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141Y1 - 소형 키보드 - Google Patents

소형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141Y1
KR200351141Y1 KR20-2004-0004154U KR20040004154U KR200351141Y1 KR 200351141 Y1 KR200351141 Y1 KR 200351141Y1 KR 20040004154 U KR20040004154 U KR 20040004154U KR 200351141 Y1 KR200351141 Y1 KR 200351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keyboard
english
column
convers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20-2004-0004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력키 및 특수기능들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기능키 등을 48개의 키로 형성하고, 상기 문자 입력키의 영문과 한글을 기존 키보드 배열과 달리 어순에 따라 일렬로 배열하여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력키 및 특수기능들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기능키 등을 형성하며, 상기 문자 입력키는 첫 번째 열에서부터 다섯 번째 열까지 알파벳 순서에 따라 영문을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고, 두 번째 행에서부터 일곱 번째 행까지 한글 자모 순서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나열하여 총 48개의 키들을 형성한 자판부(10)와, 상기 자판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한/영 변환 상태, Caps/Lock 변환 상태, Scroll/LocK 변환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0)와, 상기 자판부(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요홈(31)과, 상기 요홈(31)에 삽입되며, 모니터, 컴퓨터 본체 등에 부착되는 돌기(32)를 형성한 걸이부(30)로 이루어져, 자판 운용에 있어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도 누구나 손쉽게 해당 키를 찾을 수 있으며, 컴퓨터 키보드를 모니터 또는 본체 등에 탈부착 시켜 사용함으로써 작업 완료후의 협소한 책상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키보드{Small sized keyboard}
본 고안은 컴퓨터, PDA,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력키 및 특수기능들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기능키 등을 48개의 키로 형성하고, 상기 문자 입력키의 영문과 한글을 일렬로 배열하여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키보드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주요 장치로서,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입력키와, Escape, 탭, 커서 이동키, 시프트, 콘트롤키 등과 같은 어느 정도는 표준화된 기능 키들과, 때로는 제작자 특유의 키들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는 기계식 또는 전동 타자기의 자판과 같은 키 배열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문자와 숫자 조합 입력키들은 영문 알파벳 키들의 표준 배열인 쿼티 배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쿼티 배열 방식은 네 개의 열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맨 윗열은 1,2,3,4,5,6,7,8,9,0의 숫자키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단의 나머지 세열은 문자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열의 문자열중 첫 번째 열은 Q,W,E,R,T,Y,U,I,O,P의 문자이며, 두 번째 열은 A,S,D,F,G,H,J,K,L가 되며,세 번째 열은 Z,X,C,V,B,N,M의 문자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쿼티 배열 방식은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 또는 알파벳 문자를 기초를 두지 않은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는 입력 키들이 무작위로 배열된 것처럼 느껴지므로 데이터 또는 자료를 입력하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입력키를 빠르게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쿼티 배열방식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많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컴퓨터 사용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는 책상 상면에 모니터, 컴퓨터, 키보드 및 마우스와 함께 설치되어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 완료후에도 책상 공간 상부에 일정 공간을 차지하므로 소정 작업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력키 및 특수기능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기능키 등을 48개의 키로 형성하고, 상기 문자 입력키의 영문과 한글은 어순에 따라 일렬로 배열하고, 상기 숫자 입력키는 전화기의 숫자배열과 같이 1부터 0까지의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키보드를 모니터, 컴퓨터 본체 등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하여 키보드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사용자의 컴퓨터 작업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키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키보드의 사시 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판부 20 : 표시부
30 : 걸이부 31 : 요홈
32 : 돌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력키 및 특수기능들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기능키 등을 형성하며, 상기 문자 입력키는 첫 번째 열에서부터 다섯 번째 열까지 알파벳 순서에 따라 영문을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고, 두 번째 행에서부터 일곱 번째 행까지 한글 자모 순서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나열하여 총 48개의 키들을 형성한 자판부와;
상기 자판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한/영 변환 상태, Caps/Lock 변환 상태, Scroll/LocK 변환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자판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삽입되며, 모니터, 컴퓨터 본체 등에 부착되는 돌기를 형성한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사시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컴퓨터용 키보드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자판부(10)와, 상기 자판부(10)의 특수키들이 선택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와, 상기 자판부(10)를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에 탈부착할 수 있는 걸이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자판부(10)는 첫 번째 열에서부터 다섯 번째 열까지 영문을 알파벳 순서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고, 두 번째 행에서부터 일곱 번째 행까지 한글 자모 순서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나열한 다수개의 문자키와, 숫자를 처리하는 다수개의 숫자키와, 특수기능들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기능키 등으로 총 48개의 키들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들면, 상기 자판부(10)는 첫 번째 열에서부터 네 번째 열까지는 10개의 키를 형성하고, 마지막 다섯 번째 열에는 8개의 키를 형성하여 총 48개의 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첫 번째 열의 10개 키는 Esc, A,B,C,D,E,F,Del,Back,Caps로 나열하며, 두 번째 열의 10개 키는 Shift,G,H,I,J,K,L,1,2,3으로 나열하며, 세 번째 열의 10개 키는 Shift,M,N,O,P,Q,R,4,5,6으로 나열하며, 네 번재 열의 10개 키는Alt,S,T,U,V,W,X,7,8,9로 나열하며, 다섯 번재 열의 8개 키는 Ctrl,Y,Z,Space,Enter,한/영,0,·으로 나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문키의 행으로, 즉 A,G,M,S,Y에 한글 ㄱ,ㄴ,ㄷ,ㄹ,ㅁ을 나열하며, B,H,N,T,Z에 ㅂ,ㅅ,ㅇ,ㅈ,ㅊ을 나열하며, C,I,O,U에 ㅋ,ㅌ,ㅍ,ㅎ을 나열하며 D,J,P,V에 ㅏ,ㅑ,ㅓ,ㅕ를 나열하며, E,K,Q,W에 ㅗ,ㅛ,ㅜ,ㅠ를 나열하며, F,L,R,X에 ㅡ,ㅣ,ㅐ,ㅔ를 나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48개의 키에는 F1, F2...F12, Print, Scr, Pause, 방향키, 특수문자 등의 다수개의 특수 기능키 등이 48개의 키에 복수로 나열되어 있으며, 상기 자판부(10)의 1행 2열에 형성되어 있는 Shift 키는 일반적인 컴퓨터 키보드에서 사용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1행 3열에 형성되어 있는 Shift 키는 축소된 자판에 중복으로 나열되어 있는 특수 기능키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20)는 상기 자판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한/영 변환 상태, Caps/Lock 변환 상태, Scroll/LocK 변환상태 등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상기 표시부(10)의 표시는 황색, 또는 적색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부(30)는 상기 자판부(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요홈(31)과, 상기 요홈(31)에 삽입되며, 모니터, 컴퓨터 본체 등에 부착되는 돌기(32)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들면, 상기 돌기(32)는 양면 테이프, 벨크로 테이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영문 또는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자판부(10)의 영문 키들은 첫 번째 열에서부터 다섯 번째 열까지 알파벳 순서에 따라, 즉 첫 번째 열에는 A,B,C,D,E,F의 문자, 두 번째 열에는 G,H,I,J,K,L의 문자, 세 번째 열에는 M,N,O,P,Q,R의 문자, 네 번째 열에는 S,T,U,V,W,X의 문자, 다섯 번째 열에는 Y,Z의 문자가 가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한글 키들은 두 번째 행에서부터 일곱 번째 행까지 한글 자모 순서에 따라, 즉 두 번째 행에는 ㄱ,ㄴ,ㄷ,ㄹ,ㅁ의 문자, 세 번째 행에는 ㅂ,ㅅ,ㅇ,ㅈ,ㅊ의 문자, 네 번째 행에는 ㅋ,ㅌ,ㅍ,ㅎ의 문자, 다섯 번째 행에는 ㅏ,ㅑ,ㅓ,ㅕ의 문자, 여섯 번째 행에는 ㅗ,ㅛ,ㅜ,ㅠ의 문자, 일곱 번째 행에는 ㅡ,ㅣ,ㅐ,ㅔ의 문자가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쿼티식 자판 배열 보다 원하는 키를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키보드 사용자는 자판의 모든 글자배열을 익혀야 하며 Shift키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한번은 누르고 사용해야 된다는 점은 본 고안과 기존 키보드가 다를바 없으나, 기존 키보드는 좌우상하 운동을 바쁘게 하면서 입력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양손 아래에 모든 키가 수용 되므로 상하 운동만 하면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적으며, 데이터 입력 속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걸이부(30)의 돌기(32)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 즉 모니터의 상단 또는 본체의 측면 등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키보드의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돌기(32)에 요홈(31)을 삽입/고정함으로써 컴퓨터 본체, 모니터 등으로인한 협소한 책상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정리, 정돈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영문 입력키를 알파벳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열에서부터 다섯 번째 열까지 가로 방향으로 배열하고, 한글 입력키를 자모 순서에 따라 두 번째 행에서부터 일곱 번째 행까지 세로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종래의 퀴티식 배열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누구나 손쉽게 해당 키를 찾을 수 있으며, 장년이나 주부층 등 컴퓨터 초보자도 자신이 원하는 입력키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으므로 키보드의 숙련시간을 단축시키고, 컴퓨터의 활용도와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고안의 키보드는 48개의 키로 이루어져, 종래의 108키로 구성된 키보드 크기의 1/3에 불과하여 한손으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전화응답 등과 같은 업무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면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양손을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들도 한손만을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실용성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키보는 책상공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걸이부를 이용하여 모니터 또는 본체 등의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 시켜 사용함으로써 협소한 책상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정리, 정돈을 할 수 있다.

Claims (3)

  1.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력키 및 특수기능들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기능키 등을 형성하며, 상기 문자 입력키는 첫 번째 열에서부터 다섯 번째 열까지 알파벳 순서에 따라 영문을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고, 두 번째 행에서부터 일곱 번째 행까지 한글 자모 순서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나열하여 총 48개의 키들을 형성한 자판부(10)와;
    상기 자판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한/영 변환 상태, Caps/Lock 변환 상태, Scroll/LocK 변환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0)와;
    상기 자판부(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요홈(31)과, 상기 요홈(31)에 삽입되며, 모니터, 컴퓨터 본체 등에 부착되는 돌기(32)를 형성한 걸이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부(10)는 첫 번째 열에 Esc, A,B,C,D,E,F,Del,Back,Caps와, 두 번째 열에 Shift,G,H,I,J,K,L,1,2,3과, 세 번째 열에 Shift,M,N,O,P,Q,R,4,5,6과, 네 번재 열에 Alt,S,T,U,V,W,X,7,8,9와, 다섯 번재 열에 Ctrl,Y,Z,Space,Enter,한/영,0,·을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부(10)의 문자키 A,G,M,S,Y에 한글 ㄱ,ㄴ,ㄷ,ㄹ,ㅁ을 나열하고, B,H,N,T,Z에 ㅂ,ㅅ,ㅇ,ㅈ,ㅊ을 나열하며, C,I,O,U에 ㅋ,ㅌ,ㅍ,ㅊ을 나열하고, D,J,P,V에 ㅏ,ㅑ,ㅓ,ㅕ를 나열하며, E,K,Q,W에 ㅗ,ㅛ,ㅜ,ㅠ를 나열하고, F,L,R,X에 ㅡ,ㅣ,ㅐ,ㅔ를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보드.
KR20-2004-0004154U 2004-02-18 2004-02-18 소형 키보드 KR200351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54U KR200351141Y1 (ko) 2004-02-18 2004-02-18 소형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54U KR200351141Y1 (ko) 2004-02-18 2004-02-18 소형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141Y1 true KR200351141Y1 (ko) 2004-05-20

Family

ID=4943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54U KR200351141Y1 (ko) 2004-02-18 2004-02-18 소형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1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562B2 (en) Modified-QWERTY letter layout for rapid data entry
US7417566B2 (en) Sequential two-key system to input keyboard characters and many alphabets on small keypads
US7216588B2 (en) Modified-qwerty letter layout for rapid data entry
US6356258B1 (en) Keypad
US6378234B1 (en) Sequential stroke keyboard
US6142687A (en) One handed sequential alpha numerical keyboard
US7859830B2 (en) Mobile quick-keying device
RU228528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данных электр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для хранения и/ил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20030030573A1 (en)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JP2002222037A (ja) キー入力装置
JP2005531064A (ja) キーボード
US20020145592A1 (en) Method of data entry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51141Y1 (ko) 소형 키보드
KR200286423Y1 (ko) 소형 키보드
US20130222254A1 (en) Smart keyboard for computer and compact devices
KR20080067941A (ko) 컴퓨터등 전자문자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한손 타이핑이가능한 문자입력 키보드
JP3222445B2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JP3899337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509202A (ja) 形態ベース・テキス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JP2005174194A (ja) 片手用入力装置
JPH10177446A (ja) キー入力装置
KR20110011722U (ko) 키보드
KR200193910Y1 (ko) 직각배열형 컴퓨터 글자판(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