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134Y1 - 차량용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134Y1
KR200259134Y1 KR2020010030173U KR20010030173U KR200259134Y1 KR 200259134 Y1 KR200259134 Y1 KR 200259134Y1 KR 2020010030173 U KR2020010030173 U KR 2020010030173U KR 20010030173 U KR20010030173 U KR 20010030173U KR 200259134 Y1 KR200259134 Y1 KR 200259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enerator
blower
present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철
Original Assignee
안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철 filed Critical 안종철
Priority to KR2020010030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134Y1/ko

Links

Landscapes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며 발전된 전류를 축전하여 차량의 경고등이나 디스플레이등으로 사용하므로써 차량의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본 고안은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시 바람을 흡입할 수 있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의 내측에 형성되어 바랍이 흡입될 때 흡입되는 바람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에 축 연결되어 블로어의 회전시 전류를 발생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축전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발전장치{GENERATOR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며 발전된 전류를 축전하여 차량의 경고등이나 디스플레이등으로 사용하므로써 차량의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정상적으로 작동해야 비로소 자동차는 본래의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기관의 작동과 관련된 기관의 전기장치와 기관이외의 차체 각 부위에 장치된 차체 전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기관의 전기장치에는 기관을 시동하는 기동장치를 비롯하여 점화장치의 충전장치가 있으며 이들 장치는 기관의 성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차체의 전장품으로는 기관을 시동할 때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비롯하여 등화장치, 계기류 경고표시장치 및 냉난방장치 등이 있으며 이들 전장품은 자동차의 안전한 운행과 거주성을 좋게하기 위한 장치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자동차의 각 전기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전원으로는 축전지와 충전장치의 2계통이 있으며 이러한 축전지와 충전장치는 일정한 용량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차량의 안전한 운행과 거주성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전기장치를 가설했을 경우에는 전기 사용량의 초과로 인하여 자동차의 전압변동을 보상하여 주지 못하였으며 전력의 공급이 안정되게 공급되지 않아 안전운전에 문제점이 있었으며 발전기의 과부하 또는 축전지의 방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발전기를 별도로 형성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며 발전된 전류를 축전하여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경고등이나 거주성을 높이기 위한 기기 및 디스플레이등의 전원으로 사용하므로써 차량의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차량용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시 바람을 흡입할 수 있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의 내측에 형성되어 바랍이 흡입될 때 흡입되는 바람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에 축 연결되어 블로어의 회전시 전류를 발생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축전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발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발전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발전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기관 11 : 그릴부
20 : 블로어 30 : 발전기
31 : 회전축 40 : 축전기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발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발전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발전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발전장치는 자동차의 주행시 바람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흡기관(10)을 자동차의 그릴부(11)나 흡기매니폴드의 전방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흡기관(10)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바람에 따라 회전하는 블로어(20)를 형성하되 상기 블로어(20)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블로어(20)의 일측만이 흡입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블로어(20)의 중앙에는 회전에 의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발전기(30)의 회전축(31)을 연결하여 블로어(20)의 회전시 전류를 발생하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이 발전기(30)에 의해서 전류가 발전되면 전류를 축전기(40)에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를 구동하여 전진하면 차량의 전진속도에 따라 바람이 자동차의 그릴부(11)나 흡기매니폴드에 흡입되게 되며 이때 흡입되는 바람은 흡기관(10)을 통하여 유입된다.
이와같이 유입되는 공기는 흡기관(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블로어(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블로어(20)가 회전하면 발전기(30)의 회전축(31)을 회전시켜 발전기를 가동하여 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발생하는 전류는 12V∼24V로 기존의 자동차에 형성된 발전기나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전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형차량의 양측이나 상측에 경고의 표시로 발광다이오드(50)를 작동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거주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냉장고나 텔레비젼등을 설치하여도 기존의 발전기나 축전기의 전류를 소모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류를 발전하는 발전기(30)는 생성되는 전류를 축전기(40)에 축전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발전기를 별도로 형성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며 발전된 전류를 축전하여 사용하므로써 차량의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정되게 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시 바람을 흡입할 수 있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의 내측에 형성되어 바랍이 흡입될 때 흡입되는 바람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에 축 연결되어 블로어의 회전시 전류를 발생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축전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전장치.
KR2020010030173U 2001-09-29 2001-09-29 차량용 발전장치 KR200259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73U KR200259134Y1 (ko) 2001-09-29 2001-09-29 차량용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73U KR200259134Y1 (ko) 2001-09-29 2001-09-29 차량용 발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837A Division KR20030027518A (ko) 2001-09-28 2001-09-28 차량용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134Y1 true KR200259134Y1 (ko) 2002-01-04

Family

ID=7310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73U KR200259134Y1 (ko) 2001-09-29 2001-09-29 차량용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1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08349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6280110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US6758042B2 (en) Exhaust device with an electric generator
KR200259134Y1 (ko) 차량용 발전장치
KR20030027518A (ko) 차량용 발전장치
US7605493B1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engine
JP2001211504A (ja) 電気自動車
JPS6395802A (ja) 車両の蓄電装置
CN203131467U (zh) 一种便携式照明装置
CN1309590C (zh) 电动汽车能源驱动装置
CN214441501U (zh) 一种便携式镭射激光污垢清理器
CN1326870A (zh) 驻车空调装置
CN217863896U (zh) 发光车轮和具有其的车辆
JP2003226132A (ja) 太陽光発電併用式自動車用冷房装置
KR100328992B1 (ko)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US20070052386A1 (en) Automatic chargeable electromotive vehicle
JP2000059908A (ja) 電気自動車における充電システム
KR20020094848A (ko) 바람을 이용하여 팬 회전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및 방법.
CN2582970Y (zh) 具有照明装置的自行车
JP2001292578A (ja) モータ駆動回路
CN201159139Y (zh) 新型车用风力发电机及车用风动力空调
KR101321137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KR200373405Y1 (ko) 전시 차량의 헤드라이트 전원공급 장치
KR19990001474U (ko) 차량용 전원장치
JP3076336U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