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137B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137B1
KR101321137B1 KR1020070094407A KR20070094407A KR101321137B1 KR 101321137 B1 KR101321137 B1 KR 101321137B1 KR 1020070094407 A KR1020070094407 A KR 1020070094407A KR 20070094407 A KR20070094407 A KR 20070094407A KR 101321137 B1 KR101321137 B1 KR 101321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ity
inverter
crash pad
vehicl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122A (ko
Inventor
신주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1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크래시패드의 외주면에 노출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가 생성되는 집광판; 크래시패드에 내장되고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 크래시패드에 내장되고 전기를 변환하는 인버터; 집광판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축전기로 보내거나 인버터로 보내는 조절기; 및 인버터에서 변환된 전기를 전자제품과 연결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는 기존 배터리 외에 별도의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자동차 내부에서 다수의 전자제품 사용이 가능하다.
태양광, 크래시패드, 배터리, 축전기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AUTOMOBILE HAVING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외에 별도의 전원공급을 통해 다수의 전자제품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배터리와 발전기가 구비되어, 전자장치의 전원공급을 담당한다. 즉, 자동차의 시동 전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자동차의 시동 후에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와 연결된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사용하고 남은 전기는 배터리에 충전된다.
한편, 자동차는 자체 음향 장치나 주행에 필요한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12V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파워잭이 하나 혹은 두 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별도의 전자제품은 네비게이션, 지피에스(GPS), 컴퓨터, 공기청정기, 청소기 또는 발광 장식품 등 다양하다.
종래 자동차는 파워잭이 하나 또는 두 개로 한정되므로, 다수의 전자제품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멀티탭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정된 파워잭에 멀티탭을 설치하고 다수의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배터리의 전원공급용량을 초과하여 별도의 전자제품에 전원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자제품에 전원을 과도하게 공급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운행에 필요한 전자장치들에 전원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자동차의 주행 안전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외에 자동차에 별도로 장착되는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래시패드의 외주면에 노출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가 생성되는 집광판; 상기 크래시패드에 내장되고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 상기 크래시패드에 내장되고 전기를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집광판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상기 축전기로 보내거나 상기 인버터로 보내는 조절기; 및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전기를 전자제품과 연결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전자제품의 케이블과 연결되기 위한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실내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의하면, 기존에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외에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 공급이 가능해져, 자동차에서도 다양한 전자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는 배터리 방전시 배터리를 대체하여 자동차의 작동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 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시패드에 집광판이 장착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에는 금속부품과 전자부품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크래시패드(10)가 구비된다. 이러한 크래시패드(10)에는 공조기에서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통상 오디오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크래시패드(10)는 자동차의 전면유리창(11)과 맞닿아 있다.
상기 크래시패드(10)의 외주면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가 생성되는 집광판(21)이 노출된다. 이러한 집광판(21)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집광판(21)의 집광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크래시패드(10)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도록, 전면유리창(11) 인접한 부위에 해당하는 도 2의 a 영역이나 b 영역에 집광판(21)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크래시패드(10)에는 축전기(22)와 인버터(23)가 내장된다. 상기 축전기(22)는 집광판(21)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저장하고, 인버터(23)는 집광판(21)에서 생성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집광판(21)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축전기(22)나 인버터(23)로 보내기 위해 조절기(24)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절기(24)는 맑은 날 강한 태양광으로 인해 집광판(21)에서 생성되는 전기 공급이 늘 경우, 전기를 인버터(23)로 보내 전자제 품(31)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축전기(22)로 보내 전기를 비축한다. 그리고, 조절기(24)는 흐린 날이나 저녁이 되어 태양광이 미비할 경우 축전기(22)에 비축된 전기를 인버터(23)로 보내 전자제품(31)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인버터(23)에 의해 변환된 전기를 전자제품(31)의 케이블(32)과 연결시키기 위한 공급부(25)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자제품(31)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동차에 별도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후방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25)는 전자제품(31)의 케이블(32)과 연결되기 위한 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잭은 크래시패드(10)에 노출되거나, 뒷자석으로 연장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잭은 복수개의 전자제품(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25)는 통상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는 전자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급부(25)는 자동차의 실내등과 연결되어 실내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부(25)는 자동차의 내장 오디오나 공조시스템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25)는 시동장치와 연결되어 배터리 방전시 자동차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태양광이 비춰지면 집광판(21)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조절기(24)는 집광판(21)에서 생성된 전기를 축전기(22)로 보내 전기를 비축하거나, 인 버터(23)로 보낸다.
상기 인버터(23)를 통과한 전기를 교류로 변환되므로, 일반적인 전자제품(31)의 케이블(32)을 공급부(25)에 접속시키면, 전원 공급으로 인해 전자제품(31)이 정상적으로 구동된다.
한편, 태양광을 통해 충분한 전기 생성이 어려울 경우, 조절기(24)는 축전기(22)에 비축되어 있는 전기를 인버터(23)로 보내 전자제품(3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시패드에 집광판이 장착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래시패드 21 : 집광판
22 : 축전기 23 : 인버터
24 : 조절기

Claims (3)

  1. 크래시패드의 외주면에 노출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가 생성되는 집광판;
    상기 크래시패드에 내장되고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
    상기 크래시패드에 내장되고 전기를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집광판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상기 축전기로 보내거나 상기 인버터로 보내는 조절기; 및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전기를 전자제품과 연결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전자제품의 케이블과 연결되기 위한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실내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KR1020070094407A 2007-09-17 2007-09-17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KR101321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407A KR101321137B1 (ko) 2007-09-17 2007-09-17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407A KR101321137B1 (ko) 2007-09-17 2007-09-17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122A KR20090029122A (ko) 2009-03-20
KR101321137B1 true KR101321137B1 (ko) 2013-10-22

Family

ID=4069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407A KR101321137B1 (ko) 2007-09-17 2007-09-17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1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97U (ko) * 1989-06-01 1991-01-16
JPH0343098U (ko) * 1989-09-06 1991-04-23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97U (ko) * 1989-06-01 1991-01-16
JPH0343098U (ko) * 1989-09-06 1991-04-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122A (ko)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55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hybrid vehicle
JP6269663B2 (ja) 車載太陽電池を利用する充電制御装置
JP5290588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の充電システム及び同バッテリの充電方法
JP5577967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US20080257622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 Solar Module
US9440525B1 (en) Solar powered assisted trailer cooling system
JP2013066365A (ja) 車両駆動装置、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自動車
JP4775522B2 (ja) 電気駆動式車両
JP2007137275A (ja) 電源制御装置
JP2006176120A5 (ko)
JP2010074997A (ja) 建物及び電力供給ルート選択方法
KR101321137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JP2001197788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634930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2071788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H0828999B2 (ja) 自動車用発電機構
JP2002199502A (ja) 風力、太陽光発電装置を設置した車両
US20130144504A1 (en) Management of operation of an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featuring a renewable electrical power source
KR101037842B1 (ko)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KR101319432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JP2015015862A (ja) 電力システム
US20110144837A1 (en) Hybrid accessory power module shedding for high voltage battery protection
JP2006230071A (ja) 車両用電力供給装置及び車両
KR100440140B1 (ko) 차량의 전원 제어 시스템
KR10118694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차 전기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