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992B1 -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992B1
KR100328992B1 KR1019990048045A KR19990048045A KR100328992B1 KR 100328992 B1 KR100328992 B1 KR 100328992B1 KR 1019990048045 A KR1019990048045 A KR 1019990048045A KR 19990048045 A KR19990048045 A KR 19990048045A KR 100328992 B1 KR100328992 B1 KR 10032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haft
electromagnet
engin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981A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48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9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Abstract

발전기 본체(1)의 축(2)에 결합된 풀리(5)가 벨트(6)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에 결합된 풀리에 연결됨으로써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클러치가 축과 풀리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클러치는, 축의 외주면 둘레로 고정된 전자석(3)과, 전자석의 외주면과 상기 풀리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4)을 포함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전기 부하의 크기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전자석이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풀리와 상기 전자석이 고정 또는 상대회전 가능하게 되어, 풀리로부터 축으로의 동력 전달이 선택적으로 단속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교류발전기{AC generato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기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발생시키는 교류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점화 장치, 조명 장치, 에어컨, 및 각종 제어 기구 등과 같은 다수의 전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에는 또한 이러한 전기 장치들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 교류 발전기와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발전기는 축에 구비된 풀리가 엔진의 크랭크축에 결합된 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있다.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 발전기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전력을 발생시킨다. 배터리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일 때 발전기를 대신하여 전기 장치들로 전력을 공급하며, 엔진이 작동될 때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한다. 또한, 배터리는 엔진이 작동중일 때도 과다한 전력 부하로 인하여 발전기의 출력이 부족할 때 이를 보충하며, 전압 변동을 보상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최근, 자동차에 장착되는 각종 전기 장치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러한 전기 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발전기의 용량도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는 벨트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 풀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엔진이 작동되면 교류 발전기도 동시에 작동된다. 따라서, 교류 발전기의 용량이 커지면 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의 출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 부하가 작거나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도 발전기는 엔진이 작동되는 동안 계속해서 전력을 발생시키므로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전기 부하량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단속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엔진의 구동 출력의 감소 및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축과 풀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전기 본체 2 ; 측
3 ; 전자석 4 ; 베어링
5 ; 풀리 6 ; 벨트
이러한 목적은, 발전기 본체의 축에 결합된 풀리가 벨트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에 결합된 풀리에 연결됨으로써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축에 고정되고 자동차에 요구되는 전기 부하의 크기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오/오프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풀리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가지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교류 발전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발전기는 축(2)의 일단이 외부로 연장된 발전기 본체(1)와, 벨트(6)에 의해 엔진의 크랭크축 풀리(미도시)와 연결된 풀리(5), 및 발전기 본체(1)의 축(2)과 풀리(5) 사이에 개재된 클러치(4, 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발전기 본체(1)는 회전자와 고정자로 이루어진 통상의 교류 발전기와 동일한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3상 또는 브러시리스(brushless)식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발전기 본체(1)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는다.
클러치(4, 5)는 발전기 본체(1)의 회전자에 결합된 축(2)의 끝단 외주면에 고정된 전자석(3)과, 전자석(3)의 둘레로 끼워진 베어링(4)을 가진다. 전자석(3)은 자동차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된다. 전자석(3)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된다.
그리고, 베어링(4)의 외측으로 풀리(5)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 풀리(5)는 벨트(6)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 축에 결합된 풀리와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는 종래의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의 축과 풀리 사이에 클러치가 개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는,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석(3)이 온 또는 오프되는 것에 의해 작동 또는 작동 중지된다.
즉, 요구되는 전기 부하가 크거나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할 때 등과 전력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을 때,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석(3)은 온(ON)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4)은 전자석에 의해 고정되고, 엔진의 크랭크축 풀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풀리(5)의 회전력은 베어링(4)과 전자석(3)을 통해 축(2)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축(2)이 회전되어 발전기 본체(1)에서 전력이 발생된다.
만약, 요구되는 전기 부하가 작아서 배터리의 전력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거나, 오르막길과 같이 자동차의 구동 부하가 크게 요구될 경우 등과 같이 전력 발생을 억제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자석(3)은 오프(OFF)된다. 이에 따라 풀리(5)는 베어링(4)의 외주면을 따라 헛돌게 되고, 풀리(5)의 회전력이 축(2)으로 전달되지 않아 발전기 본체(1)에서 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는, 축과 풀리 사이에 클러치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풀리와 축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부하 및 엔진에 요구되는 구동 부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류 발전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엔진 출력의 감소 및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발전기 본체의 축에 결합된 풀리가 벨트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에 결합된 풀리에 연결됨으로써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축에 고정되고 자동차에 요구되는 전기 부하의 크기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오/오프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풀리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가지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
  2. 청구항2는 삭제 되었습니다.
KR1019990048045A 1999-11-01 1999-11-01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KR10032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045A KR100328992B1 (ko) 1999-11-01 1999-11-01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045A KR100328992B1 (ko) 1999-11-01 1999-11-01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981A KR20010044981A (ko) 2001-06-05
KR100328992B1 true KR100328992B1 (ko) 2002-03-20

Family

ID=1961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045A KR100328992B1 (ko) 1999-11-01 1999-11-01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979A (ko) * 2013-12-26 2015-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배기열 재활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637B1 (ko) * 2002-02-06 2005-06-13 임호종 발전장치
KR101454444B1 (ko) * 2013-02-04 2014-10-28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차량용 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의 발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041A (ko) * 1994-05-24 1995-12-30 정몽원 교류 발전기의 전자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041A (ko) * 1994-05-24 1995-12-30 정몽원 교류 발전기의 전자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979A (ko) * 2013-12-26 2015-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배기열 재활용 시스템
KR101966467B1 (ko) * 2013-12-26 2019-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배기열 재활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981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9637A (en) Hybrid vehicle
EP1550808B1 (en) Composite drive system for compressor
US71194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ccessories in a hybrid vehicle
US76904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ccessories in a hybrid vehicle
US6020697A (en) Hybrid vehicle
CA225369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mechanically-driven device in an electrical vehicle
JP362517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変速機ユニット
JPH0879915A (ja) ハイブリッド車
KR20010042290A (ko) 자동차의 하나 이상의 보조 유니트를 위한 구동 장치 및그 작동 방법
JP3892528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補助電源バッテリ充電制御装置
KR20190019399A (ko) 차량용 댐퍼 풀리
KR100328992B1 (ko)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KR100999606B1 (ko) 전기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스템
JP3657095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エンジン始動装置
JP3490420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JP2011508698A (ja) 補機駆動システム、及び電気機械変換器の使用法
KR100405740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동력 제어시스템
KR200149040Y1 (ko) 자동차의 피동축을 이용한 보조 발전장치
KR0181468B1 (ko) 후륜 구동 자동차용 충전 장치
KR100245872B1 (ko) 출력 소모 저감형 알터내이터 구조
KR100359326B1 (ko) 제동에너지를 이용한 압축기의 구동 및 발전장치
JPH04261304A (ja) 車両の駆動装置
KR19990021226U (ko) 자동차의 발전기 구동구조
KR100369023B1 (ko) 회전 제어식 알터네이터
KR20050119879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전기구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