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976Y1 - 컴퓨터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976Y1
KR200258976Y1 KR2020010028200U KR20010028200U KR200258976Y1 KR 200258976 Y1 KR200258976 Y1 KR 200258976Y1 KR 2020010028200 U KR2020010028200 U KR 2020010028200U KR 20010028200 U KR20010028200 U KR 20010028200U KR 200258976 Y1 KR200258976 Y1 KR 200258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mma
group
key group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학선
Original Assignee
장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학선 filed Critical 장학선
Priority to KR2020010028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9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976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숫자를 입력하면서 단위를 표시하는 콤마키를 부가한 콤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방향이동키군, 계산기용 키군, 기능키군 및 데이터 입력키군을 구비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계산기용 키군에 포함된 숫자키로 숫자를 입력할 때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콤마키를 포함하므로, 워드프로세서 또는 파워포인트와 같은 문서편집기로 숫자를 포함하는 표 등을 만들 때, 한 손을 이용하여 계산용키군에 있는 숫자키로 숫자를 입력할 때 콤마를 입력하기 위해서 손을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되어 오타를 줄일 수 있고 숫자 입력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용 키보드{Keyboard for computer}
본 고안은 전자기기 등에 자료의 입력 또는 수정을 행하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단위를 표시하면서 숫자를 입력할 때 콤마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콤마키를 계산용키군 근처에 추가한 컴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이동키군(110), 전자계산기용으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계산용키군(120),자주 사용되는 명령의 입력 또는 도움말 호출 등과 같은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군(130) 및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용키군(140)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계산용키군(120)의 숫자를 입력하고 천단위마다 표시를 할 경우에 데이터 입력키군(140)의 콤마키(143)를 사용하여 단위를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숫자를 입력한 후에 단위표시용 콤마를 입력하려면 손을 이동하여 키보드의 중앙부에 있는 콤마키를 사용하여 표시하게 된다. 특히, 문서편집프로램으로 표를 만들어 숫자를 입력하고 콤마를 사용하여 단위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숫자를 입력하고 콤마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손을 이동하여 입력을 해야 하므로 오타가 발생하거나 시간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콤마키가 부가된 컴퓨터용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이동키군이 배치된 여분의 공간에 콤마키를 추가한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산용키군에 포함된 삽입키를 이등분하여 그 중 하나의 키를 콤마키로 추가한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계산용키군에 포함된 실행키를 이등분한 자리에 콤마키를 추가한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콤마키가 부가된 컴퓨터용 키보드는, 방향이동키군, 계산기용 키군, 기능키군 및 데이터 입력키군을 구비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계산기용 키군에 포함된 숫자키로 숫자를 입력할 때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콤마키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는 사용자가 문서편집기를 사용하여 전자계산을 위한 숫자 또는 숫자를 포함하는 표 등을 작성할 때 계산용키군(120, 220, 320 또는 420)을 사용하여 숫자를 입력하고 천단위를 표시하기 위해서 데이터 입력용키군(140, 240, 340 또는 440)에 포함된 콤마키(143, 243, 343 또는 433)를 사용하여 표시함으로써 문서편집기의 비숙련자는 오타 또는 시간의 지연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이동키군(210)이 배치된 여분의 공간에 콤마키(213)를 추가한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방향이동키군(210)에 포함된 상향이동키(211)의 우측 공간에 콤마키(213)가 부가되어 있다.
사용자가 워드프로세서 또는 파워포인트 등과 같은 문서편집기를 이용하여 숫자를 포함하는 표를 작성하려면, 한 손을 사용하여 계산용키군(220)의 숫자키를 입력하고 천단위를 표시하는 콤마키(213)를 입력할 수 있다. 오른손을 사용하여 숫자를 입력한다면, 손의 이동없이 엄지손가락으로 콤마키(213)를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 상에 콤마키(213)를 배치하는 위치는 상향이동키(211)의 좌측 또는 상향이동키(211)의 위쪽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계산용키군(120)에 포함된 삽입키(123)를 이등분하여 그 중하나의 키를 콤마키(321)로 추가한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방향이동키군(310), 기능키군(330) 및 데이터 입력키군(340)은 종래와 변화가 없고 종래의 계산용키군(120)에서 삽입키(123)를 이등분 하여 이등분 된 부분 중의 하나를 추가되는 콤마키(321)로 한 것을 나타낸다. 나머지 이등분 된 부분이 삽입키(323)의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삽입키(123)는 계산용키군(320)의 숫자키의 크기보다 2배 정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이등분하여 하나의 키는 삽입키(323)로 그대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키는 콤마키(321)로 하여 숫자를 입력할 때 단위 표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계산용키군(120)에 포함된 실행키(125)를 이등분한 자리에 콤마키를 추가한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덧셈키(427)의 크기를 반으로 줄이고 그 빈 자리로 실행키(420)를 위치이동하고 실행키(420)가 차지하던 부분에 콤마키(421)를 추가한다.
방향이동키(410), 기능키(430) 또는 데이터 입력용키(440)는 종래와 같이 유지한 상태에서 계산용키군(420)의 덧셈키(427)는 숫자키와 크기가 같아지게 되고 실행키(420)는 원래의 버튼 크기를 유지하면서 위치만 이동하게 된다. 실행키(420)가 이동하고 남은 자리에 콤마키(421)를 부가하여 한 손으로 숫자를 입력하고 콤마를 사용하여 천단위 표시하게 된다. 콤마키(421)의 위치는 실행키(425)의 위치를 종래의 실핸키의 위치로 유지하면서 종래의 덧셈키(127)를 이등분하여 이등분한 부분 중의 하나는 덧셈키로 하고 다른 하나를 콤마키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부가된 콤마키(213, 321 또는 421)는 Num Lock키와 연동되어, 숫자키가 방향키로 전환되듯이 Num Lock키를 누르면 콤마키의 기능에서 어떠한 문자도 입력하지 않는 무기능의 키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방향이동키군(210, 310 또는 410)를 사용하여 커서를 이동할 때 콤마키(213, 321 또는 421)를 잘못 누르더라도 동작을 하지 않아 오타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부가된 콤마키(212, 321 또는 421)를 사용하여 단위를 표시한 숫자를 입력하면 문서편집기의 비숙련자의 경우에 오타를 줄일 수 있고 손의 이동으로 인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용 키보드에 콤마키를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워드프로세서 또는 파워포인트와 같은 문서편집기로 숫자를 포함하는 표 등을 만들 때, 한 손을 이용하여 계산용키군에 있는 숫자키로 숫자를 입력할 때 콤마를 입력하기 위해서 손을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되어 오타를 줄일 수 있고 숫자 입력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또한 계산용키군의 Num Lock키와 연동되어 Num Lock키를 한 번 누르면 무기능키로 전환되어 방향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방향이동키군, 계산기용 키군, 기능키군 및 데이터 입력키군을 구비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계산기용 키군에 포함된 숫자키로 숫자를 입력할 때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콤마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마키는
    상기 계산기용 키군에 포함된 숫자키로 숫자를 입력할 때 손의 좌우 이동이없이 콤마를 입력하여 숫자의 단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마키는
    상기 계산기용키군에 포함된 Num Lock키와 연동되어 상기 Num Lock키를 누르면 동작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마키는
    상기 방향이동키군에 포함된 상향이동키의 좌측 또는 우측 여분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기용 키군에 포함된 삽입키, 실행키 또는 덧셈키 중에서 하나의 키를 2등분하여 그 중의 하나의 키를 상기 콤마키의 기능을 갖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KR2020010028200U 2001-09-13 2001-09-13 컴퓨터용 키보드 KR200258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200U KR200258976Y1 (ko) 2001-09-13 2001-09-13 컴퓨터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200U KR200258976Y1 (ko) 2001-09-13 2001-09-13 컴퓨터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976Y1 true KR200258976Y1 (ko) 2001-12-28

Family

ID=7310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200U KR200258976Y1 (ko) 2001-09-13 2001-09-13 컴퓨터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9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8292A1 (en) Keypad
US7859830B2 (en) Mobile quick-keying device
KR20040002875A (ko) 빠른 텍스트 타이핑을 지원하는 휴대 장치
JP2000056877A (ja) タッチパネル式レイアウトフリーキーボード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274801B1 (ko)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KR200258976Y1 (ko) 컴퓨터용 키보드
FI118357B (fi) Ihmis/kone rajapinta tietojenkäsittelylaitteistoille
KR100689515B1 (ko) 투명 키패드를 이용한 장치
US6830394B2 (en) Keyboard having a track ball mechanism and a scroll mechanism
JPH11327762A (ja)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JPH07200120A (ja) 隣接文字表示キーボード
JPS5943777B2 (ja) マトリツクス方式によるテンキ−からの文字入力方式
JPH10198505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装置
JPS60144817A (ja) 情報入力装置
US200401604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1175391A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20120012A1 (en) Method for inputting digital characters
JPH04139520A (ja) キーボード装置
KR200253923Y1 (ko) 계산기 모드로 전환 가능한 키보드
KR200286423Y1 (ko) 소형 키보드
KR200351141Y1 (ko) 소형 키보드
JPH01180029A (ja) キーボード補助装置
JP2002297298A (ja) キーボードを用いた文書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20028283A (ko) 구방 한글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