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429Y1 -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429Y1
KR200260429Y1 KR2020010026200U KR20010026200U KR200260429Y1 KR 200260429 Y1 KR200260429 Y1 KR 200260429Y1 KR 2020010026200 U KR2020010026200 U KR 2020010026200U KR 20010026200 U KR20010026200 U KR 20010026200U KR 200260429 Y1 KR200260429 Y1 KR 200260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hook
fishing
crad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일
Original Assignee
김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일 filed Critical 김유일
Priority to KR2020010026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42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를 보다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낚시 거치대에 낚싯대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낚싯대(10) 손잡이부(10a) 일측에 하나 이상의 걸고리(11)를 구비시키는 것과; 상기 낚싯대가 거치되는 낚싯대 거치대(20) 일측에 하나 이상의 걸이홈(21)을 형성키는 것으로 하되, 거치대(20)에 형성되는 걸이홈(21)은 상기 거치대(20)의 선단 또는 후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a connection device between a fishing rod and a fishing hanger}
본 고안은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낚싯대를 보다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낚시 거치대에 낚싯대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를 용이하게 거치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다양한 낚시 거치대를 사용하게되는데, 그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낚시 거치대(100)로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낚시 거치대에 낚싯대를 거치할 경우 낚싯대의 자체 하중이 앞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상기 거치대의 후단에 상기 낚싯대가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걸림수단(101)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종래 낚시 거치대(100)에서 낚싯대(110)를 거치할 때 낚싯대의 후단 끝부 즉, 손잡이 부분(111)을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낚싯대를 상기 거치대에 올려놓으면서 상기 걸림수단(101) 안쪽으로 밀어 넣어야하고, 또 갑자기 입질이 있을 경우 곧바로 낚싯대를 상기 거치대에서 들어올릴 수 없기 때문에 앞쪽으로 살짝 끌어당긴 후 낚싯대를 들어올려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거치대에 안착된 낚싯대의 손잡이(111) 부분이 거치대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고, 낚싯대 끝단은 상기 걸림수단(101)의 안쪽으로 내입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낚싯대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잡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여 지금까지는 상기 거치대의 앞쪽으로 걸쳐져 노출된 낚싯대 부분을 잡고 들어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위치가 멀어 손이 닿지 않음으로 사용자가 자리에서 일어나야 한다거나 팔을 앞쪽으로 길게 뻗어야 하는 등 상당한 불편을 가져올 뿐 아니라 이 경우 낚싯대 손잡이 부분의 의 앞부분을 잡게됨으로 부자연스럽고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당한 불편을 주게됨은 물론 어류의 입질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고기를 놓치는 사례가 일수였다.
즉, 어류의 입질이 있을 경우 그 입질의 정도에 맞추어 적절한 시기에 낚싯대를 당기지 못하면 상기 어류가 달아나 버리기 때문에 후일을 기약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 할 때 낚시를 즐길 시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낚싯대의 후단 손잡이가 위치하여야하고, 또 거치대에서 쉽게 이탈 될 수 있도록 그 손잡이 부분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노출된 상태가 되어야만 입질이 있을 시 안정적인 가운데 즉각 대응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는 이러한 조건을 모두 수용하는 낚싯대 또는 그 거치대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낚시대의 끝단 손잡이부 하단에 걸고리를 구비시킴과 동시에 상기 낚싯대가 거치되는 낚시 거치대에 상기 걸고리에 대응하는 걸이홈을 형성시켜 낚싯대가 거치대에 간단하게 걸림되게 함은 물론 이탈 또한 용이하고, 또 거치대의 후단에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낚시대와 그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낚싯대 10a:손잡이부
11:걸고리 20:낚시 거치대
21:걸이홈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10)의 손잡이부(10a) 일단에 걸고리(11)를 구비시키는 한편, 상기 거치대(20)의 선단 또는 후단에 상기 걸고리(11)와 대응하는 걸이홈(21)을 형성시켜 상호 걸림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걸고리(11)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접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낚싯대 손잡이의 일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구비시킬 수도 있지만 밴드형태로 낚싯대에 조임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밴드를 스프링판재 등으로 제작하여 그 탄성력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 걸고리(11)는 하나 일수도 있지만 보다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2개 또는 3개 등 하나이상을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고리(11)가 걸림되는 거치대(20)의 걸이홈(21) 또한 일개소 내지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낚싯대 손잡이부(10a)에는 걸고리(11)를 구비시키는 한편, 상기 거치대(20)의 선단 또는 후단에 선택적으로 걸이홈(21)이 형성됨에 따라서 상부가 완전 개방된 거치대(20)에서도 낚싯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거치대(20)의 후측으로 상기 낚싯대의 손잡이(10a)가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됨으로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또, 상기 걸고리(11)와 걸이홈(21)간 용이하게 걸림과 이탈이 쉬워 어류의 입질이 시작될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뒤쪽으로 살짝 당겨 상기 걸고리(11)가 걸이홈(21)에서 이탈상태로 있다가 입질의 강도가 심하여 낚싯대를 당겨야할 시점이 되면 정확한 시점에서 여타한 간섭 없이 낚싯대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또, 걸이홈(21)이 상기 거치대(20)의 선단에 형성될 경우 상기 걸고리(11)가 낚싯대 손잡이(10a)의 앞쪽에 구비시킨 다음 상기 거치대(20)에 낚싯대 거치시 살짝 당겨 걸림되게 하면 되는데, 이 경우에도 낚싯대의 손잡이부(10a)가 상기 거치대(20)의 후단부로 노출된 상태가 됨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낚싯대를 들어올릴 때 상기 거치대(20)의 후단에 걸이홈(21)이 형성될 때와 반대로 낚싯대를 앞쪽으로 밀면서 들어올려야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입질이 시작되면 사용자가 낚싯대를 앞쪽으로 살짝 밀어 상기 걸림홈(21)에서 걸고리(11)를이탈시켰다가 당겨야 할 시점에서 아무 간섭 없이 정확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의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는 낚싯대를 들어올림에 있어서 전혀 간섭을 주지 않는 상부가 개방된 낚시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낚싯대를 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걸림 이탈이 쉽고도 자유롭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분을 잡고 낚싯대를 상방향으로 들 수 있는 등 상당히 실용적이고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입질이 있을 경우 종래와 같이 거치대의 앞쪽에 노출된 낚싯대부분을 잡음으로서 불안정함과 그 부위를 잡기 위하여 사용자가 자리에서 움직여야하고, 또 낚싯대를 들어올릴 때 걸림수단의 간섭으로 인하여 발생되었던 것에 비하여 사용상 월등한 효과를 가져다주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낚싯대(10) 손잡이부(10a) 일측에 하나 이상의 걸고리(11)를 구비시키는 것과; 상기 낚싯대가 거치되는 낚싯대 거치대(20) 일측에 하나 이상의 걸이홈(21)을 형성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에 형성되는 걸이홈(21)은 상기 거치대(20)의 선단 또는 후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KR2020010026200U 2001-08-29 2001-08-29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KR200260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00U KR200260429Y1 (ko) 2001-08-29 2001-08-29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00U KR200260429Y1 (ko) 2001-08-29 2001-08-29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429Y1 true KR200260429Y1 (ko) 2002-01-10

Family

ID=7310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00U KR200260429Y1 (ko) 2001-08-29 2001-08-29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4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7813B2 (en) Dual position fishing rod holder
KR200260429Y1 (ko) 낚싯대와 그 거치대간 걸이장치
ZA200603436B (en) Cradle for holding an electric iron
JPH11259A (ja) 調理用鍋及び鍋蓋支持具
US5377390A (en) Adjustable tie chain
KR100413653B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자동 결속장치
JPH04234Y2 (ko)
JP2566624Y2 (ja) 戸当たり
JP2001157634A (ja) 蓋付き鍋
JP2515297Y2 (ja) 鍋用中子の吊り具
KR200291226Y1 (ko) 다기능 테이블 조립구
USD459429S1 (en) Fishing bait threader
JP2559604Y2 (ja) ブックホルダー
JP2560858Y2 (ja) ベビーカーにおけるハンドル杆の昇降装置
JPS5931132Y2 (ja) 鍋等における蓋押え装置
JPS6320396Y2 (ko)
JP2001078943A (ja) モップ取付具
JP2562125Y2 (ja) スナップ付きバックル
JPH0436764Y2 (ko)
KR970004023Y1 (ko) 릴낚시대 자동승강기
JP2000272568A (ja) 釣竿の保持器具
JPS585563Y2 (ja) 片手鍋などの把持柄
JPH0856803A (ja) 着脱式グラス受け器
JPS6234510Y2 (ko)
JPH0439956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