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801B1 -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801B1
KR100274801B1 KR1019970045971A KR19970045971A KR100274801B1 KR 100274801 B1 KR100274801 B1 KR 100274801B1 KR 1019970045971 A KR1019970045971 A KR 1019970045971A KR 19970045971 A KR19970045971 A KR 19970045971A KR 100274801 B1 KR100274801 B1 KR 10027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displayed
display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687A (ko
Inventor
오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80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은, 문자, 숫자, 특정 부호 및 특수 기능 키들을 가지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 숫자, 특정 부호 및 특수 기능 키들은 화면변환 기능을 갖는 소정 키의 조작에 의해 각각에 해당되는 키의 자판만이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입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를 분할하여 필요한 키의 자판만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므로 한정적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숫자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배열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수를 줄일 수 있어 입력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Method for inputting a key in a software keyboard}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키보드(software keyboard)에서의 키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 탑형 컴퓨터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판 배열 구조를 갖는 하드웨어(hardware) 키보드(10)가 사용된다. 그러나, 핸드홀드(handhold) 컴퓨터나 월렛(wallet) 컴퓨터와 같은 소형 컴퓨터에서는 그와 같은 하드웨어 키보드(10)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입력방식으로 액션 커맨드(action command)들과 소프트웨어 키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양손을 사용하는 상기 일반적인 하드웨어 키보드(10)와는 달리 한 개의 손가락이나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이용하여 원하는 사항을 입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입력방식이 가능해진다. 즉, 그 용도가 고정되어 있는 하드웨어 키보드의 키들과는 달리 소프트웨어로 키보드를 에뮤레이션(emulation)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키의 용도나 배열 등을 변경시키면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하드웨어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첫째, 키 탑을 배열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한정된다.
즉, 실제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필요로 하는 컨슈머(consumer) 디바이스의 경우 작업 공간이 매우 좁다. 따라서, 하드웨어 키보드(10)에서 사용되는 모든 키들을 배열하면 한 개의 키가 점유하는 공간이 매우 좁아서 입력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과 영문을 한 개의 키 탑위에 새기면 문자를 식별하기 어렵게 된다.
둘째, 키의 배열이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즉, 키의 배열을 입력 모드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숫자인 경우에는 숫자를 입력하기에 편한 배열을 취하면 되고,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한글을 입력하기에 편한 배열로 바꾸어주면 된다.
셋째,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든 키들을 한꺼번에 다 보여줄 필요가 없다.
즉, 공간이 좁기 때문에 한꺼번에 모든 키들을 보여주지 않아도 된다. 숫자를 입력할 때는 숫자 키만, 영문을 입력할 때는 영문 키만 보여주면 되는 것이다.
넷째, 어떤 키를 토글(toggle) 모드로 하기 위해서 업/다운(up/down)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일반 하드웨어 키보드(10)에서는 "Caps Lock" 키를 누르면 토글의 누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키보드 우측 상단의 "Caps Lock" 표시부가 점등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는 누르면 "들어간 모양", 다시 누르면 "나온 모양"을 에뮤레이션하여 나타내면 된다.
그리고,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하나씩 옮겨가면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포인팅하는 키의 수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 즉,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하나씩 입력되므로 가능하면 조합하여 입력되는 키들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방식에 있어서 입력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키보드의 자판 배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이 채용되는 핸드홀드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이 채용되는 월렛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들의 초기 자판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에 따라 "영"키를 누른 경우 영문에서 한글 입력 모드로 변환된 상태의 자판 배치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에 따라 "kc"키를 누른 경우의 숫자 키 및 특수 키들의 자판 배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드웨어 키보드 20...핸드홀드 컴퓨터
21,31...제1디스플레이부 22,32...제2디스플레이부
23...스타일러스 33...터치 패널
34a,34b...포인팅 디바이스 40...한/영 키
41...토글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은, 문자, 숫자, 특정 부호 및 특수 기능 키들을 가지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 숫자, 특정 부호 및 특수 기능 키들은 화면변환 기능을 갖는 소정 키의 조작에 의해 각각에 해당되는 키의 자판만이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입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키들 중의 "탭(Tab)"키는 좌,우로 양분하여 일측을 누르면 탭을 실행하고, 타측을 누르면 백탭을 실행하도록 하고;
"시프트(Shift)" 키는 현재 누른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해 다운 상태를 나타내고, 그 상태에서 임의의 한 개의 문자를 포인팅하면 즉시 해당 문자가 입력되면서 원상태로 회복되어 업상태가 되도록 하고;
"한/영"키를 누르면 키 탑의 영문 알파벳들은 일반 하드웨어 키보드에서 사용되는 한글 문자로 바뀌도록 하고;
"토글"("kc"로 표시됨) 키는 한 번 누르면 상기 특수 기능 키들과 숫자 키 패드가 디스플레이되고, 원하는 입력이 끝난 후에 다시 "토글"키를 누르면 원래의 키보드로 복귀하여 상기 "한/영"키를 누르면 한글 입력모드로 바뀌면서 한글 자판이 나타나도록 하고;
"〈 〉" 키는 커서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고, 좌(우)측 부분을 누르면 커서가 각각 좌(우)측 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Ctrl","Alt","Del" 키는 누르면 다운 상태가 되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 조합이 끝나면 "Space"키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기능이 수행되고 키는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를 분할하여 필요한 키의 자판만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므로 한정적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숫자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배열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수를 줄일 수 있어 입력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키의 가시 효과를 높여 현재의 키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이 채용되는 핸드홀드 컴퓨터 및 월렛 컴퓨터를 각각 나타내 보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핸드홀드 컴퓨터(20)나 도 3의 월렛 컴퓨터(30)에는 도시된 것처럼 입력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부(21)(31)와, 터치 스크린으로서 일반 컴퓨터에서의 키보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2디스플레이부(22)(3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핸드홀드 컴퓨터(20)의 경우 입력도구로서 스타일러스(23)가 사용되고, 월렛 컴퓨터(30)의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32)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터치 패널(33)과 포인팅 디바이스(34a)(34b)를 이용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핸드홀드 컴퓨터(20)나 월렛 컴퓨터(30)에서의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2)(32)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초기 상태의 키보드 상의 키들은 통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은 상기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은 문자, 숫자, 특정 부호 및 특수 기능 키를 가지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를 입력함에 있어, 상기 문자, 숫자, 특정 부호 및 특수 기능 키들은 화면변환 기능을 갖는 소정 키, 예컨대, 한글과 영문을 변환시키는 한/영 변환키(40)나 토글키(kc)(41)의 조작에 의해 각각에 해당되는 키의 자판만이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의 형태로 일단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특히 상기 키들 중의 "탭(Tab)"키(〈T〉)는 좌,우로 양분하여 일측(예컨대, 우측)을 누르면 탭을 실행하고, 타측(좌측)을 누르면 백(back) 탭을 실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시프트" 키(Shift)는 현재 누른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해 다운 상태를 나타내고, 그 상태에서 임의의 한 개의 문자를 포인팅하면 즉시 해당 문자가 입력되면서 원상태로 회복되어 업상태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를 치기 위해서는 먼저, "시프트" 키(Shift)를 누르고(이때, "시프트" 키가 다운된 상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표현한다.), '.?' 키를 누르면 ?가 원하는 커서 위치에 입력되고 "시프트" 키(Shift)는 업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시프트" 키(Shift)를 잘못 눌러 원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는 "시프트" 키(Shift)를 한 번 더 누르면 된다. 또한, "한/영"키(40)를 누르면 키 탑의 영문 알파벳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하드웨어 키보드에서 사용되는 한글 문자로 바뀌도록 한다. 이때, 이 "한/영"키(40)의 누름에 의해 한글 입력 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복자(모)음이 키 탑의 윗부분에 나타나 있는 키들의 경우에는 키 탑의 반 밑부분을 누르면 단자(모)음이 입력되고, 키 탑의 윗부분을 누르면 복자(모)음이 입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일일이 시프트 키(Shift)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예를 들면, 'ㅃ'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직접 'ㅃ'이 있는 윗 부분을 포인팅하면 바로 'ㅃ'이 입력된다. 또한, 토글키(kc)(41)는 한 번 누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기능 키들과 숫자 키 패드가 디스플레이되고, 원하는 입력이 끝난 후에 다시 토글키(41)를 누르면 원래의 키보드로 복귀하여, 상기 "한/영"키(40)를 다시 누르면 한글 입력모드로 바뀌면서 한글 자판이 나타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토글키(41)의 한 번 누름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 키 패드는 숫자 키는 좌측 부분에 나타나고, 특수 키는 우측 부분에 나타나는데, 특히 숫자 키들은 사용상의 편리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배치 구조로 나타나도록 한다.
한편, "〈 〉" 키는 커서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고, 좌(우)측 부분을 누르면 커서가 각각 좌(우)측 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Ctrl", "Alt", "Del" 키는 누르면 다운 상태가 되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 조합이 끝나면 "Space"키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기능이 수행되고 키는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즉, 시스템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셧 다운(shut down)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Ctrl"을 포인팅하고(이때, "Ctrl" 키는 다운 상태로 됨), 다음에 "Alt" 키를 누르고("Alt" 키도 다운 상태로 변경됨), "Del" 키를 누른 후 "Space"키를 누르면, "Ctrl" + "Alt" + "Del" 의 조합이 입력되고, 키들은 업 상태로 되며 시스템은 셧 다운 모드로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물론, 미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상기 핸드홀드 컴퓨터(20)나 월렛 컴퓨터(30)에 입력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은 키보드를 분할하여 필요한 키의 자판만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므로 한정적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숫자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배열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수를 줄일 수 있어 입력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키의 가시 효과를 높여 현재의 키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제1디스플레이 및 키 자판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키 값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탭 키, 시프트 키, 한/영 키, 토글 키, Ctrl 키, Alt 키, Del 키를 포함한 특수 기능 키들 및 다수의 문자 키들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소정의 도구에 의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서 지적된 키에 대응하는 스캔코드를 입력처리하는 단계;
    (c) 입력처리된 결과를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좌,우로 양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탭 키의 일측이 지적되면 상기 (b) 단계는 탭에 대응하는 스캔코드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상기 탭 키의 타측이 지적되면 백탭에 대응하는 스캔코드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상기 시프트 키가 지적되면 상기 시프트 키를 디스플레이한 부분에 현재 지적된 상태임을 표시하고, 그 상태에서 임의의 문자 키가 지적되면 대응하는 스캔코드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상기 시프트 키를 디스플레이한 부분을 즉시 원상태로 회복하고,
    상기 한/영 키가 지적되면 영문 문자 키들이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는 영문 문자 키들이 한글 문자 키들로 변환 디스플레이하고, 한글 문자 키들이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는 한글 문자 키들이 영문 문자 키들로 변환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토글 키가 지적되면 특수 기능 키들, 문자 키들 및 다수의 부호 키들이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는 숫자 키들 및 특수 부호 키들로 변환 디스플레이하고, 숫자 키들 및 특수 부호 키들이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는 특수 기능 키들, 문자 키들 및 다수의 부호 키들로 변환 디스플레이하고,
    Ctrl 키, Alt 키, Del 키가 각각 지적되면 그 키를 디스플레이한 부분에 현재 지적된 상태임을 표시하고, Space 키들 지적하면 이 키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스캔코드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이 키들을 디스플레이한 부분은 원상태로 회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시프트 키가 지적된 상기 시프트 키가 한 번 더 지적되면 상기 시프트 키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한글 문자 키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복자(모)음이 키 탑의 윗부분에 디스플레이된 키들의 경우에는 그 키 탑의 하반부가 지적되면 단자(모)음에 대응하는 스캔코드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그 키 탑의 상반부를 지적되면 복자(모)음에 대응하는 스캔코드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KR1019970045971A 1997-09-05 1997-09-05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KR10027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971A KR100274801B1 (ko) 1997-09-05 1997-09-05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971A KR100274801B1 (ko) 1997-09-05 1997-09-05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87A KR19990024687A (ko) 1999-04-06
KR100274801B1 true KR100274801B1 (ko) 2000-12-15

Family

ID=1952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971A KR100274801B1 (ko) 1997-09-05 1997-09-05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03A (ko) * 2000-04-14 2001-11-08 한정택 문자정보 암호화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59A (ko) * 2000-08-16 2002-02-25 김재명 전화기 키패드, 컴퓨터 키보드 위치 및 배열 액세스에관한 조작 방법
KR100808879B1 (ko) * 2001-06-05 2008-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및 그 컴퓨터의 문자입력 제어방법
KR100465114B1 (ko) * 2002-12-13 200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Osd상의 온스크린 키보드 생성방법
KR100519766B1 (ko) * 2003-03-29 200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동성있는 가상 키보드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125935B1 (ko) * 2005-02-15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입력 문자 표시 방법
WO2007114677A1 (en) * 2006-04-06 2007-10-11 Mobience, Inc.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for supporting keyboard functions
WO2007114678A1 (en) * 2006-04-06 2007-10-11 Mobience, Inc. Dual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keyboard functions
US8719723B2 (en) * 2007-03-05 2014-05-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data sensitive targ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03A (ko) * 2000-04-14 2001-11-08 한정택 문자정보 암호화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87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6755B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data employing a toggle input control
KR100652725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6231252B1 (en) Character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keyboard
CA2248292A1 (en) Keypad
JP2005509974A (ja) 文字シーケンスを電子装置に入力するための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電子装置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JPH06214699A (ja) キーボード装置
KR100274801B1 (ko)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방법
KR20050048758A (ko)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3047A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10059872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3677303A (zh) 一种智能手机触屏虚拟键盘布局设计及字母输入方案
KR20010107446A (ko) 한글을 숫자 키패드에 배열하는 방법
KR101129689B1 (ko) 2개국 겸용 속기 키보드
CN101359258A (zh) 四节输入法及其键盘布局
JP3222445B2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JPS60144817A (ja) 情報入力装置
KR20050120517A (ko) 키보드의 키 배열
JP3590747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90070357A (ko) 한글 입력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R200600294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Shin et al. An improved HCI method and information input device using gloves for wearable computers
Shin et al. An improv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input device using gloves for wearable compu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1020

Effective date: 200006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