23)를 나합시키되 상기 가이드핀(22)에는 주차대(1')상에 축설된 ㄱ형 회동간(24)의 일단(24')에 형성된 장공(25)을 삽입하고, 상기 ㄱ형 회동간(24)의 타단(24)상,하부에서 회동자유롭게 작동간(26),(26')의 한단을 각각 축설하고, 상기 작동간(26),(26')의 타단은 주차대(1')상에서 회동자유롭게 설치된 회전로울 기판(27),(27')에서 연장설치된 보조단(28),(28')상에 회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주차장치.
KR2019930015325U 1993-08-10 1993-08-10 가정용 주차장치 KR960005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325U KR960005918Y1 (ko) 1993-08-10 1993-08-10 가정용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325U KR960005918Y1 (ko) 1993-08-10 1993-08-10 가정용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590U KR950006590U (ko) 1995-03-21
KR960005918Y1 true KR960005918Y1 (ko) 1996-07-18

Family

ID=1936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325U KR960005918Y1 (ko) 1993-08-10 1993-08-10 가정용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9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590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6008625A1 (de) Anlage zur aufnahme, zeitweiligen lagerung und ausgabe von bewegbaren gegenständen
US3513992A (en) Spiral storage structure and system for parking vehicles
EP1557329A2 (de) Höhenverstellbare Stütze für Sattelauflieger oder dergleichen
KR960005918Y1 (ko) 가정용 주차장치
WO1997030875A1 (en) Parking device for vehicles
CN107859389A (zh) 双层停车位
JPH0670341B2 (ja) 移動仮設式二台駐車装置
KR100415145B1 (ko) 2단 주차설비
KR940003684Y1 (ko) 회전식 주차장치
JPH0426519Y2 (ko)
JPH0310313Y2 (ko)
DE2302145C3 (de) Einrichtung für eine Mehrfachgarage
US20070180788A1 (en) Adjustable floor system for installation inside a repair pit
AT408877B (de) Regalanlage
KR100415146B1 (ko) 2단 주차설비
KR940003685Y1 (ko) 승강식 간이 주차장치
KR950008102B1 (ko) 로변 주차장치
CN110230417B (zh) 一种智能停车系统的自动挪车机构
KR200287373Y1 (ko) 2단 주차설비
DE19527034A1 (de) Parkeinrichtung zum Parken zweier Fahrzeuge übereinander
JPH0525950A (ja) 2段式立体駐車装置
KR950001678Y1 (ko) 입체주차장치
JPH0720283Y2 (ja) 自動車用方向変換台
KR950005899Y1 (ko) 주차설비
JPS623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