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569Y1 -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569Y1
KR200254569Y1 KR2020010017181U KR20010017181U KR200254569Y1 KR 200254569 Y1 KR200254569 Y1 KR 200254569Y1 KR 2020010017181 U KR2020010017181 U KR 2020010017181U KR 20010017181 U KR20010017181 U KR 20010017181U KR 200254569 Y1 KR200254569 Y1 KR 200254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rtition panel
partition
connection mechanism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환
Original Assignee
유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환 filed Critical 유명환
Priority to KR2020010017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569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공간을 구획하는데 이용되는 칸막이 판넬들을 상호 체결하는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적절히 구획하기 위하여서는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 판넬을 연결하여 공사를 하게되는데, 이때 각 판넬과 판넬사이를 연결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연결 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에는 판넬 맞대어진 연결부의 형상이 특히, U자형의 끝단부가 맞대어지거나, 또는 -자형의 끝단부가 겹쳐져 있을 경우라도 효율적으로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omitted}
본 고안은 실내공간을 구획하는데 이용되는 칸막이 판넬들을 상호 체결하는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적절한 규모로 구획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판넬을 이용하여 칸막이 공사를 하는데, 최근들어서 많이 사용되는 있는 칸막이 판넬의 종류는 내부에 적절한 두께의 스치로폼을 내입시켜 이 스치로폼의 양 표면에 적절한 모양으로 절곡한 금속철판을 접착성이 우수한 본드제 등으로 압착하여서 된 칸막이 판넬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로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칸막이 판넬의 양 측면 끝단부를 맞대거나 겹쳐서 칸막이 공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유지하게 되는데, 종래에 이와 같은 이음부분을 체결하는 연결기구는 자형으로된 것을 사용하여 왔으며, 특히,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판넬의 끝단부의 형상이 U 자형상을 갖는 경우는 상기와 같은 연결기구의 양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엠보싱 돌기를 성형하여 양 판넬이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면(前面)의 나사 체결공을 통하여 고정시켜 체결하였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의 끝단부 형상이 - 자형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양측이 엠보싱 돌기가 없어도 무방하기 때문에 연결기구를 겹쳐진 부분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전면(前面) 체결공을 이용하여 나사못으로 고정시켜 사용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U자형 판넬 끝단부를 맞대어 연결하는 경우 양측 판넬의 결속이 약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 자형 판넬의 끝단부를 겹쳐서 시공하는 경우 양 철판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체결이 되는 것이여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철판의 두께 만큼 편차가 생기는 상태에서자형 연결기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다 보면 체결기구의 수평을 유지시키는데 애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칸막이 판넬 이음부의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연결기구의 수평을 유지시키는데 애로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부의 형상을 자형으로 성하여 줌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U자형 판넬의 이음부 결속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의 이음부 구조가 - 자형의 것이 겹쳐짐으로서 한쪽 철판두께 만큼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서는 연결기구의 접촉면 일측에 엠보싱 돌기를 외부로 돌출시켜서 된 연결기구를 적용하여 줌으로서, 애로를 해소할 수 있는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의 외부 표면부와 자형 체결부를 나타낸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의 ┌ ┐자형 체결부의 형상과 그 후면인 접촉면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의 ┌ ┐자형 체결부의 형상과 그후면인 접촉면 일측에 받침용 엠보싱 돌기가 성형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중 받침용 엠보싱 돌기가 없는 연결기구의 사용 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중 받침용 엠보싱 돌기가 성형된 연결기구의 사용 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중 받침용 엠보싱 돌기가 성형된 연결기구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중 받침용 엠보싱 돌기가 없는 연결기구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의 체결 위치와 간격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연결기구 4 : 판넬 표면재
6 : 삽입홈 8 : 판넬 내장재
10 : U자형 이음부 12 : - 자형 이음부
14 : 체결나사 16 : 나사 체결공
18 : 받침용 엠보싱 돌기부 20 : ┌ ┐자형 체결부
22 : 연결기구의 접촉면 24 : 연결기구의 표면
26 : 연결기구의 측면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2의(가),(나) 도 3의(가),(나)는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2)를 도시한 것으로서, 금속철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각형상으로 절곡하여 도 2의 (가),(나)에서와 같이 접촉면(22,22)에는 길이 방향으로 ┌ ┐자형으로 개방시킨 ┌ ┐자형 체결부(20)로 활용한다. 이 연결기구(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U자형 판넬 이음부(10)의 결속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의 이음부 구조가 - 자형(12)의 것이 겹쳐짐으로서 한쪽 철판(4)두께 만큼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서는 도 3의 (가),(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기구(2)의 접촉면(22) 일측에 엠보싱 돌기(18,18)를 일정한 간격을 두어 외부로 돌출시켜서 된 연결기구(2)를 적용하여 줌으로서 애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2)를 성형하는 재료는 견고성과 엠보싱(18,18) 등의 원만한 성형을 위하여 금속판재를 채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2) 중 U자형 판넬 이음부(10)에 적용되는것으로, 도 2에 예시한 것의 제작은 이와 같은 형상을 성형할 수 있는 금형틀을 갖춘상태에서 한 공정 또는 두 공정으로 프레싱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형의 판넬의 이음부(12)에 적용되는 것의 경우는 상기한 동일한 금형틀에 접촉면부(22,22)를 성형하는 금형틀에 엠보싱 돌기(18,18)를 외면으로 성형할 수 있는 핀을 막아 준 상태에서 프레싱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연결기구(2) 표면의 나사 체결공(16)에 있어서도 상기한 금형틀의 해당부분에 천공할 수 있는 구조와 형상을 유지시켜줌으로서 상기한 제작 작업과정에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용 엠보싱 돌기(18,18)의 높이는 통상의 칸막이 판넬 표면 철판재(4)의 두께를 감안하여 성형하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칸막이 판넬의 연결기구(2)를 이용하여 도 4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칸막이 판넬 이음부(10,12)에 도 6내지 도 7 또는 도 8에 예시한 방법으로 칸막이 판넬의 이음공사를 수행할 경우 적용하여 종래의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2)의 사용상의 애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칸막이 판넬 이음부의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연결기구의 수평을 유지시키는데 애로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부의 형상을 ┌ ┐자형으로 성하여 줌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U자형 판넬의 이음부 결속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의 이음부 구조가 - 자형의 것이 겹쳐짐으로서 한쪽 철판두께 만큼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서는 연결기구의 접촉면 일측에 엠보싱 돌기가 외부로 돌출시켜서 된 연결기구를 적용하여 줌으로서 애로를 해소할 수 있는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금속철판을 네모난 형상으로 절단하여 사┌ ┐자형각으로 접어 절곡하되, 접촉면 (22,22)의 길이 방향으로 ┌ ┐자형으로 개방시킨 ┌ ┐자형 체결부(20)를 유지하며, 이와같은 ┌ ┐자형 체결부(20)의 반대측의 표면(24) 중심에는 나사못(14)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나사 체결공(16)을 관통된 상태로 성형하되 나사못(14)의 머리부분이 표면(24)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요홈을 유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2)의 일측 접촉면(22,22)에 받침용 엠보싱 돌기(18,18)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KR2020010017181U 2001-06-04 2001-06-04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KR200254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181U KR200254569Y1 (ko) 2001-06-04 2001-06-04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181U KR200254569Y1 (ko) 2001-06-04 2001-06-04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569Y1 true KR200254569Y1 (ko) 2001-12-01

Family

ID=7306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181U KR200254569Y1 (ko) 2001-06-04 2001-06-04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5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5995B2 (ja) パネル接合構造
KR200254569Y1 (ko) 칸막이 판넬 연결기구
KR100602740B1 (ko) 서랍 안내장치 및 그 서랍안내장치의 조립 및 제조방법
JPH0240234Y2 (ko)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JP2792828B2 (ja) 壁パネルの連結構造
KR100580866B1 (ko) 판유리 지지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3934397B2 (ja) 金属製中空角柱の連結装置
JP3529496B2 (ja) 壁パネルとドア枠の取付構造
JPH05793Y2 (ko)
JP3681036B2 (ja) 型枠の幅止め金具
JPH0720273Y2 (ja) 鎧型横張内外装材用出隅部材
JPS6165135U (ko)
JP3331137B2 (ja) 断熱パネル
JPH0721717Y2 (ja) 鎧型横張内外装材用目地部材
JP2000303590A (ja) 壁パネルの接合構造
JPH0718834Y2 (ja) 鎧型横張内外装材用入隅部材
JP3003087U (ja) コンクリート型枠板の保持具
JP2819443B2 (ja) 外囲体
JP2531277Y2 (ja) 鎧型横張用防火サイディング
JPH0721715Y2 (ja) 鎧型横張内外装材用目地部材
JPH0721714Y2 (ja) 鎧型横張内外装材用出隅部材
JPH0720271Y2 (ja) 鎧型横張内外装材用出隅部材
JPH0721713Y2 (ja) 鎧型横張内外装材用出隅部材
JPH04380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