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229Y1 -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 - Google Patents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229Y1
KR200260229Y1 KR2020010022575U KR20010022575U KR200260229Y1 KR 200260229 Y1 KR200260229 Y1 KR 200260229Y1 KR 2020010022575 U KR2020010022575 U KR 2020010022575U KR 20010022575 U KR20010022575 U KR 20010022575U KR 200260229 Y1 KR200260229 Y1 KR 200260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brush
eyeliner
contain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규 filed Critical 김인규
Priority to KR2020010022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229Y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양립성을 갖는 본체에 잉크형태의 수용액을 붓에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아이라인부를 두되, 용기외부로 붓을 이탈할 경우 붓대에 묻은 수용액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용이한 아이라인형성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수용액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또한 해결할 수 있는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EYE LINER}
본 고안은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과 타측으로 아이라인부와 함께 립라이너부 또는 마스카라부를 형성하여 본체자체가 양립성을 갖도록하되, 상기 아이라인부는 잉크형태의 수용액을 붓에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눈화장을 할때 사용되는 아이라이너는 눈이 크게 보이도록 강조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아이라이너는 대개가 펜슬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어느정도 사용한 후에는 심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깍아서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갖는 것이며, 고체형태의 심을 눈가에 직접 그리는 형태를 취함에 따라 아이라인을 형성하기또한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수용액형태의 아이라인액을 솔에 묻혀 사용하는 아이라이너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같은 수용액 아이라이너의 경우에는 연질의 붓을 사용함에 따라 아이라인형성에는 용이하나, 붓이 수용액용기에 담가논 상태로 두었다가 용기에서 분리하여 사용함에 있어, 붓대에도 수용액이 묻게되므로 아이라인형성중 흘러내리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며, 이러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붓에 뭇은 수용액을 제거한 상태로 사용해야함에 따라 이또한 상당한 번거로움을 갖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아이라이너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립성을 갖는 본체에 잉크형태의 수용액을 붓에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아이라인부를 두되, 용기외부로 붓을 이탈할 경우 붓대에 묻은 수용액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용이한 아이라인형성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수용액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또한 해결할 수 있는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본체의 일측으로 아이라인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마스카라부 또는 립라이너부가 형성되는 양립된 구조의 화장용품에 있어서;
상기 아이라인부는 붓고정체와 수용액용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붓고정체는 본체의 내부로 형성되는 회전방지홈에 끼움되도록 회전방지돌기가 타측 끝단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로는 본체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붓대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액용기는 붓대와 동일한 직경의 밀폐통공을 갖는 밀폐구가 고정홈에 의해 내부로 고정결합되는 연결체와, 이 연결체가 상부로 끼움고정되며 수용액이 충진되는 용기체로 구성되며,
상기 붓고정체의 외부이탈시 밀폐통공에 의해 붓대에 묻어있는 수용액이 제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을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품의 결합단면도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품에 있어, 아이라인부의 사용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품에 있어, 아이라인부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아이라인부 3 : 붓고정체
4 : 수용액용기 11 : 립라이너부 12 : 회전방지홈
13 : 끼움홈 31 : 회전방지돌기 32 : 수나사산
33 : 붓대 34 : 고정돌기 41 : 용기체
42 : 연결체 43 : 밀폐구 331 : 붓
421 : 걸림턱 422 : 암나사산 431 : 밀폐통공
432 : 고정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품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품에 있어, 아이라인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품에 있어, 아이라인부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원통형체를 취하는 본체(1)의 일측으로 아이라이너부(2)를 형성하되, 아이라이너부(2)는 일측에 붓대(33)가 고정되는 붓고정체(3)와 수용액용기(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위로서 내경이 분할구조의 원통형체를 취하게 되며,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의 기능을 갖는 아이라이너부(2)와 립라이너부(11)가 구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립라이너부(11)는 필요에 따라 연관성을 갖는 마스카라부를 대체형성할 수도 있는 것인데,
이와같은 본체(1)에 있어, 분할된 일측 내경의 끝단부로는 도 2에서와 같이 적어도 8개가 일정간격으로 분할되는 암기어구조의 회전방지홈(12)이 형성되고, 내경의 전방부로는 후술하는 붓고정체(3)의 고정돌기(34)가 억지끼움되는 끼움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붓고정체(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일측이 전술한 본체(1)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게 되며, 중앙부 외둘레로는 수나사산(32)과고정돌기(34)가 형성되고, 중앙타측으로는 기모로 이루어진 붓(331)을 갖는 붓대(33)가 고정결합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본체(1)에 삽입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붓고정체(3)의 일측 끝단부로는 전술한 회전방지홈(12)에 끼움되도록 8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회전방지돌기(31)가 수기어형태로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붓대(33)는 후술하는 수용액용기(4)로 삽입되는 붓(331)이 수용액용기(4)의 바닥면에 위치되도록 한 길이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액용기(4)는 수용액이 충진되도는 용기체(41)의 입구부위에 밀폐구(43)를 갖는 연결체가 끼움고정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인데.
상기 연결체(4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용기체(41)로 끼움되는 일측부위 내경으로는 걸림턱(421)이 형성되고 용기체(41)의 외부로 돌출되는 타측부위 내경으로는 전술한 붓고정체(3)의 수나사산(32)이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422)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구(43)는 상기 붓대(33)와 동일한 직경의 밀폐통공(431)이 관통형성되어지되, 고정홈(432)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421)이 걸림고정되도록 연결체(42)의 일측내경으로 끼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붓대(33)와 동일한 직경의 밀폐통공(431)을 갖는 밀폐구(43)는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면 붓대(33)를 밀폐통공(431)을 통해 장착 또는 이탈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구성재질로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지는 아이라이너부(2)는 도 2에서와 같이 타측에 립라이너부(11)를 갖는 본체(1)의 일측 내경으로 상기 붓고정체(3)의 중앙 일측부위를 삽입하여 회전방지홈(12)에 회전방지돌기(31)가 치합고정되게함과 동시에 붓고정체(3)로 형성된 고정돌기(34)가 본체(1)의 끼움홈(13)에 억지끼움되게 하고,
붓고정체(3)로 형성된 수나사산을 용기체(41)에 고정결합된 연결체(42)의 암나사산(422)에 나사결합하여 붓대(33)가 밀폐통공(431)에 관통되는 형태로서 삽입되게하므로서 그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본체 끼움홈(13)은 완만하게 라운드진 오목홈으로 형성하고, 이 끼움홈(13)으로 억지끼움되는 고정돌기(34)는 외둘레 사방으로 돌출되는 반구형태로서 형성하여, 적정한 힘을 가하면 끼움홈(13)에서 고정돌기(34)가 이탈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식 장,탈착구조를 갖도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밀폐통공(431)과 붓대(33)가 동일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끼움결합시 수용액용기(4)는 밀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본 고안의 아이라이너부(2)는 용기체(41)로 수용된 붓고정체(3)를 이탈함에 있어서는 본체(1)를 손잡이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다르게는 붓고정체(3)를 본체(1)로부터 이탈한 후, 재차 붓고정체(3)자체를 수용액용기(4)에서 이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자의 경우에는 붓고정체(3)가 회전방지돌기(3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연결체(42)의 암나사산(422)으로부터 붓고정체(3)의 수나사산(32)을 이탈하여본체(1)를 손잡이로 사용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본체(1)로부터 붓고정체(3)를 원터치식으로 탈착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붓고정체(3)를 수용액용기(4)에서 분리하여 붓고정체(3)의 일측부위를 손잡이로 사용하는 것인데,
이와같이 붓고정체(3)를 수용액용기(4)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붓고정체(3)의 붓대(33)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밀폐통공(431)의 내경면에 밀착되며 외부로 이탈되므로, 붓대(33)를 수용액용기(4)로부터 이탈하는것만으로 붓대(33)에 묻어있던 수용액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따라 붓에 묻어있는 수용액으로 아이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밀폐통공(431)을 통해 되풀이되는 붓고정체(3)의 장,탈착작업시에도 계속적인 수용액 제거작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은 수용액을 붓에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아이라인부를 형성함에 있어, 붓대어 묻어 있는 불필요한 수용액을 제거하기 위해 밀페통공을 갖는 밀폐구를 구성하여, 붓대를 수용액용기로부터 이탈하는 것만으로 불필요한 수용액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을뿐만아니라, 불필요한 수용액이 용기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수용액이 낭비되는것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Claims (1)

  1. 본체의 일측으로 아이라인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마스카라부 또는 립라이너부가 형성되는 양립된 구조의 화장용품에 있어서;
    상기 아이라인부는 붓고정체와 수용액용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붓고정체는 본체의 내부로 형성되는 회전방지홈에 끼움되도록 회전방지돌기가 타측 끝단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로는 본체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붓대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액용기는 붓대와 동일한 직경의 밀폐통공을 갖는 밀폐구가 고정홈에 의해 내부로 고정결합되는 연결체와, 이 연결체가 상부로 끼움고정되며 수용액이 충진되는 용기체로 구성되며,
    상기 붓고정체의 외부이탈시 밀폐통공에 의해 붓대에 묻어있는 수용액이 제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
KR2020010022575U 2001-07-25 2001-07-25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 KR200260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575U KR200260229Y1 (ko) 2001-07-25 2001-07-25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575U KR200260229Y1 (ko) 2001-07-25 2001-07-25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229Y1 true KR200260229Y1 (ko) 2002-01-10

Family

ID=7306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575U KR200260229Y1 (ko) 2001-07-25 2001-07-25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2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19A1 (ko) * 2012-06-15 2013-12-19 Hwang Jae Kwang 컴퍼스형 아이라이너
KR102098521B1 (ko) 2019-01-31 2020-04-07 조지원 중공구조의 화장잉크저장부재가 내장된 캡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102490293B1 (ko) * 2021-07-21 2023-01-18 정주영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 기능을 갖는 속눈썹 고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19A1 (ko) * 2012-06-15 2013-12-19 Hwang Jae Kwang 컴퍼스형 아이라이너
KR102098521B1 (ko) 2019-01-31 2020-04-07 조지원 중공구조의 화장잉크저장부재가 내장된 캡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102490293B1 (ko) * 2021-07-21 2023-01-18 정주영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 기능을 갖는 속눈썹 고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29655A (en) Eye make-up kit
KR100238850B1 (ko) 화장품 용기
US10568406B2 (en) Bottle for a cosmetic product, and applicator assembly comprising a bottle of this kind and an applicator for said cosmetic product
KR200260229Y1 (ko) 아이라이너를 갖는 화장용품
US3428404A (en) Liquid applicator
JP2006174936A (ja) 塗布具付両軸化粧料容器
JP2016202648A (ja) 化粧品用チューブ容器、及び化粧品用チューブ容器の蓋
JP2005029243A (ja) 液体用容器
JP3421792B2 (ja) 液体化粧料容器
JP4342021B2 (ja) 化粧料容器
JP2010200923A (ja) 化粧料用塗布具
JP2551942Y2 (ja) 液状収納物の塗布容器
JP5026030B2 (ja) 化粧料塗布具
JP2004237111A (ja) パッケージング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200236490Y1 (ko) 마스카라화장구
JP7403352B2 (ja) 塗布具付きキャップ及び塗布容器
KR200288446Y1 (ko) 손톱광택제 보관용기
CN216316162U (zh) 滴瓶
KR200382331Y1 (ko) 분말화장품 용기
JP7421940B2 (ja) 塗布容器
KR200282758Y1 (ko) 메니큐어 용기 및 세척액 용기의 결합구조
KR200484252Y1 (ko) 패킹을 이용한 마스카라
JP2001278365A (ja) 液体容器
JP2006206084A (ja) 化粧料容器
JPS63189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