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875Y1 -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5875Y1 KR200255875Y1 KR2019960063683U KR19960063683U KR200255875Y1 KR 200255875 Y1 KR200255875 Y1 KR 200255875Y1 KR 2019960063683 U KR2019960063683 U KR 2019960063683U KR 19960063683 U KR19960063683 U KR 19960063683U KR 200255875 Y1 KR200255875 Y1 KR 2002558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bilizer
- plate
- door glass
- holder
-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가 승강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측방향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어 글래스를 최상단위치에서 정지시켜주는 스토퍼의 기능을 갖는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가 위치되도록 도어 인너패널(40)의 상측 안쪽면에서 실내측으로 볼록하게 포밍되는 포밍부(41)의 내부 천정에서 상측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걸림홀(42)(43)을 형성함과 함께 각 걸림홀(42)(43)의 구멍 테두리 일부분에 차량의 측방향 중심선(L)과 평행한 걸림면(42a)(43a)을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며, 그 각 걸림홀(42)(43)을 통해 아래쪽에서 상방향으로 삽입된 후 옆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42a)(43a)과 상기 포밍부(41)의 외측 상면에 걸리는 서로 나란한 복수개의 L자 후크(32)(33)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전후 양측단에 각각 절곡형성하며, 가압형 체결수단(50)에 의해 고정되는 관통구멍(45)(35)을 상기 포밍부(41)와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를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한편, 도어 글래스(60)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상단부가 진입하는 진입로(37)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고, 그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내측면(71)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플레이트(38)를 상기 진입로(37)를 형성하면서 따내어지는 부분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그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외측면(72)과 안쪽의 걸림턱(73)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플레이트(39)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외측 끝단부를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식모층(81a)을 가지는 식모시트(81)를 그 외측 지지플레이트(39)의 둘레에 감아붙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가 승강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측방향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어 글래스를 최상단위치에서 정지시켜주는 스토퍼의 기능을 갖는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에는 스테빌라이저라는 것을 장착하여 도어 글래스가 승강운동할 때 발생되는 측방향유동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였고, 도어 글래스가 완전히 닫히는 위치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도어 글래스가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는 스테빌라이저 홀더가 걸리는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가 여러장의 평판부재를 각기 다른 공정으로 제작한 다음에 조립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작원가가 높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테빌라이저가 걸리는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여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가 위치되도록 도어 인너패널의 상측 안쪽면에서 실내측으로 볼록하게 포밍되는 포밍부의 내부 천정에서 상측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걸림홀을 형성함과 함께 각 걸림홀의 구멍 테두리 일부분에 차량의 측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걸림면을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며, 그 각 걸림홀을 통해 아래쪽에서 상방향으로 삽입된 후 옆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과 상기 포밍부의 외측 상면에 걸리는 서로 나란한 복수개의 L자 후크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단에 각각 절곡형성하며, 가압형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관통구멍을 상기 포밍부와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한편, 도어 글래스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홀더의 상단부가 진입하는 진입로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고, 그 스테빌라이저 홀더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진입로를 형성하면서 따내어지는 부분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그 스테빌라이저 홀더의 외측면과 안쪽의 걸림턱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의 외측 끝단부를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식모층을 가지는 식모시트를 그 외측 지지플레이트의 둘레에 감아붙여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의 구성을 보이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의 구성을 보이는 도1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0: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 60:도어 글래스
40:도어 인너패널 70:스테빌라이저 홀더
41:포밍부 37:진입로
42,43:걸림홀 71:내측면
L:측방향 중심선 38:내측 지지플레이트
42a,43a:걸림면 72:외측면
32,33:L자 후크 73:걸림턱
50:가압형 체결수단 39:외측 지지플레이트
45,35:관통구멍 81a:식모층
81:식모시트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의 구성을 보이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의 구성을 보이는 도1의 B-B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가 위치되도록 도어 인너패널(40)의 상측 안쪽면에서 실내측으로 볼록하게 포밍되는 포밍부(41)의 내부 천정에서 상측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걸림홀(42)(43)을 형성함과 함께 각 걸림홀(42)(43)의 구멍 테두리 일부분에 차량의 측방향 중심선(L)과 평행한 걸림면(42a)(43a)을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며, 그 각 걸림홀(42)(43)을 통해 아래쪽에서 상방향으로 삽입된 후 옆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42a)(43a)과 상기 포밍부(41)의 외측 상면에 걸리는 서로 나란한 복수개의 L자 후크(32)(33)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전후 양측단에 각각 절곡형성하며, 가압형 체결수단(50)에 의해 고정되는 관통구멍(45)(35)을 상기 포밍부(41)와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를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한편, 도어 글래스(60)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상단부가 진입하는 진입로(37)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고, 그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내측면(71)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플레이트(38)를 상기 진입로(37)를 형성하면서 따내어지는 부분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그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외측면(72)과 안쪽의 걸림턱(73)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플레이트(39)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외측 끝단부를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식모층(81a)을 가지는 식모시트(81)를 그 외측 지지플레이트(39)의 둘레에 감아붙여 구성하였다.
즉,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는 전체적인 모양이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며, L자 후크(32)(33)와 관통구멍(35), 진입로(37), 내측 지지플레이트(38), 외측 지지플레이트(39)는 모두 하나의 평판재를 이용하여 따내기 또는 절곡가공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지지플레이트(38)의 하단부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내측면(7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가공하여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모시트(81)에 형성된 식모층(81a)은 스테빌라이저 홀더(70)와 도어 글래스(60)와의 접동저항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수많은 털부스러기와 같은 것이 식모시트(81)의 표면에 부착되어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홀(42)(43)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설계와 제작이 용이한 사각홀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며, 꼭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포밍부(41)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5)은 상기 걸림홀(42)(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한 것이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에 형성되는 또 하나의 관통구멍(35)은 상기 L자 후크(32)(33)의 사이에 형성한 것으로, 이 것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며, L자 후크(32)(33)가 걸림홀(42)(43)에 걸린 상태에서 중심이 일치하는 부위이면, 포밍부(41)와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어느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두 관통구멍(45)(35)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L자 후크(32)(33)가 상기 걸림홀(42)(43)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조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형태로 구성하며, 나머지 하나는 원형구멍으로 형성하여 조립시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포밍부(41)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5)을 장공형태로 구성하고,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35)은 원형구멍으로 형성하였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양측이 뒤바뀐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압형 체결수단(50)은 양면을 압박하여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 클립에 의한 체결, 리벳에 의한 체결 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특정한 체결수단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설명한 스테빌라이저 홀더(70)는 도어 글래스(60)의 하측에 가압형 체결방식인 볼트에 의해 체결한 것이며, 하측에 볼트 자리파기 홈(7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단부는 하부단면보다 좁은 형태로하여 진입로(37)에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구성하였다.
L자 후크(32)(33)는 그 모양이 "ㄱ"자 모양이며, 그 폭은 충분히 넓게하여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L자 후크(32)(33)와 걸림면(42a)(43a)의 접촉은 적어도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를 도어 인너패널(40)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면하면,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인너패널(40)에 형성되어 있는 포밍부(41)의 안쪽으로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를 진입시킨 상태에서 L자 후크(32)(33)를 걸림홀(42)(43)의 직하방에 위치시킨 다음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우선 L자 후크(32)(33)가 걸림홀(42)(43)에 진입되어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상면이 포밍부(41)의 천정면에 밀착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를 도면중 화살표 T방향인 옆으로 밀게 되면,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가 포밍부(41)에서 미끄러지면서 L자 후크(32)(33)가 걸림홀(42)(43)의 걸림면(42a)(43a)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형 체결수단(50)인 예컨대, 볼트를 관통구멍(45)(35)에 삽입한 후 체결하게 되면,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가 포밍부(41)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즉,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가 L자 후크(32)(33)와 가압형 체결수단(50)에 의해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 상태가 된다.
한편, 스테빌라이저 홀더(70)가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에 의해 안정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홀더(70)와 함께 도어 글래스(60)가 상승되면,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상단부가 내측 지지플레이트(38)와 외측 지지플레이트(39)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진입로(37)에 삽입된다.
이때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내측면(71)과 외측면(72)은 내측 지지플레이트(38)와 외측 지지플레이트(39)에 각각 접촉되면서 도면중 화살표로 표시된 측방향 중심선(L)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어 견고해지며, 도어 글래스(60)가 더욱 더 상승하여 최상단 위치에 이르면, 스테빌라이저 홀더(7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73)이 외측 지지플레이트(39)의 하단부에 걸리면서 도어 글래스(60)가 멈추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중에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내측면(71)과 외측면(72)은 각각 내측 지지플레이트(38)의 안쪽면과 외측 지지플레이트(39)에 설치되어 있는 식모시트(81)에 접촉되면서 접동저항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어 글래스의 유동을 방지하여 도어 글래스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를 모두 단체로 제작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가 위치되도록 도어 인너패널(40)의 상측 안쪽면에서 실내측으로 볼록하게 포밍되는 포밍부(41)의 내부 천정에서 상측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걸림홀(42)(43)을 형성함과 함께 각 걸림홀(42)(43)의 구멍 테두리 일부분에 차량의 측방향 중심선(L)과 평행한 걸림면(42a)(43a)을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며, 그 각 걸림홀(42)(43)을 통해 아래쪽에서 상방향으로 삽입된 후 옆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42a)(43a)과 상기 포밍부(41)의 외측 상면에 걸리는 서로 나란한 복수개의 L자 후크(32)(33)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전후 양측단에 각각 절곡형성하며, 가압형 체결수단(50)에 의해 고정되는 관통구멍(45)(35)을 상기 포밍부(41)와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를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한편, 도어 글래스(60)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상단부가 진입하는 진입로(37)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고, 그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내측면(71)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플레이트(38)를 상기 진입로(37)를 형성하면서 따내어지는 부분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그 스테빌라이저 홀더(70)의 외측면(72)과 안쪽의 걸림턱(73)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플레이트(39)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플레이트(30)의 외측 끝단부를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식모층(81a)을 가지는 식모시트(81)를 그 외측 지지플레이트(39)의 둘레에 감아붙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3683U KR200255875Y1 (ko) | 1996-12-30 | 1996-12-30 |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3683U KR200255875Y1 (ko) | 1996-12-30 | 1996-12-30 |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0512U KR19980050512U (ko) | 1998-10-07 |
KR200255875Y1 true KR200255875Y1 (ko) | 2002-05-09 |
Family
ID=5400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3683U KR200255875Y1 (ko) | 1996-12-30 | 1996-12-30 |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5875Y1 (ko) |
-
1996
- 1996-12-30 KR KR2019960063683U patent/KR20025587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0512U (ko) | 1998-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96128A (en) | Device for securing molding of automobile door | |
US6286799B1 (en) | Slide device for vehicle seat | |
US11052789B2 (en) |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s | |
DE102009058470A1 (de) | Montagestruktur einer Fahrzeuginnenraumleuchte | |
US8517442B1 (en) | Vehicle trim attachment fastener | |
KR200255875Y1 (ko) |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 | |
DE19716728A1 (de) | Fahrzeugträger | |
DE19620076C2 (de) | Sitzverstellungseinheit | |
EP1251042A2 (de) | Gassack-Modul | |
JPS6357330A (ja) | 自動車屋根の剛体蓋 | |
US5941670A (en) | Bolt fastener | |
DE4443897C1 (de) | Kraftstoffbehälter für Fahrzeuge | |
CN110481483A (zh) | 一种侧气帘安装支架 | |
EP0709251B1 (de) | Leuchte für Fahrzeuge | |
KR101946553B1 (ko) | 차량용 디플렉터의 고정구조 | |
JPH072140A (ja) | センターピラーロアトリムの取付構造 | |
JP2671956B2 (ja) | 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ブレード装着帯用ヨークもしくはレバー | |
KR100361982B1 (ko) | 자동차용 시트트랙의 강도보강구조 | |
FI83053B (fi) | Ringmekanism. | |
JPH10309994A (ja) | ルーフキャリアの取付構造 | |
KR100528045B1 (ko) |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 |
DE19737287A1 (de) | Pedal für ein Kraftfahrzeug | |
US20240240503A1 (en) | Guide block | |
JPH06203619A (ja) | 照明器具のカバー係止装置 | |
KR100488660B1 (ko) | 자동차 러기지 커버링 매트의 장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